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F signal generator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A Roll Rate Estimation Method using GPS Signals in a Spinning Vehicle

  • Cho, Jong-Chul;Kim, Jeong-Won;Hwang, Dong-Hwan;Lee, Sang-Jeong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2
    • /
    • pp.303-306
    • /
    • 2006
  • A roll rate estimation method is proposed using the GPS measurement for spinning vehicles such as guided munitions and smart bombs. Before designing the roll rate estimator, the carrier phase and the carrier frequency deviation caused by spinning have been observed. Based on the observation, the spinning frequency is estimated using I and Q value from the correlator.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using a software defined receiver and a GPS IF signal generator.

  • PDF

SG Tube 축방향 노치 균열의 정량적 EC 신호평가 (Quantitative EC Signal Analysis on the Axial Notch Cracks of the SG Tubes)

  • 민경만;박중암;신기석;김인철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4-382
    • /
    • 2009
  • 원자력발전소의 1차측 및 2차측 냉각계의 장벽 역할을 하는 핵심 설비중 하나인 증기발생기(steam generator, SG) 전열관은 공공의 사회적 안전성과 효율적인 발전 용량을 유지하기 위해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결함을 함유하고 있는 전열관은 해당결함을 조기에 검출, 정량적으로 결함을 평가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보수조치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함의 검출 및 정량화를 위해서 검사관련 고시 및 강화된 SG 관리프로그램(SGMP)에 근거하여 와전류탐상검사법(eddy current testing, ECT)을 적용,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SG 전열관에서 검출되고 있는 결함중 응력부식균열(stress corrosion cracking, SCC)은 미세한 경우 결함의 검출이 어려울 뿐 아니라 생성된 결함의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SG 전열관의 건전성을 위협하는 주요결함 기구중 하나로 분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결함 깊이 및 길이별로 방전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 EDM)된 축방향 ODSCC에 대해 pancake, +point 및 shielded pancake 코일 등이 탑재된 3 coil형태의 +PT MRPC(motorized rotating pancake coils)를 적용하여 결함의 검출가능 여부 및 크기 측정을 위한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본 실험결과를 통해 SG 전열관의 건전성 및 원전 운전의 안전성을 진단하는 공학적 평가 자료로써의 활용 가능성 뿐 아니라 와전류탐상검사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커패시터 커플링 노이즈를 줄인 단일 전원 CMOS 베타선 센서 회로 설계 (Design of Single Power CMOS Beta Ray Sensor Reducing Capacitive Coupling Noise)

  • 김홍주;차진솔;황창윤;이동현;;박경환;김종범;하판봉;김영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38-34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DB하이텍 0.18㎛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진성난수 생성기에 사용되는 베타선 센서 회로를 설계하였다. CSA 회로는 PMOS 피드백 저항과 NMOS 피드백 저항을 선택하는 기능, 50fF과 100fF의 피드백 커패시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회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펄스 셰이퍼(pulse shaper) 회로는 비반전 증폭기를 이용한 CR-RC2 펄스 셰이퍼 회로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OPAMP 회로는 이중 전원(dual power) 대신 단일 전원(single power) 사용하고 있으므로 CR 회로의 저항과 RC 회로의 커패시터의 한쪽 노드는 GND 대신 VCOM에 연결한 회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펄스 셰이퍼의 출력신호가 단조 증가가 아닌 경우 비교기 회로의 출력 신호가 다수의 연속된 펄스가 발생하더라도 단조 다중발진기(monostable multivibrator) 회로를 사용하여 신호 왜곡이 안되도록 하였다. 또한 CSA 입력단인 VIN과 베타선 센서 출력단을 실리콘 칩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하므로 PCB trace 간의 커패시터 커플링 노이즈(capacitive coupling noise)를 줄이도록 하였다.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RFP)의 작동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Method of Emergency Power System with Reserved Firefighting Power (RFP))

  • 이원강;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9-3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소방전원 및 소방전원 부족시 용량 보완을 위한 인터록 시스템의 한계점 등을 분석하고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RFP)의 작동방법 등을 제시하여 화재와 같은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에서 일괄제어방식은 발전기에 과부하가 걸리면 소방전원보존용 제어기에서 신호를 발신하여 소방부하는 남겨두고 비상부하용 주차단기를 일괄 차단하고, 발전기가 마지막까지 소방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시스템이다. 순차제어방식은 과부하가 걸리면 소방전원보존용 제어기에서 1차 신호를 발신하여 설정된 비상부하의 1단계 부하를 차단한다. 그리고 지속적인 감시 상태에서 소방부하가 증가하여 발전기가 다시 과부하가 걸리면 제어기에서 2차 신호가 발신하여 비상부하의 2단계 부하를 차단하는 시스템이며 각각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가진다.

전력계통에서 동조탐색과 광역진동해석 (Analysis of Global Oscillation via Sync Search in Power Systems)

  • 심관식;남해곤;김용구;문영환;김상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7호
    • /
    • pp.1255-1262
    • /
    • 2009
  • The present study explained the phenomenon that low frequency oscillation is synchronized with discrete data obtained from a wide area system, and a sync search method. When a disturbance occurs in an power system, various controllers operate in order to maintain synchronization. If the system's damping is poor, low frequency oscillations continue for a long time and the oscillations are synchronized with one another at specific frequency. The present study estimated dominant modes, magnitude and phase of signals by applying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to discrete signals obtained from an power system, and performed sync search among wide area signals by comparing the estimated data. Sync search was performed by selecting those with the same frequency and damping constant from dominant oscillation modes included in a large number of signals, and comparing their magnitude and phase. In addition, we defined sync indexes in order to indicate the degree of sync between areas in a wide area system. Furthermore, we proposed a wide area sync search method by normalizing mode magnitude in discrete data obtained from critical generator of the wide area. By applying the sync search method and sync indexes proposed in this study to two area systems, we demonstrated that sync scanning can be performed for discrete signals obtained from power systems.

Dedicated Cutback Control of a Wind Power Plant Based on the Ratio of Command Power to Available Power

  • Thapa, Khagendra;Yoon, Gihwan;Lee, Sang Ho;Suh, Yongsug;Kang, Yong Cheol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835-842
    • /
    • 2014
  • Cutback control in a grid code is one of the functions of a wind power plant (WPP) that is required to support the system protection and frequency stability. When a cutback control command signal is delivered to the WPP from the system operator, the output of a WPP should be decreased to 20% of the rated power within 5 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dicated cutback control algorithm of a WPP based on the ratio of the command power to the available power. If a cutback control signal is delivered, the algorithm determines the pitch angle for the cutback control and starts the pitch angle control. The proposed algorithm keeps the rotor speed at the speed before the start of the cutback control to quickly recover the previous output prior to the cutback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was validated for a 100 MW aggregated WPP based on a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 under various wind conditions using an EMTP-RV simulator. The results clearly show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not only successfully reduces the output to the command power within 5 s by minimizing the fluctuation of the pitch angle, but also rapidly recovers to the output level before the cutback control.

초음파를 이용한 어.패류 탐지와 패턴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tern Recognition for Searched Fish.seashell on Seabed Using Ultra Sonic)

  • 김재갑;김원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10-418
    • /
    • 2000
  • 기존의 어군탐지기는 송·수파기를 통해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한 후 수심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해저 목표물의 존재여부와 그 밀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어군뿐만 아니라 바다 속 플랑크톤의 수직이동(빛에 민감하여 낮에는 수심 깊은 곳, 밤에는 해수면에 존재), 선박 스크루의 와류현상, 해저면, 해초 온도 경계선(수온차가 서로 다른 해수가 만날 때 형성되는 층) 등의 존재에 의해 잘못된 해독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더구나 현재 패류를 발견하는 외국 제품은 없으며, 단지 어군탐지기 뿐인데 이것으로는 해저의 뻘에 있는 패류 등을 알아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의 모든 상황 요소들을 고려하여 해저목표물에 대한 신호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어군탐지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컴퓨터에서 처리하여 정확한 목표물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석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금 까지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많은 실험을 거치게 되면 정확히 알아랠 수 있다. 수중에서는 어종별로 어패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과, 해저면에서는 뻘과 딱딱한 패류 껍질 등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 등을 세밀히 분석한 값 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고, 어·패류별 고유 초음락로 반사 되어오는 간과 비교하여 어 ·패류의 서식 상태 및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어·패류 관독용 초음파 탐지기를 본 연구개발을 통하여 개발 할 수 있다. 중점적으로 추후 연구해야 할 분야는 초음파의 특성과 산란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할 것이다.

  • PDF

항체가 건조상태로 고정된 면역진단키트의 안정화와 Shelf-Life 결정 (Stabilization of Dry Immuno-Diagnostic Kit with Immobilized Antibody and Determination of Its Shelf-Life)

  • 이창우;조정환;육순학;권오협;박영남;박세환
    • KSBB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502-510
    • /
    • 1998
  • Stabilization of antibody, which is specific to Salmonella typhimurium antigens, present in dry states on membranes was accomplished, and its shelf-life, i.e., duration for maintaining minimum 90% of the initial activity, under optimal conditions was determined. To prepare two major components of an immuno-strip, the antibody was not only immobilized on nitrocellulose membrane surfaces but also placed within the pores of glass fiber membrane after conjugating it with old colloids as signal generator. Among potential stabilizers of the immuno-components, a disaccharide, trehalose, showed a significant protection effect of immunoglobulin structure from thermal energy. Optimal concentrations of trehalose for the respective compon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8-fold higher for the antibody-gold conjugate than for the immobilized antibody), which probably resulted from distinct densities and configurations of antibody present on the membranes. An additional requirement for the gold conjugate was freeze-drying of this substance such that the conjugate can be readily resolubilized upon contact with aqueous medium. By using the components prepared under optimal conditions, immuno-strips were constructed and exposed to thermal energy. Signals with less than 10% decrease in the intensity were maintained for approximately 21 days at 60$^{\circ}C$. Compared to previous reports, this result represented a 2-year shelf-life at room temperature. it was, however, two times longer if determined from thermal acceleration tests based on the theory of inactivation rate of protein. Such discrepancy between the two estimates could be mainly attributed to errors in accurately controlling temperatures and also to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membranes due to a high thermal energy.

  • PDF

단말기 위치 자동 인식을 이용한 T-DMB 자동재난경보서비스 (T-DMB Automatic Emergency Alerting Service by Estimating the Location of Receiver)

  • 권성근;이석환;김강욱;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15-62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재난 지역을 고려한 T-DMB 자동재난경보서비스 수신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수신 모델에서는 T-DMB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기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한 후, 단말기가 재난이 발생한 지역과 밀접한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재난 메시지를 단말기에 표시한다.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T-DMB 전송 프레임 중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SC)의 널 심볼(null symbol)에 포함된 중계기 정보인 TII (transmit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신호로부터 중계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 이 값을 중계기의 위치 정보가 전송되는 FIG 0/22의 데이터 필드에서 찾아 해당 중계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계산된 중계기의 위치를 단말기의 위치로 설정하고, 이를 재난이 발생한 지역과 비교하여 인접한 지역일 경우에만 해당 재난 메시지를 단말기에 표출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테스트용으로 제작된 재난 메시지들을 T-DMB 송출기를 통해 실제 송출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tion and Propagation of SCC and the Electrochemical Noise of Alloy 600 for the Steam Generator Tubing of Nuclear Power Plants

  • Kim, Y.S.;Nam, H.S.;Kwon, Y.H.;Kim, S.W.;Kim, H.P.;Chang, H.Y.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57-66
    • /
    • 2010
  • Since nuclear power plants are being opera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on-line monitoring technique to detect corrosion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off-line method in shut-off period. In this operating condition, electrochemical noise method may be suitable to monitor the corrosion. This paper aims the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racking and electrochemical noise signal of Alloy 600 under U-bending. When electrochemical noise monitoring technique was used during SCC test, it was judge to be obvious that if cracks generate, its generation can be detected by electrochemical current noise. Cracking-related noise was defined as the noise showing 5~10 times greater than the average value of background noise bands. On the base of crack noise, crack initiation time was determined. From SCC test and electrochemical noise monitoring in $25^{\circ}C$, 0.1 M $Na_2S_4O_6$ solution (Reverse U-Bended Alloy 600 SE+), average crack initiation time was obtained as 9,046 seconds and from its initiation time, it could be defined that net crack propagation rate is the crack length divided by ${\Delta}T$(= total test period - crack initiation time). Therefore, average net crack propagation rate was obtained to be $1.18{\times}10^{-9}\;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