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Q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선행함수지수를 고려한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기반의 홍수예경보기법 (Flood Alert and Warning Scheme Based on Intensity-Duration-Quantity (IDQ) Curve considering Antecedant Moisture Condition)

  • 김진겸;강부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1269-1276
    • /
    • 2015
  • 수문모형 기반의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을 이용하여 홍수예보에 활용하는 기법을 소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측된 유역의 자료를 이용하여 집중형 모형의 검보정을 실시하고 하천의 특보 홍수량에 준하는 등가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특보홍수량과 선행함수상태별 IDQ 곡선을 산정되면 발생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에 대비할 수 있다. 시범대상유역은 강원도에 위치한 원주천 유역 ($94.4km^2$)이며 주의보 수위(계획홍수량의 50%)와 경보 수위(계획홍수량의 70%)에 해당하는 IDQ 곡선이 산정되었다. 과거 10년간의 자료로부터 선행함수 조건별 IDQ곡선의 홍수예보능력을 평가한 결과, 탐지확률은 0.704, 경보실패율은 0.136, 임계성공지수는 0.633으로 나타났으며, 단일 조건의 IDQ 곡선을 적용한 홍수예보능력에 비해 더 나은 평가지수를 얻을 수 있었다.

미계측 유역 홍수예보를 위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기반의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의 활용 (Application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based Intensity-Duration-Quantity Curve for Unagaged Basin Flood warning)

  • 김진겸;강부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45-645
    • /
    • 2015
  • 기존 홍수예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절차는 관측되는 강우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량을 계산하고 댐 저수량과 현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천의 수위와 유량을 판단한 뒤 홍수예보 및 경보를 발령한다. 이러한 방법은 모형의 구동에 걸리는 시간으로 인한 의사결정 시간의 단축, 모형의 성능에 의존하는 홍수예측 결과 등의 단점이 존재하며, 관련 전문가가 상주하며 홍수 유무를 판단하고 상황을 전파해야하는 인적 재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기반의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을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 홍수예보에 활용하는 기법을 평가하였다. 계측된 유역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포형 모형의 검보정을 실시하고 하천의 예경보 홍수량에 준하는 한계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이때. 다양한 지속시간의 강우를 적용하였으며 토양함수상태에 따른 IDQ 곡선을 산정하여 발생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에 대비할 수 있는 홍수예보 기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홍수예경보지점에 적절한 IDQ 곡선을 보유하게 된다면 비전문가도 신속한 홍수예경보 의사결정이 가능하여 각 지자체와 유관기관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홍수저류지 설계를 위한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 해석 (Analysis of Intensity-Duration-Quantity (IDQ) Curve for Designing Flood Retention Basin)

  • 김진겸;강부식;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호
    • /
    • pp.83-93
    • /
    • 2014
  • 기후변화 및 도시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증가하는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하여 건설되는 홍수저류지 형태의 치수시설물이 기존의 치수시설물과 연계되어 치수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설계기준과 절차의 제시를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류의 홍수위 증가량에 대비할 수 있는 저류지용량결정, 저류지용량이 주어져 있을 경우의 본류의 홍수위 저감효과산정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서의 분석을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기존 설계홍수량 산정절차에 근거한 IDQ (Intensity-Duration-Quantity) 분석을 이용하여 임의지속시간에서의 설계홍수수문곡선 산정기법을 제시하였고 그 활용사례를 제시하였다. IDQ 분석을 통해 산정한 강우량을 기반으로 등가첨두 수문곡선을 산정할 수 있으며, 기존 수문곡선과 동일한 지속시간 하에서 하천의 수위가 높아질 수 있는 저빈도 수문곡선과, 기존 수문곡선과 동일한 첨두홍수량을 지니지만 강우지속기간의 증가로 인해 유출체적이 증가하는 수문곡선, 기존 수문곡선에 비해 하천의 수위 및 수문곡선의 부피 모두 증가하는 수문곡선 등 다양한 형태의 수문곡선에 대한 시나리오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Comparative analysis of urinary metabolites in methamphetamine self-administrated rats

  • Choi, Boyeon;Kim, Soo Phil;Jang, Choon-Gon;Yang, Chae Ha;Lee, Sooyeun
    • 분석과학
    • /
    • 제30권3호
    • /
    • pp.122-129
    • /
    • 2017
  • Methamphetamine addiction is a critical issue due to the lack of effective pharmacotherapy and high potential for relapse. Nevertheless, there are no distinct biomarkers for diagnosis or prognosis for methamphetamine addiction. In the present study, a rat model for methamphetamine self-administration was established and alteration of urinary metabolites by methamphetamine addiction was investigated by the targeted metabolite analysis using mass spectrometry. Rat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time points (before and after addiction and after extinction) from the methamphetamine-addicted group as well as the age-matched control group. The collected samples were prepared using AbsoluteIDQ p180 kit and analyzed using flow injection analysis (FIA) - or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 tandem mass spectrometry (MS/MS). The levels of lysine, acetylornithine and methioninesulfoxide were distinctively altered depending on the status of metheamphetamine addiction or extinction. In particular, the level of acetylornithine was reversely changed from addiction to extinction, for which further studies could be useful for biomarker discovery or mechanistic studies for methamphetamine addiction.

공공데이터 품질 요인이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Data Quality Factors Affecting the Confidence of the Public Data Open Policy)

  • 김현철;김광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3-68
    • /
    • 2015
  •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quality factors of public data which have increased as a public issue; analyze the impact of users satisfaction in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vice satisfaction on the government's open policy of public data.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Total Data Quality Management (TDQM) of MIT, it focuses on three main qualities except Contextual Data Quality (CDQ) and includes seven independent variables : accuracy, reliability, fairness for Intrinsic Data Quality (IDQ), accessibility, security for Accessibility Data Quality (ADQ), Consistent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ability for Representational Data Quality (RDQ). Basing on TAM, the research model was conducted to examine which factors affect to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rvice satisfaction and how service satisfaction affects to the government's open policy of public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accuracy, fairness, understandability affect bot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while reliability, consistent representation, security, and accessibility affect only perceived ease of use. This article found that the influence of perceived ease of us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influence of these two causes on service satisfaction in the perspective of TAM were significant and it was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The service satisfaction when using public data leads to the reliability of public data open policy. As an initial study on unstructured public data open policy, this article offered quality factors that pubic data providers should consider and also present the operation plan of public data open polic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