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EC 61000-3-2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복사 전기장 및 자기장 내성시험 기술 분석 (Analysis of Technology for RF Radiated E/H Fields EMS Tests)

  • 윤재훈;최형도;채종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7권4호통권76호
    • /
    • pp.123-134
    • /
    • 2002
  • ISO/IEC14443-1(1), ISO/IEC10536-1(2), 그리고 ISO/IEC15693-1(3)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접촉식 카드의 교류전기장 및 교류자기장에 대한 내성력 시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 규격은 ISO/IEC JTC1 기술위원회의 SC17에서 다루고 있으며, 아직 상기 표준 규격은 초안 상태에 있어 상세한 시험 방법에 대한 규격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칩 카드 수입국은 수출업자에게 교류전기장 및 교류자기장 내성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시험 시설, 시험 방법, 시험 절차, 시험 평가 부분에서 많은 혼란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시험에 대한 대응책이 국가적 차원에서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이를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서, 칩 카드 관련 국제 규격(1)-(5) 동향을 살펴보고, 교류전기장 및 교류자기장 내성력 시험 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관점에서 IEC61000 시리즈 중에서 RF 복사 내성시험인 IEC61000-4-3(6), IEC61000-4-8, IEC61000-4-9, IEC61000-4-10, IEC61000-4-23(7)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고속열차 부하의 고조파 및 플리커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rmonics and Flickers Measurement of High Speed Electric Train Loads)

  • 김경철;김유준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71-77
    • /
    • 2007
  • 고속열차는 전력계통에 전압 변통을 일으키며 시간에 따라 변하는 비선형 부하이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부하를 해결하기 위해 쓰이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누적확률을 사용하는 것이다. 플리커는 전압 변동의 크기에 따라 램프의 방출 변화에 의한 인간의 지각 효과로 정의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열차 부하의 고조파 및 플리커 측정을 심도있게 분석한다. 그리고 측정 결과는 국제 기준인 IEC 61000-3-6과 IEC 61000-3-7에 의해 평가하고자 한다.

실측에 의한 특고압 수용가의 고조파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rmonics Evaluation of Extra High Voltage Customers by Field Tests)

  • 김경철;김유준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0-55
    • /
    • 2007
  • 전기로를 포함하는 비선형 부하를 가진 규모가 큰 제철소는 특고압 수용가이다. 이득 비선형 부하는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키고, 전력계통의 전압을 왜곡시킨다. 고조파 측정결과로 고조파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고조파를 해결하기 위해 쓰이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누적확률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로 부하의 시간에 따라 변하는 고조파를 국제 고조파 기준인 IEC 61000-3-6, IEEE 519와 JIS C 61000-3-2에 의해 평가하고자 한다.

전해조 부하의 고조파 측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rmonics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the Electrolyzer Loads)

  • 김경철;이주홍;진성은;박상영;이일무;전영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9-37
    • /
    • 2006
  • 중화학 공업은 전해조를 포함한 비선형 부하를 가지고 있다. AC-DC 컨버터가 화학공장의 전해조에 널리 쓰이고 있고, 전해조는 DC에 연결된 구조이다. 컨버터는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키고, 전력계통의 전압을 왜곡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전해조 부하의 고조파 현장 측정과 국제 고조파 관리 기준인 IEC 61000-3-6과 IEEE 519-1992에 의한 고조파 평가를 심도있게 분석한다.

국내 단상2선식 저압 배전계통 기준임피던스 선정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tion of Reference Impedance on 1P2W Low Voltage System in Korea)

  • 강문호;송양회;이흥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35-39
    • /
    • 2007
  • 저압 배전계통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변동 및 플리커현상을 관리하기 위해 유럽에서는 IEC 기준에 표준화된 시험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플리커의 제한치산출시 저압계통의 기준임피던스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IEC 기준의 기준임피던스는 230[V]/50[Hz]를 사용하는 저압 배전계통의 임피던스로 국내 저압 배전계통에 그 값을 직접 적용하는 것은 변압기 임피던스, 저압선 경간, 인입선 거리가 상이하기 때문에 불합리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제성과 확률이론을 바탕으로 국내 단상2선식(1P2W) 저압계통의 기준임피던스를 산정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기준임피던스로 IEC TR 60725 Ed2에 게재하였다.

국내 저압 전기기기의 고조파 유출 제한값 산정 (Calculation of the Harmonic Emission Limit for low-Voltage Electrical Equipment)

  • 강문호;송양회;이흥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56-61
    • /
    • 2008
  • 배전계통의 고조파 방해(Harmonics Disturbance)현상은 배전계통에서 전압강하와 함께 순시 전력품질을 저해하여 중성선 및 NGR(Neutral Ground Reactor) 과열, OCGR 오동작 등의 문제를 발생시킴으로써 전력회사와 고객 모두에게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주고 있어 동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유럽에서는 IEC 61000-3-2 규격을 통해 상당 16[A] 이하 저압 전기기기의 고조파를 제한하고 있다. 본 규격은 저압 전기기기를 4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분석결과 클래스 A등급 해당 전기기기의 고조파 유출제한 기준은 저압계통의 기준임피던스와 허용 최대전압을 바탕으로 산정되었으며, 타 등급(B, C, D등급)의 유출제한 기준들도 클래스 A의 유출제한 기준을 바탕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C 61000-3-2 규격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기준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국내 저압 전기기기의 고조파 유출 제한 값을 산정하였다.

전자식 저압 차단기의 전류 고조파 시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urrent harmonic testing for the low-voltage circuit-breaker with electronic over-current protection)

  • 김명석;오준식;한규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54-156
    • /
    • 2002
  • 본 논문은 저압 차단기에 적용되는 IEC 60947-2 (Circuit breakers)와 전류고조파(Current harmonic) 내성시험 규격인 IEC 61000-3-2. IEC 61000-3-4에 대한 규격의 적용범위, 시험범위, 고조파에 대한 개념, 차단기의 고조파에 대한 영향 및 시험설비의 요구조건을 고찰하고, 16A 초과 전류 고조파 시험적용 방법과 시험결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전자식 안정기의 고조파 저감 대책 (A Study on the Hormonic Analysis of on Electronic Ballast)

  • 홍순석;오정석;유태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5-41
    • /
    • 2005
  • 전자식 안정기는 형광등을 점등시키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식 안정기의 실측을 통해 고조파 발생현황을 측정하고 고조파 해석용 등가회로를 모델링 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본 논문은 단상 부하의 고조파 해석용 등가회로 모델링과 설계 및 적용 시험을 하여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IEC 61000-3-2와 IEEE Std 519-1992를 근거로 평가하였다.

포워드형 3선 PWM 정류기를 이용한 새로운 DC 48[V] 통신용 전원시스템의 특성 해석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New Dc 48[V] Telecommunication Power System using Forward Type three Phase Rectifier)

  • 서기영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4-4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포워드형 3상 PWM 정류기를 이용한 새로운 DC 48[V] 통신용 전원시스템을 제안하여 역률과 효율, 리플 전압의 개선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제안된 DC 48[V] 통신용 전원시스템은 각 선간에 스위치와 인덕터 그리고 콘덴서가 조합된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며, 전력변환장치내의 각 스위치의 턴-온시 제어 주기내의 도통시간을 조정하여 역률 1의 정현파 전류를 얻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PWM 정류기를 포워드 형태의 PWM 정류기로 구성함으로써 스위치의 온-오프시 발생되는 피크 전류를 작게 하여 변환 효율 92.1[%]을 얻었다. 또한 고조파 입력전류 규제값(IEC61000-3-2 Class-A)을 만족하는 입력 전류를 가지며, 3상 전원의 왜곡이 중첩되는 상태에서도 출력 전압의 맥동성분을 저감시켰다.

PDP 파워 모듈을 위한 브리지 없는 고효율 ZVZCS 역률개선회로 (Bridgeless High Efficiency ZVZCS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for PDP Power Module)

  • 류병규;문건우;조규민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26-232
    • /
    • 2005
  • 최근 많은 나라들이 상용전원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AC 라인에 직접 연결하는 제품에 IEC 61000-3-2 나 IEEE 59 와 같은 고조파 규제를 가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을 받고 있는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역시 이런 규제치를 만족하기 위해 역률개선회로를 부착하고 있다. 기존의 PDP 파워 모듈에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해 역률개선회로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PDP 자체의 열과 브리지 다이오드의 과도한 발열 때문에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가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PDP 파워 모듈용 역률개선회로로 브리지 없는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함으로써 효율, 소자 수, 발열상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존회로와 비교 분석을 하고 그것의 제품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