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Policy Desig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실감형콘텐츠의 공간디자인 적용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Realistic Content to Space Design)

  • 강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69-376
    • /
    • 2017
  • 다양한 경험과 소통이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우리는 상상에 의한 가상에서 실현 가능한 현실로의 경험이 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다. ICT를 기반으로 눈부시게 발전된 기술은 3DTV, UHD TV, 홀로그램에 이르기까지 차세대 영상서비스 기술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는 공간디자인과 결합해 우리에게 놀랍고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이제는 인간의 오감 인식 기술을 활용한 보다 차별화된 콘텐츠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오감을 극대화하여 실제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차세대 콘텐츠로 소비자와 콘텐츠의 능동적 상호작용성과 오감을 만족시키는 경험을 제공하는 실감형콘텐츠의 공간디자인 적용사례를 분석, 그 결과 더 재미있고 편리하게 표현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제작이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시설재배를 위한 지능정보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for Greenhouse Cultivation)

  • 오세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83-190
    • /
    • 2017
  • 최근 국내의 시설재배 면적과 시설규모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복합 환경제어기의 설치 및 사용도 늘어나고 있다. 시설 및 장비의 현대화에도 불구하고 시설을 이용한 재배 기술은 아직 유럽 농업국가나 일본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기술을 활용하여 복합 환경제어기의 효과적인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지능정보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복합 환경제어기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설 내 환경이 작물 생육에 최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재배자에게 생육단계에 맞추어 영농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생육 모델을 활용하여 미래의 생육 상태를 예측하고, 영농목표 달성을 위한 환경제어 방향을 제시한다.

ICT 관점에서 바라본 국가기술자격제도 개선 (Improve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System from ICT point of view)

  • 장진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9-199
    • /
    • 2016
  • 현재의 국가기술자격제도가 당면한 여러 가지 현안에 대해서 원인과 개선사항을 다루고자 하였다. 국가기술자격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가기술자격의 주요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취업 시 가산점 종목과 의무고용 형 법령이 적용되는 종목들의 취득분포를 조사한 결과 우대사항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제기되었던 국가기술자격 제도에 대한 개선요소들을 엄선하여 AHP 분석을 하였다. AHP 분석을 통하여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요소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AHP 실증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 위주로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기술자격 문제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현재의 우대정책이 의무고용 형 자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기술자 경력수첩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의견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기타 제안사항으로, 유사종목의 통폐합을 비롯한 3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국가기술자격의 미래설계에 유용한 데이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CT 교수·학습 측면에서 본 국내 수업모형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Instruction Models for ICT Teaching and Learning)

  • 송연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539-548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모형 관련 논문을 연구시기별, 연구주제별, 수업모형별, 학교급별, 교과목별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의 표집기간은 1977년부터 2013년 3월까지로 설정했으며, 최종 586개의 연구논문을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업모형 연구의 변천사를 시기별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제1기(1977년~1996년), 제2기(1997년~2006년), 제3기(2007년~2013년)이며, 제1기에 8%에서 제2기에 51%로, 제2기에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세 시기에 걸쳐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설계 및 개발'이었으며, 연구가 가장 활발한 수업모형군은 '교과 교육과정지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별로 보면, '범교과' 연구가 다른 교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수업모형의 국내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사회-참여 중심의 스마트도시 성장 전략 (A Strategy of Smart City Growth through Social and Living Lab)

  • 이금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91-298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의 기술적 측면뿐 아니라 사람, 사회, 문화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미래의 시민 생활환경을 제고한 삶의 질 개선 및 살기 좋은 도시로 거듭날 수 있는 사회-참여 중심의 스마트시티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리빙랩 방식으로 시민들의 생활여건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 암스테르담과 문화콘텐츠와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에 선도적인 파리의 사례를 분석하고 사회-참여 중심의 스마트 리빙랩 플랫폼 실행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사회-참여 중심의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성장전략으로는 사람 중심의 사회혁신시스템을 정립하여 스마트 플랫폼 구축, 기술 및 사회혁신분야 간 탄력통합적 상호협력체계 플랫폼 구축 등이다. 결론: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조성, 인종 및 공간 형평성을 통한 다양한 커뮤니티와 지역사회참여,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극복한 기회 창출을 위한 추진요소로 커뮤니티서비스와 도시마케팅을 설정하고 ICT에 기반한 사회-참여 중심의 스마트시티 전략을 제시하였다.

케냐의 전자정부 프로젝트 핵심 성공 및 실패 요인 (Critical Success and Failure Factors of e-Government Project Implementation in Kenya)

  • ;황기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9-128
    • /
    • 2016
  • Use of ICT in Government has ability to improve service delivery to its citizens, and yet many developing countries have lagged behind in the implementation of e-Government. Many e-Government initiatives also fail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identify critical failure or success factors in Kenya, using Heeks' Factor Model.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officials and interested citizens. The analysis results enabled to highlight seven specific success and failure factors, and their constituent elements in Kenya. The Kenyan overall e-Government implementation score belongs to the Zone of Improvement (3.52 of total 5.0), which means partial success or failure. The enablers of e-Government projects are good strategy formula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drive, whereas main failures of e-Government are weak ICT infrastructure. The areas for improvement are project management, design, competencies and funding. Data analysis highlights both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each factor or variable. In particular, Kenyan government excels at the drive for change by top to bottom government officers as well as external stakeholders, while the government officers who are using e-Government are satisfied with the availability of vision, strategy and plan of e-Government implementation. Both technologies and e-transactions laws were the worst of all the variables in e-Government implementation. Two areas should be improved using immediate corrective action. In-depth study reveals that government officers and citizens can't fully use their laptop and mobile devices due to the lack of both ICT network and its operating technology, and legal system associated with the transaction of business information. Finally, the study ends up with recommendations for policy makers to shape the future of e-Government system in both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운동부 지도자들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기록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hone-based Records Management Application for Sports Clubs)

  • 하태현;김세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395-402
    • /
    • 2012
  •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자들이 운동선수들의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기록관리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 것이다. 운동선수들이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전과 같은 훈련을 하여야 하며 그에 대한 방안으로 기구, 시설, 장비, 상황 등에 맞추어 훈련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훈련 시 달성한 기록을 체크하여 운동선수에게 기록에 대한 동기부여를 하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소년 농구클럽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통하여 실제 농구경기에서 쓰이는 기록관리 시스템으로 운동을 하였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 경기 기록 활용이 동기 부여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스마트폰 기반 기록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개발하였으며, 이 시스템을 이용한 후 지도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훈련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실력향상을 위한 동기부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구매단계별 기술-유통 통합(IRC)과 가치에 대한 연구 (An Analysis of ICT-Retail Convergence(IRC) and Consumer Value Creation)

  • 박서니;조은선;나종연;이유리;김수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147-157
    • /
    • 2017
  • 소비자만족과 소비자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유통 통합(ICT Retail Convergence; IRC)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에게 상용화된 IRC의 현황과 가치를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단계별로 고찰함으로써 소비자 관점에서 IRC를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국내 외 유통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IRC 종류를 살펴본 결과, IRC는 체험특화기술인 가상현실(VR)와 증강현실(AR), 정보관련기술인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위치기반기술인 비콘과 RFID, 결제관련기술인 핀테크와 생체인식기술로 구분되었다. 다음으로 각 기술별 대표사례를 수집하고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분석한 결과, 기술 유형에 따라 구매단계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가치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만족향상과 유통산업, 기술의 발전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IRC 도입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산업과 후속연구에서 소비자 지향적으로 기술을 분석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발주단계에서 BIM의 적용수준 설정을 위한 SLA 기반의 BIM 서비스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BIM Service Based SLA for Setting the Application Level of BIM in the Procurement Phase)

  • 김지윤;윤석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1-252
    • /
    • 2016
  • Recently policy and clouding system to mandate the introduction of BIM in construction industry, various sensors technology, BIM in ICT technology and fusion, such as 3D scanning and printing technology has been further activated. However, the expression level of diversification associated with it, plan within one of the BIM project, design, engineering, it is difficult to have a different application has been consistent for each field, such as construction. Thus fell the efficiency of BIM appl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BIM in the business early stage in order destination of posi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utilizing SLA used in the IT field, it attempts to explore scheme which can be evaluated targeted level of BIM suitable for business in the planning phase.

  • PDF

자기조절학습을 이용한 웹 기반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Learning System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 백현기;하태현;신동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권1호
    • /
    • pp.43-56
    • /
    • 2004
  • The emergence of distance learning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requires a lot of abilities from learners, and these become main features to a successful learning. Accordingly, a self-regulated learning is one of the key abilities required by the learners, Hence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Web-Based Instruction(WBI) systems that support this self-regulated learn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not only provides significant positive learning effects, but also appropriates to apply on the WBI because it has learning-structure of specified instruction process and each process requires separated spaces. Therefore, in this study, a model of self-regulated learning system on the web is develop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