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EEE 802.16j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8초

WiBro용 Mobile 기술 동향

  • 김영일;안동현;김현재;이용수;채수창;김석찬;박동찬
    • 정보와 통신
    • /
    • 제24권5호
    • /
    • pp.15-26
    • /
    • 2007
  • 최근 WiBro/WiMAX에서 기지국의 용량증대와 셀의 크기를 확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RS(Relay Station)에 대한 표준화가 IEEE 802.16j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RS는 기존의 아날로그 중계와 달리 수신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한 후 특정 처리과정을 거친 후 다시 부호 및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초고속 휴대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초고속 무선인터넷서비스 시장에 대한 수요의 증대로 WiBro/WiMax시장의 활성화와 IEEE 802.16j에 대한 표준화의 진척에 따라 WiBro용 RS(Relay Station)상용제품이 조만간 출시 될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WiBrro용 MMR(Mobile Multi-hop relay)기술의 표준화 동향과 요소기술, MMR망의 성능분석에 대해서 기술한다.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IEEE802.16j 멀티 홉 릴레이 시스템의 용량 분석 (Capacity Analysis of IEEE802.16j MMR System Using Directional Antenna)

  • 김승연;유창진;김세진;류승완;조충호;이형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2B호
    • /
    • pp.170-17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본 논문에서는 BS(Base Station, 기지국)와 RS(Relay Station, 중계기)가 지향성 안테나를 갖는 multi-tier 기반의 NBTC (Narrow-Beam Trisector Cell)와 WBTC (Wide-Beam Trisector Cell) 구조를 제안하고, 두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간섭 (Co-channel interference)에 의한 용량을 두 개의 채널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2^{nd}$ tier로 구성한 한 클러스터에서 발생하는 총 용량은 LOS(Line of Sight)의 존재 여부에 따라 NBTC 구조 셀과 WBTC 구조 셀의 총 용량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차세대 이동통신 및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한 멀티 홉 RS 도입 시에 참고할 만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WBAN 응용서비스 동향 (Trend of WBAN Application Service)

  • 남홍순;이형수;김재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4권5호
    • /
    • pp.109-118
    • /
    • 2009
  • WBAN은 사람이 착용하는 옷이나 인체 내부 혹은 외부에 있는 여러 장치들을 상호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서 2005년부터 IEEE 802.15 TG16에서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WBAN표준은 근거리, 저전력, 고신뢰성 무선통신을 위한 표준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전송속도가 수 kbps$\sim$수십 Mbps 범위로서 의료용뿐만 아니라 비의료용 분야에 활용된다. 의료용은 체내에 이식되는 이식형과 인체 주변에 부착되는 착용형 장치에 활용되며, 비의료용은 데이터 전달이나 게임 응용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활용된다. 본 고에서는 IEEE 802.15 TGl6에 제안된 WBAN 응용서비스와 이들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일반인이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미래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BAN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축 및 보안 기술 현황

  • 이용;이구연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0-48
    • /
    • 2008
  • 미래의 광대역 무선망은 고주파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신호의 감쇠가 높고, 높은 multi-path fading효과를 가지므로 전력제어가 필요하고 사용자에게 넓은 대역폭을 제공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를 위해 셀의 크기가 줄게 되고 BS의 수가 증가하여 네트워크 설치비용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여 망구축과 운영을 쉽게 하고 영역 확장과 용량 확장을 유연하게 하며 저비용의 무선 bakhaul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특성을 가진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는 노드와 노드간의 무선 멀티-홉 통신을 이용하여 끊김 없는 연속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 기술은 메쉬 라우터와 메쉬 클라이언트라는 노드로 구성되며 각 노드는 라우터인 동시에 호스트로 동작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가 구성, 자가 복구의 능력을 가지고 저 비용으로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구축을 제공하기 때문에 무선랜이나 WiMAX, WPAN 등에서 채택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메쉬 네트워크의 구조와 특징을 자세히 설명하고 IEEE 802.11s와 IEEE 802.16j에서 진행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 관련 표준화를 살펴본 후 관련업체에서의 메쉬 네트워크 관련 개발 현황과 실제 구축 현황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보안 문제와 적용기술들을 짚어 보고자 한다.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간섭의 영향과 비용의 효과를 고려한 셀 커버리지 확장 방법에 관한 연구 (Interference Aware Cost Effective Coverage Extension in Multihop Relay Networks)

  • 김용철;임원택;조성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B권12호
    • /
    • pp.1138-1147
    • /
    • 2012
  • 케이블과 DSL의 대안으로서 라스트 마일(last mile)의 광역 접근을 무선으로 가능하게 해주며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 기술로 알려진 WiMAX에 셀 용량의 증대와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하여 Mobile Multihop Relay 기술이 추가적으로 제안 되면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하여 릴레이 노드(RS)를 운용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사용자 노드(SS)들에 대한 형평성을 고려한 자원할당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중홉 릴레이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주파수 재사용 기법을 적용할 때에 릴레이 노드들 간의 간섭 현상이 셀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비용 효과를 고려한 셀 커버리지 확장 방법을 제안한다.

Hierarchical Network 환경에서 모바일 IPTV 기술 진화 (Mobile IPTV Technology Trends in Hierarchical Network Environment)

  • 여건민;박지수;전선심;김영일;류원;이호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6호
    • /
    • pp.31-37
    • /
    • 2012
  • Hierarchical network 기술은 다양한 크기의 이동통신 셀들이 서로 중첩된 환경에서 무선 용량 증대 및 셀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모바일 IPTV는 IPTV에 이동성이 더해진 기술로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고품질의 TV 및 VoD,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IEEE 802.16 기반의 hierarchical network 및 모바일 IPTV 기술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두 기술의 공존 가능성 측면에서의 고려 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 PDF

다중 간섭신호가 존재하는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에서 이중 홉 복호후재전송 중계시스템의 성능 (Performance of Dual-hop Decode-and-Forward Relaying with Multiple Interferers over Rayleigh Fading Channels)

  • 이동우;이재홍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96-97
    • /
    • 2010
  • 다중 홉 중계기술은 차세대 무선통신을 위한 핵심 기술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셀 용량 증대, 셀영역 확장, 음영지역 축소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IEEE 802.11s, 802.15.4, 802.16j 등의 표준화에의 반영을 위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간섭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중 간섭신호가 존재하는 레일레이(Rayleigh) 페이딩 채널에서 이중 홉(dual-hop) 복호후재전송(DF : decode-and-forward) 중계시스템의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불능확률 및 4진 직교 진폭 변조(4-QAM)를 위한 평균비트오율 (average bit error rate) 성능을 살펴본다.

  • PDF

Multi-hop Relay의 물리계층 기술 동향

  • 우경수;유현일;김영준;조용수
    • 정보와 통신
    • /
    • 제24권5호
    • /
    • pp.27-36
    • /
    • 2007
  • 본 고에서는 mobile WiMAX 또는 WiBro 시스템에 릴레이의 도입으로 발생하는 프레임 구조의 변화, 기지국, 릴레이, 단말의 동기화, 핸드오버에 대하여 기술한다. 특히, 최근 IEEE 802.16j 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최근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릴레이의 도입에 따라 발생하는 전파지연 현상, 프리앰블과 R-amble의 역할과 설계시 고려사항, 핸드오버 절차 및 릴레이의 결정 방식에 대하여 요약한다.

멀티홉 릴레이 기술 개요

  • 신정채;조호신
    • 정보와 통신
    • /
    • 제25권5호
    • /
    • pp.30-37
    • /
    • 2008
  • 릴레이(Relay station)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해 도입된 기술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거의 방식이 단순히 신호를 증폭해서 보내는 리피터(Repeater)의 기능에 국한된 것에 비해 최근에는 보다 지능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더 나아가 릴레이 기술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증설 비용과 백홀 통신망의 유지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와 데이터처리율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릴레이 기술의 일반적인 분류와 도입 시나리오 및 요소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표준화가 진행 중인 IEEE 802.16j Relay TG (Task group)의 동향 그리고 무선 인지 환경하에서의 릴레이 도입의 가능성에 대해 기술한다.

Comparison of Radio Wave Propagation Models for Mobile Networks

  • Altayeva, Aigerim Bakatkaliyevna;Cho, Young Im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192-199
    • /
    • 2015
  •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are gaining momentum in industry and the research community, and are attracting the attention of standard bodies such as 3GPP LTE and IEEE 802.16j, whose objectives are to increase the capacity and coverage of cellular networks. In this article, we provide an overview of expansion strategies, optimal locations of base statio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radio-planning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