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5

검색결과 15,069건 처리시간 0.052초

Optimising IL-2 for Cancer Immunotherapy

  • Jonathan Sprent;Onur Boyman
    • IMMUNE NETWORK
    • /
    • 제24권1호
    • /
    • pp.5.1-5.19
    • /
    • 2024
  • The key role of T cells in cancer immunotherapy is well established and is highlighted by the remarkable capacity of Ab-mediated checkpoint blockade to overcome T-cell exhaustion and amplify anti-tumor responses. However, total or partial tumor remission following checkpoint blockade is still limited to only a few types of tumors. Hence, concerted attempts are being made to devise new methods for improving tumor immunity. Currently, much attention is being focused on therapy with IL-2. This cytokine is a powerful growth factor for T cells and optimises their effector functions. When used at therapeutic doses for cancer treatment, however, IL-2 is highly toxic. Nevertheless, recent work has shown that modifying the structure or presentation of IL-2 can reduce toxicity and lead to effective anti-tumor responses in synergy with checkpoint blockade. Here, we review the complex interaction of IL-2 with T cells: first during normal homeostasis, then during responses to pathogens, and finally in anti-tumor responses.

이질아메바에 의한 인체 대장상피세포주 HT-29에서의 interleukin-8 유전자의 발현 (Interleukin-8 gene expression in the human colon epithelial cell line, HT-29, exposed to Entamoeba histolytica)

  • 김정목;정현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57-364
    • /
    • 1995
  • 이질아메바에 의한 장염 환자의 조직 또는 이질아메바를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동물의 조직 검사에서 호중구의 침윤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호중구의 침윤을 설명할 수 있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아메바 감염 초기에 인체 대장상피 세포에서 interleukin-8(IL-8)이 유도되어 호중구 침윤과 같은 염증반응이 유발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체 대장상피세포주인 HT-29에 이질아메바 영양형을 실험적으로 노출시킨 뒤 발현되는 IL-S mRNA를 역전사 중합효소법(reverse transcrip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으로 검사함과 퐁시에 발현된 IL-8 mRNA를 인공적으로 합성시킨 표준 RNA와 RT-PCR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 결과 이질아메바 영양형에 노출된 30분 후 부터 IL-8 mRAN가 발현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그 발현 분자수는 노출 시간의 증가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3시간 대에는 $3.1{\;}{\times}{\;}10^7{\;}molecules/\mu\textrm{g}$ total RNA를 나타내었다. 동시에 IL-8 mRNA의 발현은 노출시킨 이질아메바 영양형의 수에 비례하였다. 즉 HT-29/아메바 영양형의 비율이 10:1인 경우 IL-8 mRNA의 발현 분자수는 $1.2{\;}{\times}{\;}10^7{\;}molecules/\mu\textrm{g}$ total RNA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IL-8 mRNA의 발현은 IL-8 단백질 분비로 이어짐을 ELISA 검사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질아메바 파쇄액(Iysate)도 대장상피세포군인 Caco-2에서 IL-8 mRNA발현을 유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은 이질아메바 감염 초기에 대장상피세포로 부터 IL-8이 발현되며, 이에 의하여 염증반응이 촉발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포공영(蒲公英)이 MC/9 mast cell에서의 Th2 cytokine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M (Taraxacum mongolicum) on Th2 Cytokine Production in MC/9 Mast Cells)

  • 장문희;최재송;배나영;안택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4-65
    • /
    • 2012
  • 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M (Taraxacum mongolicum) on Th2 cytokine production in MC/9 mast cells. 2. Methods : The effects of TAM was analyzed by ELISA and Real-time PCR in MC/9 mast cells. Levels of IL-5, IL-13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ELISA). mRNA levels of IL-4, IL-5, IL-6, IL-13 were analyzed with Real-time PCR. 3. Results : 1) TAM inhibited the IL-4 production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50{\mu}g/ml$, $100{\mu}g/ml$, $200{\mu}g/ml$. 2) TAM inhibited the IL-13 production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50{\mu}g/ml$, $100{\mu}g/ml$, $200{\mu}g/ml$. 3) TAM inhibited the IL-4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100{\mu}g/ml$. 4) TAM inhibited the IL-5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50{\mu}g/ml$, $100{\mu}g/ml$. 5) TAM inhibited the IL-6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100{\mu}g/ml$. 6) TAM inhibited the IL-13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100{\mu}g/ml$. 4.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AM (Taraxacum mongolicum) has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Th2 cytokine production in the MC/9 mast cell.

백삼복합물이 난알부민으로 유도된 천식 마우스에서의 천식개선에 대한 융복합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White Ginseng Complex Extracts on OVA-induced Allergic Asthma in Mice)

  • 지중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317-3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백삼, 오미자, 맥문동, 길경, 감초 등으로 구성된 백삼복합물이 난알부민으로 유도된 천식 마우스에서의 천식개선에 대한 융복합 연구를 통한 효능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난알부민으로 천식을 유발한 마우스에 백삼복합물을 100 mg/kg과 300 mg/kg을 경구 투여한 후 혈청 내 Th2 사이토카인 IL-4, IL-5, IL-13을 루미넥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과 혈액 내 난알부민 특이-IgE 수치와 호산구, BALF 내 총 세포수는 자동혈구계산기 및 현미경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청 내 IL-4, IL-5, IL-13 및 난알부민 특이-IgE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각각 감소하였다. 또한, 혈액 내 호산구 및 BALF 내 총 세포수 역시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백삼복합물이 Th2 사이토카인과 천식 요인에 대해 감소가 나타나 효과적인 항천식 치료 약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Interleukin-2가 소 미성숙난포란의 핵성숙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terleukin-2 on the Nuclear Maturation of Immature Oocytes in Bovine)

  • 이동목;남경수;송해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9-145
    • /
    • 1998
  • In the present study, effects of interleukin-2 (IL-2), a differentiator and proliferator of T-cells, on nuclear maturation and sperm penetration of bovine oocytes was examined in a serum-free or serum-containing medium. Basic medium was used TCM-199 supplemented with 2.2g / ι sodium bicarbonate, 100 i.u. /rnl penicillin. 100$\mu$g /ml streptomycin, 0.25$\mu$g/ml Fungizone, this medium treated with FCS and IL-2. In experiment 1,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0, 1, 5, 10 or 15nM /ml IL-2 to tissue culture medium (TCM-199) on nuclear maturation of oocytes Development of oocytes to the Metaphase II (M II) stage (%)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at 1, 5,10 and 15 nM /ml IL-2(54.2, 73.5, 80.0 and 69.6%, respectively) than at 0 nM /ml IL-2(35.7%). In experiment 2,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l0nM /ml IL-2 or 5% FCS in oocyte maturation. Nuclear matur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l0nM /ml IL-2(80%) than non-treatment(35.7%) and 5% FCS(63.6%)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oocytes developed to the 2-cell stage after addition of IL-2 and/or F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2 supports nuclear maturation of bovine immature oocytes in vitro. Serum-free maturation system using IL-2 might be useful for evaluation of various factors on oocyte maturation.

  • PDF

Activation of $PPAR{\alpha}$ Attenuates $IFNP{\gamma}$ and IL-$1{\beta}$-induced Cell Proliferation in Astrocytes: Involvement of IL-6 Independent Pathway

  • Lee, Jin-Koo;Seo, Eun-Min;Lee, Sang-Soo;Park, Soo-Hyun;Sim, Yun-Beom;Jung, Jun-Suh;Kim, Seon-Mi;Suh, H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3호
    • /
    • pp.185-189
    • /
    • 2010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 of fibrates, agonists of $PPAR{\alpha}$ on cytokines-induced proliferation in primary cultured astrocytes. Alone or combination treatment with cytokines, such as IL-$1{\beta}$ (10 ng/ml), $IFNP{\gamma}$ (10 ng/ml), and TNF-$\alpha$ (10 ng/ml) cause a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proliferation in a time-dependent manner. Treatment of astrocytes with bezafibrate and fenofibrate (0, 5, and $10\;{\mu}M$) reduced the $IFNP{\gamma}$ and IL-$1{\beta}$-induced cell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address the involvement of IL-6 on the $IFNP{\gamma}$ and IL-$1{\beta}$-induced cell proliferation, released IL-6 level was measured. $IFNP{\gamma}$ and IL-$1{\beta}$ cause an increase of released IL-6 protein level in a tim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pretreatment with IL-6 antibody (0, 0.1, 1, 2.5, and 5 ng/ml)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IFNP{\gamma}$ and IL-$1{\beta}$-induced cell proliferation. However, bezafibrate and fenofibrate did not affect increased mRNA and protein levels of IL-6 in $IFNP{\gamma}$ and IL-$1{\beta}$-stimulated astrocyt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clearly suggest that activation of $PPAR{\alpha}$ attenuates the $IFNP{\gamma}$ and IL-$1{\beta}$-induced cell proliferation through IL-6 independent pathway.

형질전환 생쥐의 후대에서 인간 Interleukin-10 유전자의 안정적 전이와 지속적인 발현 (Stable Transmission and Continuous Expression of Human Interleukin-10 Transgene in the Offspring of Transgenic Mice)

  • 정진우;구덕본;한용만;이경광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3호
    • /
    • pp.203-207
    • /
    • 2004
  • 형질전환 동물의 유선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도록 고안된 pBIL-10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인간 IL-10 유전자가 삽입되어 한 계통으로 확립된 형질전환 생쥐에서 이 유전자가 장기 세대까지 안정적으로 전이되고, 또한 발현 수준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제 8 세대의 수컷 hIL-10 형질전환 생쥐를 실험에 공시하였고, 제 15 세대까지의 전이율과 hIL-10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제 8 세대 생쥐의 계대 번식에 의한 자손 중 50.9±5.8%가 형질전환 생쥐로 판명되었다. 또한 제 9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66.0±20.1%이렀고, 제 10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61.5±16.7%이었고, 제 11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1.1±8.4%이었고, 제 12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0.7±20.3%이었고, 제 13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61.3±10.8%이었고, 제 14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9.2±18.8%이었고, 제 15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3.8±25.9%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hIL-10 형질전환 생쥐는 그 외래유전자의 유전적 손상이 없이 장기 세대까지 안정적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판다된다. 제 9 세대의 암컷 형질전환 생쥐로부터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3.6± 1.2 mg/ml의 수준에서 측정되었다. 제 10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4.2±0.9 mg/ml의 수준에서 측정되었고, 제 11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5.7± 1.5 mg/ml의 수준에서 측정되었고, 제 12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6.3±3.5 mg/ml의 수준으로 측정되었고, 제 13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6.8±4.5 mg/ml의 수준으로 측정되었고, 제 14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6.8±3.1 mg/ml의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수준은 제 1 세대의 것보다 높은 결과로 형질전환 생쥐에서 인간 IL-10 유전자의 발현은 최소한 15 세대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장기 세대까지도 발현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계통으로 확립된 형질전환 동물에 부여된 새로운 유전형질은 지속적으로 후대로 유전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결핵성 흉수에서 IL-10, IL-12, IFN-$\gamma$, ADA 측정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IL-10, IL-12, IFN-$\gamma$ and ADA in Tuberculous Pleural Fluid)

  • 전두수;윤상명;박삼석;이효진;김윤성;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01-310
    • /
    • 1998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은 면학적으로 흉강내에 국소적으로 활성화된 CD4+ T림프구와 대식세포가 관여하는 세포매개면역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사이토카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helper T cell type 1 (Th1) 사이토카인인 IL-12 및 IFN-$\gamma$와 Th2 사이토카인인 IL-4 및 IL-10간의 균형이 세포매개반응의 정도를 결정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포매개면역반응의 지표로서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이들과 길항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있는 Th2 사이토카인 중 IL-10이 결핵성 흉수내에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검사하여 대조군인 악성 흉수와 비교함으로써 결핵성 흉막염의 변역학적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사이토카인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각 20명의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흉수와 혈장에서 IL-10, IL-12, IFN-$\gamma$를 측정하고 흉수에서의 ADA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이토카인은 대상환자의 혈액과 흉수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ADA 활성도는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121.3{\pm}83.7$ pg/mL, $571.4{\pm}472.7$ pg/mL, $420.4{\pm}285.9$ pg/mL로 혈장의 $21.2{\pm}60.9$ pg/mL, $194.5{\pm}67.6$ pg/mL, $30.1{\pm}18.3$ pg/mL 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p<0.01). 악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88.4{\pm}40.4$ pg/mL, $306.5{\pm}271.1$ pg/mL, $30.5{\pm}54.8$ pg/mL로 혈장의 $43.4 {\pm}67.2$ pg/mL, $206.8{\pm}160.6$ pg/mL, $14.6{\pm}3.3$ pg/mL와 비교하였을때 IL-10 만이 유의하게 높았고 (p<0.001) IL12, IFN-$\gamma$에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의 흉수에서의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IL-12, IFN-$\gamma$, ADA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46, <0.001, <0.001) IL-1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수염을 악성 흉수염과 감별하는데 있어 IL-12, IFN-$\gamma$, ADA의 기준을 각각 300 pg/mL, 100 pg/mL, 45 U/L으로 하였을때 민감도/특이도는 IL-12에서 60%/70%, IFN-$\gamma$에서 90%/85%, ADA 에서 85%/90%였다. 결 론: 결핵성 흉수에서 흉강내에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함께 IL-10이 증가되어 있었고 악성흉수와 비교했을때 IL-12, IFN-$\gamma$는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IL-10은 의의가 없었다. 따라서 결핵성 흉막염의 면역기전에 Th1 경로의 세포매개변역반응이 주로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국소적인 IL-10 증가의 임상적 의의는 추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IFN-$\gamma$와 ADA는 결핵성 흉수와 악성 흉수와의 감별에 유용한 진단법으로 생각된다.

  • PDF

Mucosal Immunity Related to FOXP3+ Regulatory T Cells, Th17 Cells and Cytokines in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 Cho, Jinhee;Kim, Sorina;Yang, Da Hee;Lee, Juyeon;Park, Kyeong Won;Go, Junyong;Hyun, Chang-Lim;Jee, Youngheun;Kang, Ki Soo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52호
    • /
    • pp.336.1-336.12
    • /
    • 2018
  • Background: We aimed to investigate mucosal immunity related to forkhead box P3 ($FOXP3^+$) regulatory T (Treg) cells, T helper 17 (Th17) cells and cytokines in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Methods: Mucosal tissues from terminal ileum and colon and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welve children with IBD and seven control childre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done using anti-human FOXP3 and anti-$ROR{\gamma}t$ antibodies. Serum levels of cytokines were analyzed using a multiplex assay covering interleukin $(IL)-1{\beta}$, IL-4, IL-6, IL-10, IL-17A/F, IL-21, IL-22, IL-23, IL-25, IL-31, IL-33, interferon $(IFN)-{\gamma}$, soluble CD40L,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Results: $FOXP3^+$ Treg cells in the lamina propria (LP) of terminal ileum of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ose in the healthy controls. $ROR{\gamma}t^+$ T cells of terminal ileum tended to be higher in Crohn's disease than those in the control. In the multiplex assay, serum concentrations (pg/mL) of IL-4 ($9.6{\pm}1.5$ vs. $12.7{\pm}3.0$), IL-21 ($14.9{\pm}1.5$ vs. $26.4{\pm}9.1$), IL-33 ($14.3{\pm}0.9$ vs. $19.1{\pm}5.3$), and $IFN-{\gamma}$ ($15.2{\pm}5.9$ vs. $50.2{\pm}42.4$)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rohn's diseas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serum concentration of IL-6 ($119.1{\pm}79.6$ vs. $52.9{\pm}39.1$) was higher in Crohn's disease than that in the control. Serum concentrations of IL-17A ($64.2{\pm}17.2$ vs. $28.3{\pm}10.0$) and IL-22 ($37.5{\pm}8.8$ vs. $27.2{\pm}3.7$)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ulcerative colitis than those in Crohn's disease. Conclusion: Mucosal immunity analysis showed increased $FOXP3^+$ T reg cells in the LP with Crohn's disease while Th17 cell polarizing and signature cytokines were decreased in the serum samples of Crohn's disease but increased in ulcerative colitis.

Lipopolysaccharide로 유발된 마우스대식세포의 cytokine 생성증가에 대한 백삼이중탕 물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White Ginseng-Ejung-tang Water Extract on Cytokine Production in LPS-induced RAW 264.7 Mouse Macrophages)

  • 박완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38-74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White Ginseng-Ejung-tang water extract (EJ) on production of various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2, IL-5, IL-6, IL-10, IL-12p70,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2,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keratinocyte-derived chemokine(KC),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in RAW 264.7 mouse macrophage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Levels of cytokines were measured by High-throughput multiplex bead array cytokine assay based on xMAP (multi-analyte profiling beads) technology. EJ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IL-2, IL-12p70, IL-5, MIP-2 for 24 h incubation at the concentrations of 25, 50, and 100 ${\mu}g/mL$ in LPS-induced RAW 264.7 (P < 0.05). EJ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IL-6 at the concentrations of 50 and 100 ${\mu}g/mL$ (P < 0.05). EJ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IL-10 and VEGF at the concentrations of 25 and 100 ${\mu}g/mL$ (P < 0.05). EJ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KC at the concentrations of 100 ${\mu}g/mL$ (P < 0.05). EJ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TNF-${\alpha}$ and GM-CSF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J has anti-inflammtory property related with its inhibition of IL-2, IL-5, IL-6, IL-10, IL-12p70, MIP-2, VEGF, and KC production in LPS-induced macroph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