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4초

LDA 토픽모델링을 통한 ICT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주요 연구토픽 및 동향 탐색 (Investigation of Research Topic and Trends of National ICT Research-Development Using the LDA Model)

  • 우창우;이종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9-18
    • /
    • 2020
  •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모델을 적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수행되고 있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분야의 연구과제에 대한 주요 연구 토픽과 동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에는 NTIS(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로부터 최근 5년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체 연구과제 정보를 다운로드받고 이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EZone 시스템과 매칭하여 ICT 분야 연구과제 5,200건을 확보하고, 토픽모델링 기법중 하나인 LDA 모델을 적용하여 연구토픽과 연구동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로, ICT분야 연구과제에 대한 연구토픽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같은 지능정보기술로 확인되었고 연구동향에는 초실감미디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 진행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토픽모델링 결과는 향후 ICT분야 연구개발 계획 및 전략수립, 정책, 과제기획 등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C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성과분석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A Proposal of New Policie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Analysis on Government R&D Expenditure in ICT Industry)

  • 설원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51-159
    • /
    • 2017
  • 본 연구는 IC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후 이루어지는 성과분석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대안들을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성과지표 설계, 성과분석 방법론, 성과분석 결과의 공개 및 비교, 추적조사의 확대, ICT 분야 성과분석의 통합관리 이슈 등을 중심으로 현황 및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과지표 개선을 위한 컨설팅 활용, 사전에 설정된 성과지표의 유지, 효과성 측정을 위한 질적 성과지표의 도입, 사업 특성에 맞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적용, 성과의 비교 평가 강화 및 이를 위한 성과지수 도입, 주요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추적조사 의무화, ICT 분야 성과분석을 위한 독립된 임시 조직의 활용 등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정책 대안이 반영될 경우 향후 IC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의 효율성 및 효과성이 증진될 것이며 나아가 사업의 개선 뿐 아니라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국가연구개발사업과제와 국회 상임위원회 사이의 정책 인식 비교 : ICT 분야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policy perceptions between national R&D projects and standing committees using topic modeling analysis : focusing on the ICT field)

  • 송병기;김상웅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1-1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여러 연구기관에서 논의하고 있는 데이터 기반 평가 방법론 중 토픽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계량적인 값을 도출하고 그 과정에서 실제 전문가들이 수행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과제와 이를 법률과 정책실무에서 다루는 국회 상임위원회 간의 정책적 인식 차이가 있는지 ICT 분야를 중심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다. 먼저 HAN 모델로 사업과제 데이터를 학습하여 ICT 문서를 분류하는 모델을 만들고, 해당 모델을 통해 분류된 ICT 문서를 대상으로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과제 데이터와 국회 상임위원회 회의록에서 도출된 토픽과 분포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총 26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각 토픽이 포함하는 단어와 문서 분포 비율을 살펴봤을 때, 국가사업과제는 상대적으로 전문적인 주제의 문서가 많았으며, 국회 상임위원회는 상대적으로 사회적이고 대중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나타나 인식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인식의 차이를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만큼, 향후 정책이나 과제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기초연구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ICT 분야 국가 R&D 과제의 특허 성과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of Patent for National R&D Project of ICT)

  • 김병정;손영우;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161-1168
    • /
    • 2014
  • 급변하게 산업이 발전하면서 ICT 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ICT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성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성과는 주로 사업화, 매출, 인력 채용, 지적재산권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ICT 분야의 정부 과제 중 과제 수행 후 결과로 얻어지는 특허에 대한 출원 시간을 중심으로 성과를 분석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국가연구개발과제 중 ICT 분야 35,551건을 대상으로 4개의 세부기술과 한국산업표준 17개 분류로 세분화하여 특허 성과 소요 기간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통신 분야가 1.2년으로 기술사업화 활동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가 R&D과제 동향 분석: ICT 분야와 스마트시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ICT R&D using Text Mining Method: Focused on ICT Field and Smart City)

  • 김성순;양명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62-465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ICT분야 R&D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NTIS에서 제공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정보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2017년부터 2020까지의 과제 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연결 관계 마이닝을 통해 키워드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 각 분야에서 핵심 연구주제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상에서 허브 역할을 하는 키워드를 통해 분야 간 융합의 매개 기술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키워드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새롭게 등장하거나 연결 상태의 변화를 보이는 이머징(Emerging) 키워드를 통해 미래 유망 기술이나 최신 연구 방향성을 감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정보통신부 2003년도 연구개발 시행계획(정보통신부분)

  •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 정보화사회
    • /
    • 통권160호
    • /
    • pp.22-27
    • /
    • 2003
  • 정보통신부는 정보기술(IT) 산업의 미래 성장 동력을 배양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화 일등 국가를 이루기 위해 올해 핵심기술 개발 인력 양성 표준화 등 연구개발 사업에 모두 9천718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분야별 투자규모는 정보통신기술 개발사업에 7,061억원, 정보통신 인력 양성 사업에 1,688억원, 정보통신 표준화 사업에 292억원, 정보통신 연구기반 조성 사업에 677억원등이다.

  • PDF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Trend Analysis and National Polic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김병운
    • 정보화정책
    • /
    • 제23권1호
    • /
    • pp.74-9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분야 국가 과학기술 ICT 정책을 제언하는 것이다. 인공지능 산업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따른 주요국의 동향을 분석하고 국가적 측면에서 한국의 현황을 진단 한 후 신(新)넛크래커 현상 극복 등 경쟁력 및 사업화 강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한다. 우리의 현황은 거버넌스, 연구개발(R&D), 법 제도, 사업화, 인력양성 등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거버넌스 체계 개선, 미래 시장선도형 기초 원천 장기적 R&D 추진, 인공지능 사업화 플랫폼 구축 지원, 연구개발 촉진 법제도 및 이용환경 조정, 실무 융합형 시스템통합 인력양성 등 국가적 측면의 정책을 제언하였다.

ICT기반 스마트에너지 인프라 플랫폼 연구

  • 안윤영;박창민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7호
    • /
    • pp.58-62
    • /
    • 2013
  • 최근에 ICT 기반의 융합 서비스 분야로 인구 밀집지역인 메가 시티에서의 교통, 전력, 상/하수도, u-헬스, 안전/보안등의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ICT기반 개방형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인프라 구축 및 개선을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ICT 기반의 융합 인프라 구축 서비스들은 M2M(Machine to Machine)과 D2D(Device to Device)를 기본 연결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을 기반으로 서비스 정보 전달 및 제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IP 기반의 플랫폼이 지원되어야만 융합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 가능할 것이다. 이들 융합서비스 중에서 전력과 관련하여 한국의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하여CO2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일자리와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국가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전력관련 국내 상황을 살펴보면 여름철과 겨울철에 반복적인 전력 수급 불안으로 인해 피크 전력에 대한 예비력이 부족하여 국가적인 재난인 블랙 아웃의 위기를 걱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단지 사업과 관련하여 현황 및 개선 사항들을 알아보고, 향후 거점지구와 국가 단위의 서비스 확장을 위하여ICT 기반의 개방형 인프라 플랫폼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M2M과 D2D를 기반으로 하는 융합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행은ICT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의 우선적인 개발이 필요하며, 플랫폼 기반의 디바이스 보급과 네트워크의 구축이 진행되어야 지속 가능한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토목분야 BIM 적용을 위한 로드맵 제안 및 정보모델표준 개발 기초연구 (Proposal of Roadmap and Basic Research of Information Model Standards for Application on the BIM on Civil Engineering)

  • 김진욱;문진석;주기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76-6186
    • /
    • 2012
  • 건축분야에서는 IFC 표준과 BIM 적용에 대한 다수의 연구 및 적용 사례가 있으나 토목분야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공공 발주기관에서 토목사업에 BIM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나 국가차원에서 BIM 표준 및 납품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토목분야에 대한 BIM과 IFC 국제표준의 현황을 분석하고 토목분야의 표준과 납품체계 구축을 위해 토목분야 BIM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한다. 또한 토목분야에 대한 BIM의 단계적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도로건설분야에 대한 BIM 도입 연구를 우선 수행하고, 현행 도로건설공사를 대상으로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확장 적용한 BIM 정보모델을 작성하고 분석한다.

과학기술 연구개발에서의 젠더혁신 확산방안 - 성별특성분석 토대의 젠더혁신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 (Diffusion Policy for the Gendered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 백희영;우수정;이혜숙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89-1014
    • /
    • 2017
  • 연구의 책임성을 추구하는 주요 선진국은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에 있어 성별특성분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젠더혁신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Fast Follower 단계에서 First Mover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미개척 연구 분야를 선점하기 위한 젠더혁신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분야에서 젠더혁신을 확산하려면 우선 연구개발 사업 전 과정에서 성/젠더분석을 반영한 정책을 천명하고, 연구개발 지원 사업의 제안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젠더혁신 연구지원 방안을 도입하여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추진체계에서 새로운 젠더혁신 연구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려면 법적 기반이 선행되어야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젠더혁신 관련 법 개정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