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Service

검색결과 763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ICT서비스산업의 개방형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심으로 (Analysis on Determinant Affecting Open Innovation of Korean ICT Service Industry : Focusing on Network Service)

  • 김응도;김홍범;배기수
    • 경영과학
    • /
    • 제32권4호
    • /
    • pp.175-192
    • /
    • 2015
  • Due to the emergence of open innovation driven by development of network service technologies and convergence in ICT service industry, It is necessary for ICT service firms to examine their capabilities for open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examine determinants affecting open innovation in Korean ICT service industry. In order to analyze, this paper uses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based on survey data of Korean ICT service firms.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external network for collaboration is positive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regardless of the innovation type. Specifically, user networks are significant in all types of technology innovation, revealing that it is important to innovation activities of the ICT service firms.

Strategic Considerations for Development of the ICT Industry in Korea: Exploratory Research Using Input-Output Analysis

  • Jung, Joonhwa
    • STI Policy Review
    • /
    • 제7권2호
    • /
    • pp.85-105
    • /
    • 2016
  • This study compares the economic impacts among ICT sectors and derives strategic considerations for development of the ICT industry in Korea. Prior to analysis, this study classified ICT industry into four sectors: ICT equipment, components, service, and SW/system. This study conducted Input-Output Analysis on the four ICT sectors. An Input-Output Analysis is a quantitative economic technique that represents the direct and indirect interdependencies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of a national economy. Features of each ICT sector were observed in the results. Within the ICT equipment sector, production is decreasing, import dependence is increasing, and employment size is very low, relative to the overall ICT industry. The component sector accounts for the over half of the output and value added of the ICT industry, but domestic production has recently declined. The subsector experienced decreasing production and increasing imports relative to the other ICT subsectors. In the service sector, output is small but its production and employment impact is very high. The fourth sector, ICT SW/system, has very low impact on production but high impact on employment. These features suggest two strategies to develop the ICT industry in Korea. First, the ICT component and service sectors should be promoted to stimulat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Second, to encourage employment growth, policies should promote the ICT SW/system and service sectors.

ICT 활용과 서비스산업 일자리창출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CT Usage and Job Creation in Service Industries)

  • 김현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5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eation and ICT usage in service industries. This research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job creatio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for the country. With technology innovation and system integration, manufacturing industries do not create enough employment, therefore, the society relies on service industries for creating job opportunities. Until now, due to limitations, analysis of job creation in service industries through ICT usage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depth. Thus, development of an effective ICT support policy was impossible. In this research, we used seven methods to investigat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ICT usage level and job creation. A rule of large numbers has been applied to reach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government can focus its investment on service industries where job creation rate is the highest. We can expect both reinforcement in competitiveness of our service industry and continuous creation in employment, eventually leading to a virtuous cycle.

Why Did They Choose ICT Materials?

  • Heo, Shin-hy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4호
    • /
    • pp.47-5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ews on utilizing ICT material, especially the reasons for ICT material choice. Numerous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increased use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in educational settings. But the reasons for using it as a learning tool have not been relatively resear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re-servic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about utilizing ICT material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at regard, data was collected in various ways such as surveys, interviews, and brief writings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pre-service teachers were motivated in utilizing ICT material rather than text material. That is the reason why, as adult learners, especially pre-service teachers could be more motivated in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considering idea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of pre-service teachers.

ICT 고객서비스 및 소매유통 조직의 품질경영 활동과 종업원 만족도 및 로열티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TQM Practices,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in ICT Customer Service and Retail Distribution Organizations)

  • 황기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8-198
    • /
    • 2015
  • Both employee satisfaction and loyalt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business performances of organizations in the service industry. However, the influence of TQM practices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has not been examined in the ICT service supply chai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ive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practices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in Korean ICT customer service and retail distribution organizations. Based on an empirical study of 578 respondents in a Korean ICT service company, the study examined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mong TQM practices,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it is found that TQM practic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employee satisfaction, whereas the latter in turn influences employee loyalty.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that the ICT customer service and retail distribution organizations should concentrate on enhancing employee satisfaction of their TQM practices and creating a people-satisfied job environment.

ITU-T 국제표준 중심의 신뢰 서비스 프로비저닝 기술 (ITU-T International Standard based Trust-enabled Service Provisioning Technology)

  • 최환석;최준균;이우섭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0-433
    • /
    • 2023
  • ICT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시스템과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데이터, 인프라, 서비스에 대한 신뢰 제공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ICT 서비스 환경은 특정 서비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의 신뢰(콘텐츠, 인프라, 프로세스, 서비스 제공자 등)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관리할 방법이 없으며, 오로지 서비스 제공자의 자체적인 품질 기준에 의지해야만 하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ITU-T 국제표준 관점의 신뢰성 있는 IC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요구사항, 기능구조, 처리절차를 제공한다.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통해 기존 ICT 서비스 주체(서비스 자원, 이해관계자, 사용자)에 신뢰 제공을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관련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분석된 신뢰를 기반으로 서비스 구성요소의 신뢰를 고려할 수 있다.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분석 - 정보통신기술 이용 현황을 중심으로 - (The Role of ICT on Productivity Growth in Service Industry)

  • 김남희;김기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13-28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서비스 산업의 정보통신기술 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산업별 생산성 분석을 통해 서비스 산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체 자본스톡 중 정보통신기술 자본스톡의 비중과 노동자 인당 정보통신기술 투자액을 이용하여 각 산업별 정보통신기술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 성장회계 방식을 이용하여 이들 산업별로 총요소생산성의 시기별 분석과 외환위기동안의 생산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서비스산업의 전체 자본스톡에서 정보통신기술 자본스톡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0년 이후 줄어들었으나 서비스산업 내 노동자 일인당 정보통신기술 투자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미국 등 선진국과 비교해 보았을 때, 국내 서비스 산업의 정보통신기술 이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업별 생산성 분석 결과, 생산성 향상은 산업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산업들이 외환위기 동안 생산성이 감소하다 외환위기가 지난 후 생산성을 빠르게 회복하고 2003 년 이후부터는 안정한 형태를 보였다. 셋째 정보통신기술을 더 많이 이용하는 산업일수록 생산성 증가가 크고, 외환위기 등 경제 외부적인 변화에서도 더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국내 서비스 산업에서 정보통신기술 이용이 산업의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DF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 (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Hospital Healthcare Service Innovation: Interaction and Knowledge Sharing based on ICT Relatedness)

  • 김찬영;이강덕;김용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9-4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에서 ICT 조직기능 연관성(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latedness)과 조직환경이 의료진간 또는 의료진과 환자간 상호작용과 지식공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지식공유는 의료 서비스 혁신, 그리고 서비스 혁신은 서비스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화된 모델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다. 자원준거관점(Resource based view), 적합구조화이론(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그리고 서비스 혁신이론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에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ICT 조직기능 연관성, 구성원간의 상호작용과 지식공유를 설정했고, 성과요인으로는 서비스 혁신과 서비스 성과를 설정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해 병원에서 종사하는 의료직, 기능직, 사무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검증 결과, 모든 가설들은 유의미하게 성과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조화된 조직환경과 ICT 조직기능 연관성은 서비스 조직구성원 및 환자들의 행위에 영향을 주어 상호작용 및 지식공유를 촉진하고,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의 혁신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ICT 융합 산업 환경에서 서비스 지향 프로토콜 보안 프레임워크 (Service-oriented protocol security framework in ICT converged industrial environment)

  • 이성우;이준경;이경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5-22
    • /
    • 2017
  • 본 논문은 ICT 융합 산업인 스마트 공장,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홈, 스마트 교통, 스마트 헬스 케어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기반 프로토콜들의 취약점을 분석하여 보안 위협을 도출하고 이를 탐지 및 차단할 수 있는 기술들을 제안하였다. 또한 프로토콜 공통의 보안 요소를 정의하고 해당 요소를 포함한 프로토콜 계층별 보안 모듈을 설계하여 개방형 환경에서 쉽고 빠르게 보안 기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지향 프로토콜 보안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서비스 프로토콜 독립적인 보안 모듈과 특화된 보안 모듈을 분리한 프레임워크 구조로 개발하여 다양한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ICT 융합 산업 환경에서 유연하고 신속한 융합 보안 시스템 개발이 가능해 질것이다. 더불어 운영 중인 시스템에 필요한 보안 모듈을 탑재하여 ICT 서비스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고 보안 모듈별 재사용이 가능하여 산업 보안 분야에 생산성이 향상될 것이다.

ICT 기반 융합 서비스 모델의 기술, 프로세스, 전략적 적합 연구 (Research on Technology, Process, and Strategic Fit of ICT Based Service Model)

  • 한현수;박근영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4호
    • /
    • pp.225-245
    • /
    • 2014
  • ICT based convergence application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industrial issue these days. Despite of criticalness and potential economic opportunities of the ICT based convergence, theoretical research to analyze the feasibility and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the application is rather limited. This paper is intended to fill this research gap. In this respect, we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differential benefits of convergent applications, which necessarily include underling ICT technology's contribution attributes extractions, and resulting value increments engendered from user's process effectiveness when ICT based service application is adopted. The research model to assess the differential value of the ICT based service application is developed, grounded on theoretical framework of TPC (Technology-to-performance chain) and contingency fit theories. Scenario based survey method is adopted, and SmartPLS 2.0. i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312 questionnaire. Valid statistical results are presented to provide useful ins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