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1β

검색결과 745건 처리시간 0.021초

Erythrinae Cortex inhibits Synthesis of 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IL-1$\beta$ and TNF-$\alpha$ in Cultured Human Synovial Cells

  • Lee Ho;Kim Dong Hee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01-1111
    • /
    • 2003
  • Our study shows that EC extract has inhibitory effect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IL-1, IL-6, iNOS and COX2 in hFLSs. IL-1β, IL-6, iNOS and COX2 mRNA expression is suppressed at a low dasage (1㎍/ml) of EC extract. TNF-α was also suppressed at higher dosages (10 ㎍/ml, 100㎍/ml). EC extract also inhibited TNF-α, IL-1β and IL-6 production in pro-inflammatory cytokine stimulated-hFLSs. Expecially IL-1β(p<0.05) production are suppres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EC extract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Thses data suggest that EC extract has anti-inflammatory effect mostly by inhibiting IL-1β production, and thus could be used to prevent or treat some inflammatory disease such as RA. It remains to be known what are the major components responsible for anti-inflammatory effect and what is the main mechanism.

담배 니코틴에 의한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TNF-α)의 발현 억제작용 (The Inhibitory Effect of Nicotine on TNF-α Expression in Human Fetal Astrocytes)

  • 손일홍;이성익;양현덕;한선정;석승한;이재규;김재현;박주영;문형인;이성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1-257
    • /
    • 2007
  • 니코틴은 사람 대식세포에서 interleukin 2 (IL-2)와 종양괴사인자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이러한 억제작용은 cytokine 유전자 발현 중 전사단계에서 전사인자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난다. 이러한 니코틴의 면역반응 억제작용은 아프타성궤양 및 궤양성대장염, 알레르기성폐 포염, 건초열 등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만일 중추신경계에서도 위와 같은 니코틴의 면역억제 작용이 일어난 다면 다발성경화증과 같은 면역반응 매개질환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는 중추신경계의 여러 면역반응 매개질환의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이미 알려진 니코틴의 cytokine 생성억제가 사람 중추신경계의 성상세포에서도 일어남을 확인하고 그 억제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하여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니코틴과 IL-1β를 처리한 다음 TNF-α mRNA의 발현 정도와 NF- κB의 활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람 태아 성상세포를 0.1-20 μg/ml의 니코틴으로 처리해 본 결과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독성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2.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 IL- 1β를 처리하면 2시간만에 TNF-α mRNA가 최대로 발현되었으며 그 이후로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3. 사 람 태아 성상세포를 1 및 0.1 μg/ml의 니코틴으로 전처리한 후 IL-1β로 자극한 군에서는 IL-1β 단독 처리군에 비해 TNF-α mRNA의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 μg/ml의 니코틴을 처리한 경우에는 8시간 이후부터 TNF-α mRN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12시간에 최대로 감소하였다. 또한 0.1 μg/ml의 니코틴을 처리한 군에서는 24시간에 가장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성상세포에 IL-1β로 처리한 군에서는 강력한 NF-κB의 활성 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니코틴을 전처리하고 IL-1β 자극한 군에서는 NF-B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정농도 이상의 니코틴은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나 적정한 농도와 시간 경과후 니코틴은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서 IL-1β에 의해 유도되는 TNF-α의 발현 감소를 유도하며, 이는 NF-κB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대식 세포인 Raw264.7 cell에서 scopoletin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Scopoletin in RAW264.7 Macrophages)

  • 이수경;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377-1383
    • /
    • 2015
  • Scopoletin은 Erycibe obtusifolia, Aster tataricus, Foeniculum vulgare 그리고 Brunfelsia grandiflora라는 식물들에서 발견된 성분이다. 이것은 신 혈관형성 억제와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인 Raw264.7 cells 에서 scopoletin의 항염증 효과에 대하여 조사되었다. 먼저 Scopoletin이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cells에서 nitric oxide (NO) 생성과 식균작용(phagocytosis)에 대하여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였다. Scopoletin은 NO생성과 식균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NO와 prostaglandin E2 (PGE2)의 생성과 관련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염증성 cytokine인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6 (IL-6) 그리고 TNF-α의 발현을 조사 하였는데, IL-1β and IL-6의 발현은 scopoletin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는 scopoletin을 8 hr 처리하였을 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copoletin이 iNOS, COX-2, IL-1β, IL-6, TNF-α 또한 phagocytosis 그리고 NO생성을 감소시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어, 향후에 항염증제로서 활용의 잠재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RAW 264.7 cell의 염증반응에 대한 산열음자(散熱飮子)의 항염증 효과 (Effect of Sanyeoleumja on Inflammatory Response of RAW 264.7 Cells)

  • 김태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3
    • /
    • 2020
  • Sanyeoleumja (SY) is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prescription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of eyes. In this stud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Y water extract were investigated. To measur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Y, we examined the productions of inflammatory factor including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interleukin-6 (IL-6), interleukin-1β (IL-1β)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s. SY inhibited NO and PGE2 produ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decreased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iNOS and COX-2. Also, SY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interleukin-6 (IL-6) and interleukin-1β (IL-1β). In conclusion, SY downregulated LPS-induced inflammatory factor productions, which could be a clinical basis for inflammatory diseases.

참당귀 추출분말의 골관절염 흰쥐의 염증성 사이토카인류의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gigas extract powder on induced inflammatory cytokines in rats osteoarthritis)

  • 권진환;한민석;이부민;이용문
    • 분석과학
    • /
    • 제28권4호
    • /
    • pp.260-269
    • /
    • 2015
  • 골관절염에 대한 참당귀 추출분말의 치료효과를 검토하고자 흰쥐의 monosodium iodoacetate(MIA)로 유발된 골관절염 부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염증관련 효소 및 염증성 cytokines의 발현에 대하여 참당귀 추출분말의 억제효능을 검토하였다. 고농도의 참당귀 추출분말 (50 μg/mL) 투여에서도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동일조건하에서 interleukin-1α (IL-1α)로 유발된 nitric oxide (N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특히, 관절연골 조직의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cyclooxygenase-2(COX-2)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참당귀 추출분말은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농도에서 독성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iNOS발현을 억제하여 방출되는 신호전달 물질인 NO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참당귀 추출분말의 처리로 염증유발 부위에서 염증성 cytokines으로 알려진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1β (IL-1β) 및 interleukin-6 (IL-6)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참당귀 추출분말의 항 염증효과는 TNF-α, IL-1β 및 IL-6의 혈중농도를 낮추어 염증부위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항염증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 참당귀 추출분말의 투여는 MIA 또는 IL-1α로 유발되는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염증인자, 관련 효소의 발현 및 관련 신호전달 물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슬관절의 활액 내 glycosaminoglycan (GAG) 및 관절연골의 proteoglycan (PG)의 분해를 방지하여 골관절염의 발생을 억제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참당귀 추출분말의 주성분인 decursin은 혈중에서 2시간이내에 decursinol로 전환되어 8시간이상 LC-MS/MS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참당귀 추출분말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1β 및 IL-6의 억제활성은 항염증활성이 큰 decursinol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Korean Red Ginseng attenuates ultraviolet-mediated inflammasome activation in keratinocytes

  • Ahn, Huijeong;Han, Byung-Cheol;Hong, Eui-Ju;An, Beum-Soo;Lee, Eunsong;Lee, Seung-Ho;Lee, Geun-Sh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456-463
    • /
    • 2021
  • Background: Keratinocytes form a physical barrier and act as an innate immune cell in skin. Keratinocytes secrete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1β, resulting from inflammasome activation when exposed to ultraviolet (UV) irradiation. Korean Red Ginseng extracts (RGE) have been well-studied as modulators of inflammasome activation in immune cells, such as macrophages. In the study, we elucidated the role of RGE on the UV-mediated inflammasome activation in keratinocytes compared with that in macrophages. Methods: Human skin keratinocyte cells (HaCaT),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HEK), human monocyte-like cells (THP-1), and mouse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RGE or a saponin fraction (SF) or non-saponin fraction (NS) of RGE before and after UV irradiation. The secretion levels of IL-1β, as an indicator of inflammasome activation, were analyzed. Results: The treatment of RGE or SF in macrophages after UV irradiation inhibited IL-1β secretion, but similar treatment in HaCaT cells did not. However, the treatment of RGE or SF in HaCaT cells in the presence of poly I:C, a toll-like receptor (TLR) 3 ligand, before UV exposure elicited the inhibition of the IL-1β secretion. The inhibition was caused by the disruption by RGE or SF of the TLR mediating up-regulation of the pro-IL-1β and NLRP3 genes during the priming step. Conclusion: RGE and its saponins inhibit IL-1β secretion in response to UV exposure in both keratinocytes and macrophages. In particular, RGE treatment interrupted only the priming step in keratinocytes, although it did attenuate both the priming and activation steps in macrophages.

진달래 뿌리 추출물의 알레르기 염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Root Extract on Allergic Inflammation)

  • 장시성;이대중;송지훈;박도휘;전찬용;황귀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8-78
    • /
    • 2022
  • Objectiv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extract (RME) on allergic reactions and inflammation. Methods: The effect of RME was determined using ELISA and RT-PCR in RBL-2H3 mast cells and RAW 264.7 macrophage cells. We determined cell viability, β-hexosaminidase release, and the synthesis of IL-4 and TNF-α in RBL-2H3 cells. In addition, we determined NO from RAW 264.7 and the gene expression of IL-1β, iNOS, IL-6, TNF-α, and IL-10. Results: RME inhibited β-hexosaminidase release and synthesis of IL-4 and TNF-α in RBL-2H3 by the anti-DNP IgE plus DNP-HSA stimulation. In addition, RME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the gene expression of IL-1β, iNOS, IL-6, and TNF-α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RME possesses anti-allergic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due to the inhibition of mast cells and macrophage function.

산약에서 분리한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의 RAW 264.7 세포와 TK-1 세포에서의 면역 활성 조절 효능 (Immunomodulatory Effects of β-sitosterol and Daucosterol Isolated from Dioscorea batatas on LPS-stimulated RAW 264.7 and TK-1 Cells)

  • 박민경;조세희;안태규;김도현;김소연;이진욱;김지인;서을원;손건호;임재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9-369
    • /
    • 2020
  • 많은 면역 소재 연구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결과는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T 세포 유래 TK-1 세포를 활용한 연구결과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식물 유래 성분인 β-sitosterol의 효능 연구에 비하여 그 유사체인 daucosterol의 면역 활성 조절 기능에 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약, D. batatas, 에서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을 추출하여 분리하고 NMR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이후 분리된 phytosterols의 면역 증강 또는 억제 효능을 규명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와 TK-1 세포에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을 각각 농도별로 12시간 동안 처리한 후에 염증관련 유전자인 COX-2, TNF-α, IL-6, iNOS의 상대적인 발현양을 RT-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 β-sitosterol을 처리하였을 때, LPS만을 처리한 대조군의 발현 증가량과 비교하여 TNF-α와 iNOS의 상대적인 발현양이 3 fold 이상 증가하였다. TK-1 세포의 경우에서는 β-sitosterol의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TNF-α의 발현양은 감소하고 iNOS의 발현양은 증가하였다. Daucosterol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한 경우 COX-2, TNF-α, IL-6의 발현양이 0.7~1.2 fold 정도로 변화하였으며 iNOS의 경우는 특이하게 0.8~0.18 fold로 발현양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TK-1 세포에 daucosterol을 처리한 경우에는, 놀랍게도 LPS만 처리된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TNF-α, IL-6, iNOS의 발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β-sitosterol의 처리는 RAW 264.7 세포에서 TNF-α, iNOS의 발현증가를 유도하여 면역 상승 효과에 관여하였다. TK-1 세포에서는, iNOS 발현 수준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TNF-α 발현수준은 감소하여, β-sitosterol의 면역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Daucosterol은 RAW 264.7 세포의 iNOS 발현양을 억제하고 TK-1 세포에서 TNF-α, IL-6, iNOS의 발현을 크게 억제함으로써, 대식세포와 T 세포주에서 모두 면역 억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음전의 항산화, 항염증 효능에 관한 실험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Boeum-jeon (BEJ))

  • 김수경;조성희;양승정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24
    • /
    • 2023
  • Objectives: Boeum-jeon (BEJ) is a herbal formula composed 8 Korean medicinal herbs and is traditionally used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In this study, the authors tried to confirm the antioxidant efficacy of BEJ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Methods: In this experiment, results of BEJ on the following two were measured as follows: (1) Antioxidant effects was measur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evaluated by the production amount of ROS, NO, Cytokine (PGE2, IL-1β, IL-6, TNF-α), COX-2, iNOS, TNF-α, IL-1β, IL-6, HO-1, NQO1 (the previous seven are "mRNA Expression"), COX-2, iNOS, TNF-α, IL-1β, IL-6, HO-1, NQO1, NRF2 (the previous eight are "Protein Expression") ERK, JNK, p38 (the previous three are "Protein Phosphoryla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Results: The experimental measurement results are as follows: (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the BEJ-treated group. (2) As a result of measuring anti-inflammatory efficacy, the production of ROS, NO, and Cytokine (PGE2, TNF-α, IL-1β, IL-6) in the BEJ-administer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Among mRNA Expression levels, COX-2, iNOS, IL-1β, IL-6 and TNF-α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HO-1 and NQO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an in the control group. (4) Among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COX-2, iNOS, IL-1β, IL-6 and TNF-α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HO-1, NQO1 and NRF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5) As a result of Protein Phosphorylation, ERK, p38 and JNK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clusions: Boeum-jeon has been experimentally confirmed to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f the evidence for efficacy is reinforced through further studies such as in vivo studies and clinical trials in the future, it can be effectively used to treat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bladder inflammation and chronic pelvic inflammation.

넓패추출물에 의한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Ishige foliacea in RAW 264.7 Cells)

  • 심중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6
    • /
    • 2024
  • 본 연구는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넓패추출물(Ishige foliacea, I. foliacea)의 피부 항염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넓패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세포 생존력 분석, mRNA 발현 및 산화질소(NO)/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생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넓패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IL-1α/IL-1β/IL-6/TNFα mRNA 발현 및 NO/PGE2 생성을 분석하여 규명하였고, 정량적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넓패추출물은 iNOS/COX2/IL-1α/IL-1β 및 IL-6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GE2와 NO 생성의 비교를 통해 넓패추출물이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넓패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바탕으로 코스메슈티컬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넓패추출물의 항염증 메커니즘에 대한 후속 연구를 바탕으로 코스메슈티컬뿐만 아니라 염증과 관련된 약리학적인 메커니즘 발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