• 제목/요약/키워드: IMO

검색결과 1,206건 처리시간 0.022초

급냉각기간에서 IMO설계조건과 USCG 설계조건에 대한 LMGC 화물탱크의 열해석 비교 (Thermal Analysis Comparison of IMO with USCG Design Condition for the INGC During the Cool-down Period)

  • 이정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8권11호
    • /
    • pp.1390-1397
    • /
    • 2004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thermal analysis during the cool-down period of 135,000㎥ class GT-96 membrane type LNG carrier under IMO and USCG design condition. During the cool-down period, the spraying rate for the NG cooling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of NG falls down from -4$0^{\circ}C$ to -l3$0^{\circ}C$, and the spraying rate for the cooling of the insulation wall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insulation wall is larg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existed the largest temperature decrease at the first barrier and the first insulation, which are among the insulation wall, especially in the top side of the insulation wall under IMO and USCG design condition. Also, as the NG temperature distribution is fixed, the outer temperature condition under the design condition has influence on the temperature variation at the insulation. By the 3-D numerical calculation about the cargo tank and the cofferdam during the cool-down period, the temperature variation in hulls and insulations is precisely predicted under IMO and USCG design condition.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wo conditions; IMO design condition shows more severe temperature gradient than USCG design condition, therefore, it provides the conservative estimation of the BOG.

NBDP를 대체할 해상이동통신시스템 기술 동향 연구 (A Study on Technical Trends for Mari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replacing NBDP(Narrow-Band Direct Printing))

  • 장동원;조평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52-255
    • /
    • 2005
  • 현재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기존에 비효율적이며 사용이 제한된 NBDP를 대체할 새로운 무선설비를 채택할 계획이다. 그러므로 여러 국가에서는 디지털을 사용하는 신기술을 채택한 무선설비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스펙트럼 할당을 수정해야 한다. 이외에도 신기술 채택에 따른 기존 통신 설비와 간섭 및 공유 문제 등도 분석되어야 한다. IMO는 이를 위해서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에 기술적분석을 요구했으며 ITU-SG8B에서는 관련무선설비에 대한 제안과 스펙트럼 및 간섭관련 무선규칙/권고를 검토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IMO 및 ITU에 제출된 NBDP를 대체할 신기술들을 분석했으며, IMO 및 ITU 그리고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의 관련 표준 및 권고 개발 현황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 PDF

국적일반화물선 초기안전성평가(High-level FSA) 연구(1) (A Study on High-level FSA for Korean-flagged General Cargo Ships)

  • 이종갑;나성;김홍태;김경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3-220
    • /
    • 2010
  • 최근 IMO에서는 산적화물선 및 유조선, 대형여객선에 이어 '일반화물선의 안전(general cargo ships safety)'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IMO, 2006a)되고 있으며, 본격적인 논의를 위한 준비 작업으로 국제선급협회(IACS)를 통한 공식안전성평가(Formal Safety Assessment, 이하 FSA)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FSA란 위험도(risk)분석과 비용-효과 평가(cost-benefit assessment)를 바탕으로 인명, 해양환경 및 재산의 보호를 포함한 해사안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구조화되고 체계적인 방법론으로서 새로운 법규의 평가, 기존법규와 새로운 (제안) 법규와의 비교, 그리고 여러 이해관계자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법규 변경/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IMO, 2007). 본 연구는 국적일반화물선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수단으로서 IMO FSA방법론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향후 IMO에서의 '일반화물선 안전'에 대한 논의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적일반화물선에 대한 FSA의 1, 2 단계에 해당하는 위험요소 식별(Hazard identification) 및 사고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 분석(Risk analysis) 결과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IMO 해양사고조사코드의 도입과 해양사고조사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IMO Casualty Investigation Code and Marine Safety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 임채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7-63
    • /
    • 2010
  • 해양사고조사는 해양에서 발생한 사고 및 준사고에 대해 조사하여 원인을 규명히고, 이를 통해 미래의 유사사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국제해사기구(IMO)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국가들은 해양사고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사안전관련 협약 및 관련 국내 법규를 채택하고 개정한다. 특히, 최근 국제해사기구는 해양사고의 조사에 있어 각국이 협조하여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일정한 양식에 따라 보고하며, 동 보고에 근거하여 새로운 국제적 안전기준을 마련하여 사고의 재발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규정한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채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해양안전성심판제도를 통해 해양에서의 사고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해양안전의 확보에 이바지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분석하고 해양안전심판제도와 비교 분석하여 코드 도입에 따라 우리나라 해양사고조사제도인 해양안전심판제도에 있어서 반영되고 개정되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논의하며 이를 향후 제도 개선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제공한다. 이에는 특히, 조사기관의 독립과 조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국선심판변론제도 몇 선원인권보장 등이 포함된다.

IMO 온실가스 감축 조치의 국가별 영향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Measures of IMO)

  • 김보람;안영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6-294
    • /
    • 2021
  • 국제해사기구는 해운에 의한 기후변화 방지 대책을 강구하여 왔으며, 특히 2018년 채택 선박 온실가스 배출 감축 초기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한편 이를 배경으로 회원국들은 IMO 제5차 온실가스 회기간 작업반 회의(ISWG-GHG: Intersessional Working Group on the Reduction of GHG Emissions)에 다양한 감축 조치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각 회원국들의 영향평가 측정방법은 평가 시 고려하는 항목이 상이하며, 이로 인해 국가별 영향평가의 객관적인 비교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실제로 회원국들이 IMO에 제출한 영향평가 측정방법의 분석 시 회원국마다 영향평가 절차나 영향평가 시에 고려하는 항목이 서로 상이하였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각국의 다양한 조치들이 제안되고 있는바 IMO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2023년 이전에 영향평가 측정 시의 평가항목 등을 표준화하는 등 모든 국가가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 영향평가 측정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박 온실가스 감축조치의 영향평가 결과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영향평가 세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각국 감축 전략의 실효성을 비교할 수 있는 세부 가이드라인을 도출 시 이를 통해 GHG 감축을 주도하는 해사환경 선도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박 배출 오염물질 항만처리시스템 확보방안 연구 (Improving the Port-Reception-Facility System)

  • 하신영;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488-49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IMO에서 권장하는 수준의 선박배출 오염물질 처리시스템을 확보하기위해 항만국 의무이행 요건 중 선박배출 폐기물 수용시설의 국내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해외 선진 사례를 조사하여 III CODE를 중심으로 IMO 회원국감사내용을 분석하였다. IMO는 항만에 입항하는 선박이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해 항만오염물질저장시설의 설치 및 운영을 권고하고 있으며 IMO 회원국 감사 시 항만국 이행실태파악을 위해 오염물질저장시설 등록 및 운영현황을 확인하고 있다. 특히 최근 환경규제로 인해 선박에 추가로 탑재된 스크러버 등과 같은 기자재에서 배출되는 스크러버 세정수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시설을 요하기 때문에 각 항만별로 주요 입항선박의 선종에 따라 배출되는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오염물질저장시설의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선박배출 폐기물은 항만으로부터 육상 폐기물처리장까지 이동시켜주는 역할밖에 수행되고 있지 않으며 항만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양과 성상에 대해서도 항만별로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고 있어 항만배출 폐기물의 특성에 따른 오염물질저장시설의 적정배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창청소업의 수거실적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개선하여 항만별로 오염물질 배출현황 및 특성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오염물질저장시설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IMO가 권고하고 있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적정처리'가 가능하여 입항선박에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시스템화 한다면 향후 국제해사기구의 회원국감사 대응에 있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 IMO 협약에 따른 에멀젼 분리형 선박용 유수분리기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Study of factor of Bilge Separator for oily water emulsion conforming with new IMO regulation)

  • 임재동;박선정;박상호;김인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03-108
    • /
    • 2006
  • 새롭게 적용되는 IMO 규정에 적합한 선박의 15ppm Bilge Separator를 개발하기 위하여 Bilge 폐수에 함유된 Emulsion 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에멀젼의 경우 그 안정성으로 인해 육상에서도 처리하기가 매우 까다로운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Emulsion의 안정성을 파괴하여 처리하고자 하였다 파괴된 기름 입자는 서로 응집하여 부상처리 되는데, 선박은 특성상 장치의 설치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Bilge 폐수의 처리에 시간이 충분치 않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화학적 처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응집제의 선정과 기본적인 환경요인들을 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국내 제품 중의 응집제를 선정하였고 가장 응집 효과가 좋은 pH 영역과 응집제의 투여량을 결정하였으며 기초 실험을 통해 최적효율을 나타내는 부상방법을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Pilot Plant를 제작하여 에멀젼 함유 Bilge 폐수를 처리한 결과 IMO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활성물질 농도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the Active Substances Produced by th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 김은찬;오정환;이승국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9-226
    • /
    • 2012
  •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평형수를 통한 수중생물의 이동을 막기 위해, 2004년 선박 평형수와 침전물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였다. 34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가 IMO 활성물질 승인을 받았고, 이 가운데 20개 처리장치가 최종승인을 받았다. 본 논문에서는 IMO 활성물질 승인을 받은 처리장치에 대한 작용 원리와 총잔류산화제(TRO) 농도를 고찰하였다. TRO 최대 허용 배출 농도는 중화장치를 통해 낮추어 대부분 0.2 ppm 이하의 농도를 보였으나, 최대 처리 허용 농도는 장치별로 1-15 ppm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처리장치 별로 TRO 처리 허용 농도의 차이는 처리장치의 특성 및 필터의 유무와 종류 등과의 연관성 보다는 생물 사멸시험 시 생물종 특성과 수온, 탁도 등 수질 특성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IMO 자율운항선박 가이드라인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IMO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MASS))

  • 박한선;채종주;조민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7-138
    • /
    • 2019
  • 국제해사기구(IMO)가 지난 제101차 해사안전위원회(MSC)에서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해상시운전에 관한 임시지침을 회람문서(MSC/Circ.1604)로 채택하였다. 이 지침은 향후 자율운항선박의 해상시운전에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될 것이며 정부당국과 이해관계자들이 MASS의 안전 확보, 환경보호 및 시스템의 운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MO에서 채택한 MASS 임시운항 시운전지침을 분석하고 실제 이해관계자들의 정부책임과 의무를 명확히 구분하여 해상시운전에 필요한 리스크 관리의 주요사항을 인적요소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이소말토올리고당과 프락토올리고당의 물리적 성질 및 생리학적 특성 (Phys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and Fructooligosaccharides)

  • 김정렬;육철;권혁건;홍성용;박찬구;박경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0-175
    • /
    • 1995
  • 이소말토올리고당(IMO)의 물리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에 관하여 프락토올리고당(FO) 및 설탕과 비교 연구하기 위하여 열 안정성, pH 안정성, 수윤 보습력 및 점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올리고당이 첨가된 사료를 어린 쥐에 경구투여 사육하면서 체중 변화, 분변 함수율 및 사육후의 맹장 무게 등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사육한 쥐의 배설물로부터 전체 장내 세균 중 Bifidobacterium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점도와 수분보습력에 있어서 두 올리고당은 설탕보다 높았으며 두 올리고당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열 및 pH 안정성에 있어서는 프락토올리고당은 열 및 pH에 불안정한 반면 이소말토올리고당은 pH3, $120^{\circ}C$에서 안정하였다. 어린 쥐의 사육 실험 결과 체중변화 및 사료 효율은 각 군 간에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고 분변의 수분 함유율은 이소말토올리고당이 가장 높아 변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편 프락토올리고당 투여구의 쥐에서 맹장이 평균 18% 정도 비대해졌다. 분변내 Bifidobacterium의 비율은 IMO 첨가 시료군에서 가장 높아 이소말토올리고당의 Bifidus균 증식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