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4

검색결과 770건 처리시간 0.031초

유색미 품종별 유기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 검정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Solvent-Fractionated Layers of Colored Rice Bran)

  • 강미영;신수영;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51-958
    • /
    • 2003
  • 국내 외에서 수집 재배한 24품종 유색미를 순차적인 유기용매 처리에 의해서 지용성 분획과 색소를 함유하는 분획, 색소성분 만의 분획을 얻었고 각 분획이 가지는 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을 검정하였다. 유기용매 추출이 진행되어 분획성분의 조성이 간단해질수록 품종마다 차이는 없지만 항산화성은 오히려 약화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특히 LK 1-3-6-12-1-1과 길림흑미의 항산화 활성이 상당히 낮았다. 70%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변이원성을 나타내던 유색미 품종들도 색소분획을 포함하는 분획들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오히려 변이원생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특히 wx 124-153-45-7-1-1-1 및 LK 1B-2-1-1 등에서 강한 변이원성이 관찰되었다. 유색미 품종별 색소의 함량은 IR 17491-5-4-3-3>LK 1-3-6-12-1-1>LK ID-2-12-1>RGS No336. Elwee 등의 순서로 나타난다. 유기용매에 의해서 분획되는 성분들의 조성 및 함량이 유색미 품종들과 일반미 품종간에는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미 품종에 비교하면 유색미 품종들의 유기용매에 의해서 용출되는 수된 성분 분사들은 긴 탄화수소를 가진 성분들이었다.

프로테오믹스를 이용한 N-아세틸글루코사민 인산화효소 기질단백질의 동정 (Identification of Potential Substrates of N-acteylglucosamine Kinase by a Proteomic Approach)

  • 이현숙;문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86-594
    • /
    • 2013
  • 단백질 번역 후 O-GlcNAc 수식은 단백질 조절의 새로운 기전으로 대두되고 있다. 전통적인 당수식과 달리 O-GlcNAc 수식은 단 한번의 O-GlcNAc 전달로 이루어지며, 핵 및 세포질단백질 모두에 수식될 수 있다. O-GlcNAc은 이 분자를 끝으로 하는 최종수식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의 논문(J Proteome Res. 2011 10:2725-2733)은 AP180 단백질에 O-GlcNAc-P가 존재함을 보고하였다. 이 논문은 O-GlcNAc-P가 일반적인 단백질수식인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이에 답하고자 저자들은 HEK293T 세포에 O-GlcNAc 인산화효소 NAGK를 DsRed2에 연결한 DsRed2-$NAGK_{WT}$ 혹은 효소활성이 없는 돌연변이 NAGK를 표현하는 DsRed2-$NAGK_{D107A}$를 표현시키고, 단백질 추출물을 얻어 2D-PAGE로 분리한 후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여, $NAGK_{WT}$에 의하여 인산화가 증가되는 15개의 단백질 스폿을 선별하였다. 이 가운데 7개 스팟을 동정한 결과 2개의 스폿은 O-GlcNAc 수식 단백질인 $HSP90{\beta}$, 다른 2개의 스폿도 O-GlcNAc 수식 단백질인 ENO1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dUTP nucleotidohydrolase mitochondrial isoform 2, glutathione S-transferase P, grp94)는 O-GlcNAc 수식 여부를 아직 모르는 단백질이였다. NAGK에 의하여 O-GlcNAc 단백질의 인산화가 증가된다는 사실은 O-GlcNAc이 인산화되어 O-GlcNAc-P로 수식됨을 시사하며,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O-GlcNAc이 최종 수식이 아님을 지지한다.

Comparison of One-Tube Nested-PCR and PCR-Reverse Blot Hybridization Assays for Discrimin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Infection in FFPE tissues

  • Park, Sung-Bae;Park, Heechul;Bae, Jinyoung;Lee, Jiyoung;Kim, Ji-Hoi;Kang, Mi Ran;Lee, Dongsup;Park, Ji Young;Chang, Hee-Kyung;Kim, Sung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6-430
    • /
    • 2019
  • Currently, molecular diagnostic assays based on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s have been shown to effectively detect mycobacterial infections in various types of specimen, however, variable sensitivity was shown in FFPE samples according to the kind of commercial kit used. The present study therefore used automated PCR-reverse blot hybridization assay (REBA) system, REBA Myco-ID HybREAD 480®,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species in various types of human tissue and compared the conventional one-tube nested-PCR assay for detecting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In conventional nested-PCR tests, 25 samples (48%) were MTB positive and 27 samples (52%) were negative. In contrast, when conducted PCR-REBA assay, 11 samples (21%) were MTB positive, 20 samples (39%) were NTM positive, 8 samples (15%) were MTB-NTM double positive, and 13 samples (25%) were negative. To determin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two molecular diagnostic tests, the one-tube nested-PCR and PCR-REBA assays, were compared with histopathological diagnosis in discordant samples. When conducted nested-PCR assay, 10 samples (59%) were MTB positive and seven samples (41%) were negative. In contrast, when conducted PCR-REBA test, three samples (17%) were MTB positive, 10 samples (59%) were NTM positive and four samples (24%) were negative. In conclusion, the automated PCR-REBA system proved useful to identify Mycobacterium species more rapidly and with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an the conventional molecular assay, one-tube nested-PCR; it might therefore be the most suitable tool for identifying Mycobacterium species in various types of human tissue for precise and accurate diagnosis of mycobacterial infection.

Thermotoga maritima로부터 고온성 β-glucosidase (BgIB)의 클로닝과 필수아미노산 잔기의 확인 (Cloning and Identification of Essential Residues for Thermostable β-glucosidase (BgIB) from Thermotoga maritima)

  • 홍수영;조계만;김용희;홍선주;조수정;조용운;김훈;윤한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48-1157
    • /
    • 2006
  • 초고온성 세균인 Thermotoga maritima로부터 ${\beta}-glucosidase$ 유전자를 클로닝한 후 대장균 숙주에서 발현시켰다. 이 효소는 salicin, arbutin, $_pNPG$과 같은 탄소원의 ${\beta}$-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였다. 721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2,166 bp의 DNA 염기서열로된 유전자이였다. 다른 ${\beta}-glucosidase$ 효소들과 단백질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glycosyl hydrolase family 3에 속하였으며 MUG-nondenaturing PAGE와 SDS-PAGE에 의해 확인된 단백질의 크기는 약 81 kDa이었다. 효소활성은 pH 7.0, $80^{\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이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는 두 개의 아미노산 잔기 (232번 글루탐산과 242번 아스파르트산 잔기)를 알라닌으로 치환시켜 활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이 두 잔기가 효소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무선 모바일 환경 기반의 실시간 원격 디스플레이 기법 (Real-Time Remote Display Technique based on Wireless Mobile Environments)

  • 서정희;박흥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4호
    • /
    • pp.297-302
    • /
    • 2008
  •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다량의 정보를 표시할 경우에 제한된 대역폭과 작은 스크린 사이즈로 인해 많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어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를 리모컨으로 사용하여 TV와 같은 원격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각각의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 설계 및 개발에 필요한 비용이 많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유의 'Mote ID'에 대한 상황 데이터의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서 유비쿼터스와 무선 모바일 환경 기반의 실시간 원격 디스플레이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환경 데이터 처리를 통해서 상황 인식 기반의 실시간 원격 디스플레이의 응용으로 ZigbeX와 같은 센서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서 원거리의 데이터를 수집 및 모니터링하고 PDA의 무선 모바일을 통해서 실시간 원격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원격 디스플레이 및 제어를 위한 PDA, 데이터 수집 및 무선 통신(Radio Frequency: RF)을 위한 모트 임베디드 응용 프로그래밍, 수집한 데이터 분석 및 처리를 위한 서버 모듈, 가상 기계에 의한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가상 프로토타이핑으로 구성된다. 구현 결과, 인간 중심적인 설계 관점에서 이동성, 정보 접근의 유용성이 좋을 뿐 아니라 데이터 전송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Tandem Mass Spectrometric Analysis for Disorders in Amino, Organic and Fatty Acid Metabolism : 2 Years of SCL Experience in Korea

  • Yoon, Hye-Ran;Lee, Kyung Ryul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6-93
    • /
    • 2003
  • Background : The SCL began screening of newborns and high risk group blood spots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MS/MS) in April 2001. Our goal was to determine approximate prevalence of metabolic disorders, optimization of decision criteria for estimation of preventive effect with early diagnosis. This report describes the ongoing effort to identify more than 30 metabolic disorders by MS/MS in South Korea. Methods : Blood spot was collected from day 2 to 30 (mostly from day 2 to 10) after birth for newborn. Blood spot of high risk group was from the pediatric patients in NICU, developmental delay, mental retardation, strong family history of metabolic disorders. One punch (3.2 mm ID) of dried blood spots was extracted with $150{\mu}L$ of methanol containing isotopically labelled amino acids (AA) and acylcarnitines (AC) internal standards. Butanolic HCl was added and incubated at $65^{\circ}C$ for 15 min. The butylated extract was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MS/MS. Neutral loss of m/z 102 and parent ion mode of m/z 85 were set for the analyses of AA and AC, respectively. Diagnosis was confirmed by repeating acylcarnitine profile, urine organic acid and plasma amino acid analysis, direct enzyme assay, or molecular testing. Results : Approximately 31,000 neonates and children were screened and the estimated prevalence (newborn/high risk group), sensitivity, specificity and recall rate amounted to 1:2384/1:2066, 96.55%, 99.98%, and 0.73%, respectively. Confirmed 28 (0.09%) multiple metabolic disorders (newborn/high risk) were as follows; 13 amino acid disorders [classical PKU (3/4), BH4 deficient-hyperphenylalaninemia (0/1), Citrullinemia (1/0), Homocystinuria (0/2), Hypermethioninemia (0/1), Tyrosinemia (1/0)], 8 organic acidurias [Propionic aciduria (2/1), Methylmalonic aciduria (0/1), Isovaleric aciduria (1/1), 3-methylcrotonylglycineuria (1/0), Glutaric aciduria type1 (1/0)], 7 fatty acid oxidation disorders [LCHAD def. (2/2), Mitochondrial TFP def. (0/1), VLCAD def. (1/0), LC3KT def. (0/1). Conclnsion : The relatively normal development of 10 patients with metabolic disorders among newborns (except for the expired)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newborn screening by MS/MS for early diagnosis and medical intervention. However, close coordination between the MS/MS screening laboratory and the metabolic clinic/biochmical geneticists is needed to determine proper decision of screening parameters, confirmation diagnosis, follow-up scheme and additional tests.

  • PDF

감마선 조사된 고춧가루 첨가 콩나물 무침의 저장 중 품질의 변화 (Quality Changes of Kongnamul Muchim (Cooked Soybean Spouts) Stored with Gamma-Irradiated Red Pepper Powder)

  • 송범석;박재남;김재훈;신미혜;변명우;권중호;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42-6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춧가루의 오염된 미생물을 제거 또는 소시키기 위해 감마선조사를 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콩나물 무침을 제조 한 후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품질 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콩나물 무침용 원재료의 총세균수 평가 결과 고춧가루와 마늘의 경우 5.72와 2.40 log CFU/g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재료에서는 검출한계 이하였다. 대장균군과 곰팡이/효모의 경우 고춧가루에서만 각각 3.11, 3.48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춧가루에 10 kGy 수준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콩나물 무침을 제조 시 저장 중 미생물이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pH와 색도의 경우 감마선 조사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관능적 품질 역시 조직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 kGy 이하로 조사된 고춧가루를 이용한 콩나물 무침은 관능적 품질변화 없이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림 간벌목인 소나무톱밥 첨가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oyster mushrooms after adding pine tree sawdust obtained from thinning out trees in a forest)

  • 이찬중;이은지;박혜성;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8-341
    • /
    • 2018
  • 느타리버섯 재배에 톱밥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포플러 및 미송톱밥 대체용으로 산림간벌목인 소나무톱밥을 사용하여 느타리버섯을 재배한 결과 균사 생장량은 배양 18일후 소나무 톱밥 70% 첨가된 배지에서 10.8 cm였고,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8:2)배지에서는 10.2 cm로 소나무 톱밥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조금 빨랐다. 전체적으로 균사생장량은 소나무 톱밥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8:2)배지와 비슷하였고, 균사밀도도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자실체의 갓 직경과 대 굵기는 소나무 톱밥이 첨가된 배지에서 조금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대와 갓의 경도는 소나무 톱밥 20%와 30% 첨가배지에서 조금 높았다.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소나무톱밥 첨가배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a, b 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당 수량은 대조구가 157 g/850 ml였고, 소나무 톱밥 40% 첨가에서는 170 g/850 ml으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 또한 느타리버섯의 수량과 생육특성을 고려할 때 소나무 톱밥을 20% 이상 첨가하여도 수량에는 전혀 지장이 없었다. 이와 같이 느타리재배에서 산림간벌목인 소나무를 바로 느타리버섯재배에 이용하여도 수량이나 품질에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산림간벌목인 소나무가 느타리재배에 사용하는 포플러나 미송의 대체 배지재료로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Chlorhexidine Mouthrinse on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EBUS-TBNA: A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Kim, Na Young;Park, Jae Hyeon;Park, Jimyung;Kwak, Nakwon;Choi, Sun Mi;Park, Young Sik;Lee, Chang-Hoon;Cho, Jae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4권4호
    • /
    • pp.291-298
    • /
    • 2021
  • Background: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EBUS-TBNA) is a standard diagnostic method for mediastinal and hilar lymphadenopathy. Although rare, fatal infectious complications can occur following EBUS-TBNA. However, to date, there is a lack of effective preventive strategies to reduce these complications. We started a tria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lorhexidine mouthrinse on the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EBUS-TBNA. Methods: This study is a single-center, parallel-group, assessor-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We will enroll 112 adult participants undergoing EBUS-TBNA using a convex probe, and randomly assign them to two groups at a 1:1 ratio. The intervention group will gargle for 1 minute with 100 mL of 0.12% chlorhexidine gluconate before EBUS-TBNA, while the control group will have no mouthrinse before the procedure.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EBUS-TBNA on all targeted lesions with an aspiration needle, a needle wash sample will be taken by instilling 5 mL of sterile saline into the used needle. The primary outcome is colony forming unit (CFU) counts in aerobic cultures of the needle wash samples. Secondary outcomes are CFU counts in anaerobic cultures, fever within 24 hours after EBUS-TBNA, and infectious complications within 4 weeks after EBUS-TBNA. Conclusion: This trial was designed as the first RC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lorhexidine mouthrinse on the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EBUS-TBNA. Results from this trial can provide clinical evidence for a simple, safe, and cost-effective strategy to prevent infectious complications following EBUS-TBNA (ClinicalTrials.gov ID: NCT04718922, registered on 22 January 2021).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팬덤 페르소나 디자인 (Fandom-Persona Design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 설상훈;성기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87-9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축적된 소비자들의 비정형 데이터를 서비스디자인과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물리적인 공간보다 소셜 네트워크 상의 공간에서 주관적이며 집단적 행위를 보여주는 팬덤 현상을 데이터서비스의 관점에서 정의하였다. 팬덤 모델은 기존의 서비스디자인에서 개인적인 수준으로 분석하였던 고객의 페르소나를 집단적인 수준으로 변환시켰으며, 소비자의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이를 패턴화하고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소셜 리스닝으로 수집한 소비자의 데이터는 연관성, 안정성, 결측정도, 그리고 고유성을 기준으로 Column별 데이터전처리를 진행하였다. 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의 브랜드 전략을 적극적 개입형과 소극적 개입형으로 나누고 이러한 전략적 태도가 소비자의 팬덤 커뮤니티의 성장방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의 팬덤 모델을 브랜드전략이 가지는 총 4가지 전략인 독립형, 분산형, 통합형, 그리고 중앙집중형으로 나누어서 제안하였고, 소비자의 팬덤 형상을 시간에 따라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성장모델분석 기법으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