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trend analysi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5초

2024 대한민국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인식조사: 학계와 산업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보다 (2024 Korea Digital Business Trend Study: Listening to Voices from Academia and Industry)

  • 신하진;안현철;김태경;이정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315-335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의 디지털 비즈니스 환경을 분석하여 2024년에 주목할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를 예측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외 ICT 시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객관적이고 심도 있는 분석을 제공한다. 특히, 다차원적인 접근을 통해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트렌드를 도출하였으며,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외 주요 시장조사기관의 보고서를 수집 및 분석하여 초기에 20개의 예비 후보 트렌드를 도출했다. 이후 산업계 및 학계 전문가 10명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 20개 트렌드와 전년도에 선정된 10대 트렌드 중에서 총 15개의 최종 후보 트렌드를 선별했다. 마지막 단계로,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209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2024년 주목해야 할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11개를 선정했다. 이처럼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과학적으로 수렴된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국내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전망을 제시한 본 연구는 한국의 IT 트렌드를 비즈니스 관점에서 이해하고 국제적인 트렌드와의 차이를 이해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밴드에 대한 사용자경험 분석 (User Experience Analysis of Smart bands)

  • 김건아;김석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99-105
    • /
    • 2017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의 발전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로 진입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이 2020년까지 급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아직 대중적인 호응은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사용자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스마트밴드로하여 상품리뷰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경험은 유용성, 사용성, 심미성, 가치성, 신뢰성으로 추출할 수 있었고 이렇게 추출된 자료에서 극성을 분석하여 시각화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격이 고가이고, 기능 개발에 집중되어 있어 축적된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패션아이템이나 악세서리로 인식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제품의 지속적인 사용과 동기부여, 제품의 시장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2차로 스마트워치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밴드와 워치에 대한 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3D프린팅을 이용한 텍스타일 제조 기술동향 (The Recent Tendency of Fashion Textiles by 3D Printing)

  • 김슬기;김혜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127
    • /
    • 2018
  • As an application and potential of 3D printing (3DP) accelerates in diverse industries, the use of 3DP is also increasing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Since the fashion trend is rapidly changing and there are high demands of customized products for customer segments, research on manufacturing of 3DP textiles has become more important. 3DP textiles have differ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depending on a various 3D printing technologies or materia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3DP textiles that meets demand of garment such as flexibility, wearability, tensile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so that 3DP in fashion industry relatively has a narrow range of application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trend of research about manufacturing 3DP textiles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extile's properties. This paper classifies the five types of 3DP textiles and analyses systematically. First, 3DP textiles blended with existing textiles. Second, 3DP textiles utilizing the structural design of existing textiles. Third, 3DP textiles designed with continuous units. Fourth, 3DP textiles utilizing material properties. Fifth, 3DP textiles based on smart materials. Based on this analysis, future research of manufacturing 3DP textiles needs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사물인터넷(IoT)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f Research Trend about Internet of Things)

  • 주정민;나형진
    • 정보화정책
    • /
    • 제22권3호
    • /
    • pp.3-15
    • /
    • 2015
  • 이 연구는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든 분야에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2010년부터 학술지에 실린 101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학문분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물인터넷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주제가 기술과 산업에 치중되어 있었고, 그중에도 기술 분야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 기술 분야에서도 최근 사물인터넷의 기술을 소개하는 기술제안이 대부분이었다. 사물인터넷의 연구방법은 시험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문헌고찰도 상당부분 차지하였다. 사물인터넷을 연구한 학문분야도 공학 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일부 사회과학분야의 연구도 있었다. 사물인터넷은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볼 때, 향후 기술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산업, 서비스, 정책과 제도 분야의 연구를 다양한 학문분야와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시계열 군집분석을 통한 전력수요 예측 연구 (A study on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based on time series clustering in smart grid)

  • 손흥구;정상욱;김삼용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1호
    • /
    • pp.193-203
    • /
    • 2016
  • 본 논문은 ICT기반 시장에서의 수요관리시스템에서의 핵심 요소인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하여, 전체 사용량을 기반으로 예측 하는 방식이 아닌, 시계열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군집별 예측량의 결합을 실시하였다. 시계열 군집 분석 방법으로서 Periodogram 기반의 정규화 군집분석, 예측 기반의 군집분석, DTW(Dynamic Time Warping)를 이용하여 군집화를 시도하였으며, 군집 별 수요예측 모형으로서 DSHW(Double Seasonal Holt-Winters) 모형, TBATS(Trigonometric, Box-Cox transform, ARMA errors, Trend and Seasonal components) 모형, FARIMA(Fractional ARIMA) 모형을 사용하여 예측을 실시하였다. 전체 사용량을 기반으로 예측 하는 방식이 아닌, 군집분석을 통한 군집별 예측량의 결합이 더 낮은 MAPE로 나타남에 따라 우수한 예측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개인정보 위협기반의 트렌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Threats Using Text Mining)

  • 김영희;이택현;김종명;박원형;국광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9-38
    • /
    • 2019
  • 과학기술 분야를 비롯한 산업영역 전반에 걸쳐 기술의 방향성과 흐름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이를 위해 대량의 데이터와 정보에서 주요 토픽을 찾아내고 분석하기 위한 트렌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와 함께 개인정보보호 영역 또한 전망과 흐름을 사전에 파악하고, 선제적 대응을 위한 활동이 요구되고 있지만, 광의적인 형태의 정보보안 영역과 개인정보보호 관련 솔루션 기반의 트렌드 연구등 기술위주의 연구만 이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해 개인정보보호 영역에 국한된 위협기반의 트렌드 분석을 통해 주요 이슈 토픽을 도출하고 현재와 미래의 트렌드를 미리 확인하여, 개인정보처리 기업에서 개인정보보호에 필요한 정책수립과 효과적 대응을 위한 전략수립 방향성 탐색에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콘텐츠 현황분석을 통한 기본요소 추출 (Study on Basic Elements for Smart Content through the Market Status-quo)

  • 김경선;박주용;김이연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1권
    • /
    • pp.31-43
    • /
    • 2015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 정보통신기술)는 창조경제의 핵심이 되는 기술중 하나로 기존산업과 기업의 인프라를 연결하는 매개로 사용되어 기존 상품과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와 더불어 빅데이터, 모바일, 웨어러블 등 새로운 디바이스 부문까지 주목을 받으며 신시장 개척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더 나아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을 연결하며 ICT기반의 사회를 더욱 곤고히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제조업 중심의 하드웨어 개발이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함께 동시다발적으로 융합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융합에서 꼭 필요한 것이 OS인데, 선두주자 구글과 애플을 필두로 관련 기업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 착수하였다. 이에 현 보고서(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디자인전문기술개발사업) 진행을 위해 소프트웨어 시장현황을 조사한 결과,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구글의 안드로이드(Android)와 애플의 iOS가 전 세계시장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후발주자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위해 Web기반 OS, 유사 OS 등 을 출시하여 다양한 경로에서 시장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는 OS를 기본으로 누구나 개발자가 될 수 있는 스마트콘텐츠 활용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콘텐츠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며 빠른 시장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시장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및 스마트분류체계에 따른 앱마켓(App Market)분석, 현 콘텐츠시장 트랜드 분석을 실시하였고 스마트콘텐츠의 범용적 정의와 앱마켓에서 나타난 애플리케이션의 현황과 콘텐츠 시장현황을 비교하여 공통요소 5가지의 흐름을 파악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콘텐츠 시장은 독립적이지만 서로의 연결고리를 가진 형태로 하나의 유기체와 같은 형태로 발전할 것이라 예상하였으며 기존의 기술적 관점, 문화적 관점, 비즈니스적 관점, 소비자 관점에 사회적 관점을 포함한 다시점 관점에서의 분류체계와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수관광 활성화 방안 (Methods to Propel Tourism of Yeosu City Using Big Data)

  • 임양의;김강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39-746
    • /
    • 2020
  • 2016년 세계 경제포럼에서 처음 소개된 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 분석, 사물인터넷, 인공 지능 등의 핵심 정보통신 기술의 변화뿐만 아니라 관광 업계에도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져 오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여수시의 관광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소셜 메트릭스를 사용하여 여수 관광에 대하여 감성어와 긍부정 추이를 추출하고, 네이버 데이터랩을 사용하여 여수 관광에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R 언어로 시각화하였다. 그리고 여수지역을 방문하는 493명의 여행객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SPSS를 사용하여 빈도, 요인, 차이,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여수 여행과 해양 케이블카의 감성어 분석에서는 긍정이 부정보다 월등히 많았다. 설문조사 분석에서 여수지역이 여수 관광 만족도와 활성화에 유의미하고, 연령별로 선호하는 관광지와 검색 기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빅데이터 분석과 설문조사에서 관광객들은 함께 즐기면서 힐링 할 수 있는 해양공원 같은 소프트 컨텐츠가 있는 관광지를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학생이 지각한 O2O 어플리케이션 특성이 O2O 서비스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O2O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n O2O Service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 박종순;이종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47-261
    • /
    • 2017
  • O2O service that combine online with offline servic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O2O service is the new trend that merges online commerce with traditional markets in various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O2O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n O2O service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including O2O application characteristics scale, customer perceived O2O satisfaction scale and O2O use intention scale were administered to 241 college students in Seou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O2O application Characteristics showed influences of O2O service satisfaction. The O2O application charac*teristics showed influences of continuous use of intention of O2O services, O2O services satisfaction showed partial influenc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O2O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 as an initial study O2O service which is spreading with the growth of mobile ICT.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number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SNS 데이터 기반 지역 트렌드 분석 (SNS data based regional trend analysis)

  • 조재현;문남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03-405
    • /
    • 2018
  • 도시 속 상업 공간에서는 공간적 위치에 따른 지리적 이점이나 판매하는 상품뿐만 아니라, 해당 공간 속에서 소비자가 느낄 수 있는 문화와 감성이 소비자가 소비를 유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ICT 서비스 환경이 자리를 잡아 감과 동시에 제4차 산업 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현대 정보화 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심리나 감성, 정서에 들어맞는 공간에 방문하며 소비하고 SNS를 통해 공유한다. SNS는 Social Network Service의 줄임말로 너무나 일반적으로 우리 일상에 들어와 있는 개념이다. SNS의 시작은 마케팅의 한 분야로 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SNS를 이용한 홍보마케팅은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고객들의 주관적인 개개인의 욕구 충족과 감성을 중시하게 됨으로써 예전보다 더 복합적이며 정교해졌다. 본 연구는 SNS 데이터를 블로그, 카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서 지역 명칭을 키워드로 1년간 콘텐츠를 크롤링하며,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한다. 마지막으로 딥러닝 알고리즘인 RNN 중 LSTM을 사용하여 감성 분석 학습 모델을 만들어서 지역별 콘텐츠의 주요분야, 긍/부정을 판별한다. 이렇게 분석한 데이터를 이용해 각 지역만의 특색과 인기 분야, 비인기 분야, 더 나아가 유망한 분야를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