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convergence technology

검색결과 863건 처리시간 0.026초

데이터 기반 테크마이닝(tech-mining)을 통한 융합 R&D 영역 탐색: ICT 기반 산사태 예방 기술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Convergence R & D area via Data-driven Tech mining: The case of landslide prevention technology linked to ICT)

  • 최재경;서성호;강종석;정현상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483-490
    • /
    • 2019
  • Due to the high complexity and diversity of the problems of the future society, it is getting harder to solve with the traditional single technolog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convergence technology, which combines or connects different types of technologies to create new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onvergence R&D area of ICT technology related to landslide prevention/response. It is true that the world has been exposed to various disasters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s a result, there is a tendency to use Big Data and ICT for disaster preparedness and recovery. Especially, in the case of landslides, it is a natural disaster that requires research not only to study actual landslides but also to predict potential landslid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what kind of convergence R&D is being carried out in the field of ICT for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landslide. Therefore, in this study, Web of Science articl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cientometric analysis and 51 landslide-related ICT convergence R&D areas were derived.

Development of ICT as an evolutionary process

  • Hwang, Gyu-hee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9-211
    • /
    • 2002
  • The research shows how the technological chan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accompanied with the usage change. It aims to provide a better conceptualization with empirical findings about the fact that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ICT is a convergence process of ICT factors with the usage of ICT moving from a limited coverage toward a general-purpose. The research adapts a descriptive methodology on a historical matter and demonstrates how it can be conducted through analytical description of Input-Output tables (I/O) the over periods. The case is about the UK with sequential I/O during 1970s- 90s.

  • PDF

농업인의 혁신기술 수용 및 저항 요인과 농식품 ICT 융복합사업 확산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doption of Innovation and Diffusing Intention for ICT Convergency Industry among Farmers)

  • 김덕현;황인택;이승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1호
    • /
    • pp.43-54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adoption of innovation and resistant attitude on farmers' perspectives and also was deigned for developing prompt spread of ICT and facilitating stronghold support center in the convergence agricultural field. To closely examine the variation for exploitation intent of stronghold support center in the ICT convergence agriculture, 110 farmers who had experienced introduction for ICT hybri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revealed the several findings. Fir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lf-efficacy such as confidence of application technology for farmers and adoption of innovative technique (p=.075). Secondly, suitability of using ICT hybri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option of innovation (p=2.750) while complexity of using ICT hybri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indicated the negative effects on the adoption of innovation (p=3.591). Thirdly, introduction cost of ICT hybri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showed the negative effects in the adoption of innovation (p=2.278), whereas adoption of innovation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onghold support center in the convergence agricultural field (p=5.500). Finally, resistance of ICT adoption of innovative technique revealed the negative effects on the stronghold support center in the ICT convergence agriculture. This study, therefore, demonstrated that educational assistance for acquiring ICT technique, suggestion of influences for productivity, and development for skills were needed to extend ICT convergence technology. Additionally, the study indicated the strategies related with promotion as well as ways of minimizing introduction cost.

농식품-ICT 융·복합 기술 개발 및 표준화 추진방향 (A study on standardization and R&D strategies of agrifood-ICT convergence technology)

  • 민재홍;허미영;박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77-780
    • /
    • 2015
  • 현재 우리나라 농업은 농식품 산업과 ICT 융합화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농촌 지역 정보화 확충, 농정 시스템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성장동력을 확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국내 농업 ICT 융합 기술은 생산 분야 위주로 초기단계 수준에 머물러 있어, 생산 유통 소비단계를 아우르는 체계적인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통한 성공 모델의 확산이 필요하다. 또한, 대형 유리 온실의 관제 및 제어 시스템은 외산 제품이 대부분이고, 농식품 ICT 융복합 기술에 관한 표준화 미흡 및 관련 기업의 영세성 등으로 민간 주도의 농식품 ICT 융복합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농업기술에 정보화기술, 자동제어 기술 등 ICT 고유의 기술을 융합시켜 농업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걸쳐 생산성향상, 효율성 증대, 품질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농업-ICT 융합 기술 개발 현황, 표준화 동향 및 정책 동향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가 선도할 농업 ICT-융합 기술 분야를 도출하고 향후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 (Smart Plant Growers Using IOT Technology)

  • 김성진;이현식;김은서;박종찬;오승환;하연석;김대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141-144
    • /
    • 2023
  •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 사회이다. 매년 노인인구의 비율을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20%가 넘으면서 초고령사회로 접어들 전망이다. 이러한 사회적 특성으로 우리는 많은 노인 문제를 겪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문제는 독거노인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매년 고독사하는 독거노인이 많아지고, 지방의 농가인구 또한 점점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lutter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식물과 IOT 기술을 접목하여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독거노인에게는 반려 식물 시스템을 제공하여 이들의 우울증을 완화하고, 지방의 농가인구에 효과적인 스마트팜 시스템을 서비스 함으로써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에너지 ICT 융합과 빅데이터 서비스 (Energy ICT convergence with big data services)

  • 최종우;이일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5호
    • /
    • pp.1141-1154
    • /
    • 2015
  • 본고에서는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효과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에너지 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에 대해 서술한다. 전 세계적인 에너지 사용량 증가 추세에 대응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이들 중 많은 부분은 에너지 생산, 소비, 전달 단계에서 사용하는 장비 자체의 효율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에너지 절감을 위한 ICT 적용은 획일화된 연구 방향에서 벗어나 기존에 고려 대상이 아니던 분야에서의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에너지 기술과 ICT의 융합을 통한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은 대량의 에너지 및 환경 데이터 연계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관성이 불분명하던 데이터 간의 경향성을 찾아내는 것은 새로운 에너지 절감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며, 나아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본고는 에너지 기술과 ICT의 융합을 통해 빅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제 기업 및 프로젝트 사례들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CT 융합 서비스의 키워드 트렌드 분석 (Analysis of Keyword Trend for ICT Convergence Services)

  • 장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5-41
    • /
    • 2014
  • 유비쿼터스 컴퓨팅 네트워크와 함께 IT 및 ICT 융합 서비스 개발을 통하여 미래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정부, 기업 및 학계에서의 관심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중반 이후 ICT 융합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통하여 일반인들의 이해와 관심도를 측정하고 효율적인 정책 추진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융합의 개념과 발전 단계를 짚어보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선정한 ICT융합 서비스들에 대한 검색어를 분석한다. 융합 서비스를 스마트 홈 워크 교통, Health ICT, RFID USN, M2M IoT, e-Navigation, 지능형 로봇으로 분류하여 키워드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심도가 바뀐 서비스와 일정하게 유지되는 서비스들을 알 수 있으며 M2M IoT, 원격진료, 스마트워크, 지능형 로봇 등과 같이 최근에 검색 트렌드가 높은 서비스들과 가전 로봇, Health ICT, 스마트 교통 등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들을 구분할 수 있다. 효율적인 ICT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신 정보기술의 개발, 표준화 문제, 법 제도 규정의 정비 및 정책 지원과 함께 수요자들의 원하는 맞춤형 ICT 융합 서비스 발굴이 요구된다.

이종분야 융합을 통한 연구영역 도출 프로세스 수립 - ICT-화학안전을 중심으로 (The Process for Deriving Research Area by Converging Heterogeneous field - Focused on ICT-Chemistry Safety)

  • 심위;서성호;정현상;최재경;강종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01-208
    • /
    • 2019
  •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open innov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business domain. while exploring the technologies necessary for the convergence of appropriate technologie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discovery process of challengeable research areas by means of the integration of heterogeneous fields which are based on the strategic formulation of ICT and chemical safety industry. In this paper, we consequently propose the 103 detailed convergent technologies based on ICT, especially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t technology and smart big-data platform architecture, were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as of the chemical safety field, We expect that research related to the safety field will be frustrated in the future.

Characteristics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ies

  • Kim, Pang Ryong
    • ETRI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1134-1143
    • /
    • 2013
  • The rising pace of technological chang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has provoked technological convergence by providing a new mode of diversifi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ature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ies by examining comparative empirical evidence on converging versus nonconverging technologies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issues: patent application trends, concentration across technologies, the concentration of patenting activity across firms, R&D efforts, and a technology impact index. For this study, a new operational definition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y is derived, and a massive quantity of patents, up to around 600,000, is analyzed. This study follows the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as well as the modified European Commission's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classification of technologies and industries, respectively.

조선해양산업과 정보통신기술 융합 동향에 따른 표준화 현황 (Standardization Status in Maritime Industry Domain and ICT Convergence Trends)

  • 김재명;임동선;김도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3호
    • /
    • pp.85-97
    • /
    • 2020
  • In the maritime industry,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occurs in two areas. The first one is the convergence of e-navigation technology to apply ICT to the maritime domain. This was led by EU's initiative and is also being promoted in our country. The other one is the convergence of autonomous ship technology to apply various ICT technologies for commercial purposes. This initiative is being led by maritime industries. In this paper, we describe trends of e-navigation and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technology convergence. Subsequently, we explain the standardization status of performance and technical standard bodies,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and related standard-developing organizations to provide the interoperability of these technologies. Finally, we examine ongoing projects in Korea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ir R&D and standard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