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그린 ICT 표준화 추진 현황

  • 김효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 진병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산업화 이후 온실효과에 의한 지구 온난화 현상 발생으로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해 관심이 높다. 또한, 최근들어 기상이변 등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시급함을 실감하게 한다. 컴퓨터, 랩탑, 휴대폰과 같은 정보통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기기도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에너지 소비가 많아, 정보통신 부분에서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급증하고 있다. 그린 ICT(Green ICT)는 이러한 정보통신 부분에서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그 표준화 추진이 요구되는 상황이며, 본 고에서는 특히 국내 그린 ICT 표준화 추진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국내 그린 ICT 표준화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단체표준 및 표준화 포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의 국제 표준화 기구에 대한 대응 연구반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방송통신위원회,"그린 ICT 쉽게 이해하기 -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 제3판, 2012.03.
  2. 유종익, "기후변화와 인벤토리의 필요성 및 구축 방안."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그린 IT표준 기술세미나, TTA- 09033-SD. 2009.10.29.
  3. "그린 ICT 표준화 분석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11002-SD. 2011.
  4. "TTA 표준화편람."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11020-SD.2011.06.
  5. " ICT/환경융합표준 포럼운영,"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11056-SA, 2011.12.15.
  6. ITU-T SG5,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http: //www.itu.int/ITU-T/studygroups/com05
  7. ISO/IEC JTC 1/SC 39, "Sustainability for and by Information Technology," http://www.is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