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8초

Access, Skills and Constraints of Barangay Officials towards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 Santiago, Cereneo S. Jr.;Ulanday, Ma. Leah P.;Centeno, Zarah Jane R.;Bayla, Ma. Cristina D.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37-54
    • /
    • 2021
  • The study determined the access, skills and constraints towards the usage of ICT among barangay officials. A complete enumeration technique was used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population. A total of 121 barangay secretaries and barangay treasurers comprised the study respond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of barangay officials have access to personal computer at home and in the office using their own mobile data and office internet connectivity. With the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 Unit (LGU),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are advance and proficient in computer usage. As constraints to ICT usage, the study respondents still experienced slow internet bandwidth that makes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weak along with the low income statu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kills and constraints among barangay secretaries and barangay treasurers towards using ICT. It can be concluded that study respondents prefer to use office computer to access the information they need due to the convenience and availability of resources. The study respondents were competent enough to handle their job well but listed slow internet and low financial resources may hamper their ICT usage. Research implications were also offered.

역사적 맥락에서 본 정보통신정책 추진체계 연구 (A Study on the ICT Policy Governance in Historical Context)

  • 성욱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861-871
    • /
    • 2017
  • 온고지신(溫古知新). 옛 것을 익히고 미루어 새 것을 안다. 이 글은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과 그에 따른 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정보통신부문의 조직과 추진체계의 역사적 변화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조직은 1994-2008년의 정보통신부,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가 결합한 방송통신위원회(2008년 ~현재)의 신설, 2013년 방송통신위원회와 분리하여 ICT전담기구로서 미래창조과학부(2013년-현재)의 신설과 같은 변화를 겪었다. 다른 분야의 조직에 비해 유난히 잦은 개편은 각 시기의 각 시기의 정책환경에 따른 조직적 대응이었지만 한편으로, 그 역할을 충분히 완수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기술의 빠른 변화와 확장성의 속성을 고려할 때 최근의 4차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라는 새로운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는 또 다들 조직적 적기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 추진체계 개편에 있어 방송통신융합 분야와의 관계, 정보통신 가치사슬(CPND)의 고려하여 정책기능의 범위를 정하고, 기능 수행을 위한 최적의 조직과 추진체계를 구성해야 한다. 앞으로 정보통신 정책의 기능조정과 조직 개편에 있어 ICT정책 범위의 설정, 전담조직의 설치, 조정기제의 강화, 정부와 시장의 역할 분담 문제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Smart미디어시대 정보통신·미디어(ICT) 분야 규범체계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tructuration of Norm System in the Field of ICT for the Smart Media)

  • 지성우
    • 법제연구
    • /
    • 제44호
    • /
    • pp.33-62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최근 단행된 정부조직 개편의 결과 탄생한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의 소관 법률의 가장 최상위의 ICT관련 법제의 정비와 아울러 기본법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ICT특별법에 담겨야할 헌법적 차원이 기본 문제와 몇 가지 쟁점들에 대해 이론적 실제적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생활방식을 혁명적으로 변화 시켰으며, 전지구적 차원의 네트워크 사회의 출현은 경제적 사회적 기회와 혜택을 제공 하였지만 동시에 도전과 위협의 이슈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기술발전에 따른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혁명으로 인하여 인류가 누리게 된 인터넷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한 사이버공간은 현실적으로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있다. 전송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표현의 자유의 통로 확대와 경제적 기획 창출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을 보다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정보화로 인한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첫째, ICT특별법은 역사적으로 방송통신융합을 넘어선 미디어의 융합시대에 적헙하도록 규범화되어야 한다. 향후 정보화와 정보통신 기술 및 콘텐츠의 개발과 아울러 미디어 분야에서도 경제적 발전과 아울러 언론의 자유를 수호라는 두 가지의 정책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근거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규범구조적 측면에서는 정부의 행위들은 모두 경제발전과 정보의 자유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깊이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정치적 차원에서 말끔하게 해결되지 못한 조직개편의 문제점을 규범적 관점 해소함으로써 소모적 갈등의 발생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ICT특별법은 미래부가 소관하는 정보통신분야, 유료 방송분야, 디지털미디어 콘텐츠 분야를 모두 포괄하는 내용의 기본법적 성격을 가지는 규범이어야 한다. 넷째, 기술적인 관점에서는 ICT융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망중립성의 문제, 디지털 콘텐츠를 둘러싼 이해관계의 대립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ICT특별법은 정보화를 통해 일방적으로 효율성이나 산업의 발전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화가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우리 사회의 민주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의 설계와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야 한다. 향후 이번 ICT특별법의 입안과정에서 논의하고 있는 다양한 관점들을 참고하여 정보통신기술의 강국임과 동시에 정보인권분야에서도 한 발 앞서가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한다.

스마트 철도 통신 표준화 동향과 지향점 (Smart Railway 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Trend and Direction)

  • 김종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07-212
    • /
    • 2022
  • 철도 교통시스템은 최근 들어 각 구성 요소의 자동화 단계를 넘어 지능화를 추구하는 스마트 철도로 발전하고 있다. IoT(: 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딥러닝, AI(: Artificial Intelligence), 블록체인 등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 철도는 국내외 철도 기술에 많은 발전적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스마트 철도 시스템(SRS: Smart Railway System)의 근간을 이루는 철도 통신 기술의 국내외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 철도교통시스템에서의 열차제어 기술(CBTC)이 세계 철도산업에서의 선도 기술이 되기 위한 지향점(UBTC)에 관하여 논한다.

국내 그린 ICT 표준화 추진 현황

  • 김효진;진병문
    • 정보와 통신
    • /
    • 제29권6호
    • /
    • pp.3-8
    • /
    • 2012
  • 산업화 이후 온실효과에 의한 지구 온난화 현상 발생으로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해 관심이 높다. 또한, 최근들어 기상이변 등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시급함을 실감하게 한다. 컴퓨터, 랩탑, 휴대폰과 같은 정보통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기기도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에너지 소비가 많아, 정보통신 부분에서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급증하고 있다. 그린 ICT(Green ICT)는 이러한 정보통신 부분에서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그 표준화 추진이 요구되는 상황이며, 본 고에서는 특히 국내 그린 ICT 표준화 추진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국내 그린 ICT 표준화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단체표준 및 표준화 포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의 국제 표준화 기구에 대한 대응 연구반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Quantum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Future ICT - Review

  • Singh, Sushil Kumar;Azzaoui, Abir El;Salim, Mikail Mohammed;Park, Jong Hyu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6호
    • /
    • pp.1459-1478
    • /
    • 2020
  • In the last few years, quantum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have been developing in various advanced applications to secure the sharing of information from one device to another. It is a classical commercial medium, where several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re connected to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can communicate the information through quantum systems. Digital communications for future networks face various challenges, including data traffic, low latency, deployment of high-broadband, security, and privacy. Quantum communication, quantum sensors, quantum computing are the solu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as mentioned above. The secure transaction of data is the foremost essential needs for smart advanced applications in the futur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quantum communication model system for future ICT and methodological flow. We show how to use blockchain in quantum computing and quantum cryptography to provide security and privacy in recent information sharing. We also discuss the latest global research trends for quantum communication technology in several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Canada, the United Kingdom, Korea, and others. Finally, we discuss some open research challenges for quantum communication technology in various areas, including quantum internet and quantum computing.

ICT 융합 의료기기

  • 남기창;김호철;권범선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12호
    • /
    • pp.44-50
    • /
    • 2014
  • 지난 수십년간 의료기기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의료서비스에 이바지하여 왔다. 최근의 기술동향으로는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이 전통적인 진단과 치료 방법에서 새로운 의료서비스의 형태로 진화를 유도하고 있다. ICT 기술과 의료기기의 융합을 통하여 진단, 치료, 의료정보화 및 개인건강관리 분야에 이르기 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고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개선을 추구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자 증가, 의료비상승, 의료진의 부족이 예상되는 미래환경에서 ICT 기술의 기여도는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전세계적인 정보통신망 인프라의 활성화와 개인용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으로 정보와 기기에 대한 접근성이 훨씬 용이해지고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 건강관리에 대한 서비스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ICT 종주국으로서 의료기기 산업에서도 국내기업의 활약을 기대하며 ICT 융합 의료기기의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FDI, ICT, Trade Openness,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BRICS Countries

  • SOOMRO, Ahmed Nawaz;KUMAR, Jai;KUMARI, Jot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2호
    • /
    • pp.295-303
    • /
    • 2022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one of the primary zones that stimulates economic development in today's globalized world. It promotes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worldwide communication and manufacturing systems, as well as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Many economic activities, such as international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rely heavily on contempora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FDI).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FDI, ICT, trade openness, and economic growth in the context of BRICS countries from 2000 to 2018, with Gross Domestic Produc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elephone subscriptions, Mobile subscriptions, Broadband subscriptions, Internet subscribers, Secure internet servers,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Two variables are used as proxies to manage the macroeconomic environment, while five variables are used as proxies for ICT infrastructure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nalyzed using Generalized Methods of Movements (GMM). According to this study, IC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conomic growth of a few countries. Trade opennes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have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As growing countries, the BRICS must participate in economic reform and liberalization measures. This report suggests policy proposals for improving ICT standards, focusing especially on economic growth, trade openness, and increasing foreign investment in the BRICS countries.

특허정보를 활용한 경북지역 ICT 개발동향 분석 및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ng ICT Development Trend and Promising Technologies by Utilizing Patent Information in Gyeongbuk Province)

  • 한장협;김채복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6-26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산업 관련 기술을 주제로 경상북도의 특허출원 동향과 특허맵 중 하나인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을 적용하여 ICT 기술의 향후 방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북지역 ICT 산업의 기술 동향 및 기술개발 실태를 특허정보를 통해 살펴보고,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한 지역 ICT 산업의 기술방향 정도를 가늠하여, 연구개발전략 수립에 활용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경상북도에서 출원된 특허를 대상으로 국제특허분류(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별 기술동향 파악을 하였고 향후 미래유망기술 도출에 대해 분석하였다. 동향파악을 위해서는 ICT 분류코드에 의거하여 각 부문별로 출원된 특허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상북도의 특허 출원 동향과 기술별 점유율 및 구간별 특허활동 현황, ICT 중분류 기술별 특허 출원 동향, ICT 기술시장 성장단계현황, 연구주체별 특허 출원 동향, 연구주체 간 공동연구 현황, 주요 출원인 특허 출원 동향 분석 등의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망기술 도출을 통해 경북 ICT산업의 기술적 방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북 ICT 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향후 ICT 산업기술의 지향 방향과 기술정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통계적 메타분석을 응용한 미래기술개발로드맵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roadmap through statistical meta analysis)

  • 유영상;박정석;정내양;박찬근;허태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98-10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시장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고 경제 및 사회적 미래예측을 통하여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미래기술을 발굴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계적 메타분석(meta analysis)을 응용하여 미래기술예측을 실시하였다. 특히 미래기술개발을 위한 주요 핵심트렌드를 기술, 고객니즈 차원에서 검토하고, 도출된 동인과 장애요인을 기반으로 하여 통계적 메타 분석을 응용하여 미래기술을 예측하였으며, 정보통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분야에서 메타 분석을 이용하여 예측 가능한 미래기술을 도출하여 미래기술개발 로드맵을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