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M and TE cell number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9초

난소의 형태와 배양 용기가 한우 체외수정란의 발달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orphology of Ovaries and Vessels for In Vitro Maturation on the Development and Cell Number of Korean Native Cow Embryos)

  • 박용수;박흠대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37-41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효율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미성숙 난포란을 회수하는 난소의 형태와 배양 용기로서 straw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난소의 형태에 따른 수정율은 전 군에서 70.3∼84.1%로서 비슷한 경향이었다. 8세포기 및 배반포기 발달율은 황체와 난포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배반포의 inner cell mass(ICM), trophectoderm(TE), total cell number(TCN) 및 ICM/TCN 비율은 낭종군과 퇴행황체군이 다른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체외성숙에 이용하는 배양용기에 따른 수정율은 0.5 ㎖ straw 군이, 8세포기 발달율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나, 배반포기 발달율은 23.1∼30.7%로서 각 군 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한편 각각의 배양 용기에서 유래된 배반포의 ICM, TE, TCN 및 ICM/TCN 비율은 유사한 경향이었다.

Effects of Various Addition and Exclusion Time of Glucose on Development of Mouse Two-Cell Embryos

  • Park S. B.;Park K S.;Lee T. H.;Chun S. S.;Kim K S.;Song H. B.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4호
    • /
    • pp.227-233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addition and exclusion time of glucose (Control: no addition, A: 24~72 h, B: 24~48 h, C: 48~72 h, D: 0~72 h, E: 0~48 h, F: 0~24 h and 48~72 h, G: 0~24 h) on embryonic developmental capacity of 2-cell embryos in mice. Developed blastocysts were assessed for mean cell number by differential staining. The zona-intact blastocyst (ZiB) rates were higher (p<0.05) in group B than control. However, the zona-escape blastocyst (ZeB)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ups. At 72 h, total blastocyst (ZiB + ZeB) formation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ups. The mean cell numb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The inner cell mass (ICM) cell number was higher (p<0.05) in group F than control, group A, B and G. The trophectoderm (TE) cell number was higher (p<0.05) in control than group A and D. The %ICM was higher (p<0.05) in group C, D and F than control. The ICM : TE ratio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ups. Between control and glucose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total blastocysts (ZiB + ZeB) formation rate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mean cell number, ICM cell number and ICM : TE ratio. However the TE cell number was higher (p<0.05) in control than glucose group and %ICM was higher (p<0.05) in glucose group than control. In conclusion, glucose added in culture medium was not inhibitory on blastocyst formation but glucose added for 48 ~72 h in culture medium increases %ICM of blastocysts in mice.

체외성숙, 수정 및 체외배양에서 생산된 소 배반포기배의 ICM과 Trophectoderm세포수에 관한 연구 (ICM-Trophectoderm Cell Numbers of Bovine IVM/IVF/IVC Blastocysts)

  • 김은영;엄상준;김선의;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4
    • /
    • 1996
  • 본 연구는 immunosurgery와 polynucleotide-specific 형광물질을 이용한 differential labelling기법으로 체외에서 소 수정란의 배발달을 유기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CR1배양액을 사용하여 체외생산된 소 배반포기배의 inner cell mass (ICM)와 trophectoderm(TE)의 총 세포수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배반포기배는 체외수정 후 8일째에 얻어졌다. 체외생산된 배반포기배는 배반포강의 확대와 투명대 두께의 감소를 기준으로 초기, 중기 및 팽윤단계로 구분하였으며, 또한 같은 배발달군내의 배반포기배는 다시 두 군으로 나누어 bisbenzimide만을 처리하여 얻어진 총세포수와 immunosurgery와 two polynulceotide-specific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얻어진 ICM와 TE의 총세포수를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외수정 후 8일째 배반포기배의 발달율은 29.3%였으며, 초기, 중기, 팽윤 및 부화단계로 구분하였을 때의 발달율은 각각 8.7, 9.9, 7.6, 3.1%였다. 2) Bisbenzimide를 이용한 배반포기배의 총 세포수는 초기, 중기 및 팽윤단게가 각각 46.9$\pm$8.6, 66.2$\pm$12.5, 122.8$\pm$14.4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CR1이 소 수정란의 발달에 적절한 배양액임을 알 수 있었다. 3) Immunosurgery와 polynucleotide-specific 형광물질을 이용한 differential labelling기법으로 배반포기배의 ICM과 TE 세포수를 초기, 중기 및 팽윤단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ICM 세포수는 각각 12.8$\pm$5.9, 26.3$\pm$8.4, 35.5$\pm$15.0개 이었고, TE 세포수는 각각 30.5$\pm$5.0, 41.3$\pm$8.2, 81.1$\pm$13.4개로 나타나 ICM과 TE 세포수는 초기 배반포기배에서 팽윤 배반포기배로 진행됨에 따라 두배에서 세배 정도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ifferential labelling과 bisbenzimide기법에서 얻어진 각각의 총세포수를 비교하였을 때 총세포수는 발달의 진행 정도에 따라 증가되며 그와 동시에 동일한 군 간의 세포수도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ICM과 TE를 differential labelling하는 기법은 수정란의 quality를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법으로서 착상전 embryo 발달을 연구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체외 생산된 소 수정란의 발달에 있어서 EGF 첨가제 효과와 EGF-R 발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dditive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nd Expression of EGF-Receptor (EGF-R) on IVM/IVF Bovine Embryo Development)

  • 김은영;김묘경;엄상준;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9-288
    • /
    • 1996
  • 본 연구는 EGF가 체외성숙과 수정에 의해 생산된 소 수정란의 발달과 inner cell mass (ICM)와 trophectoderm (TE)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및 공동배양시의 첨가효가를 조사하고 그와 더불어 간적면역 형광법을 이용하여 EGF-R 단백의 발현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GF 1, 10, 100 ng/ml의 농도로 처리되었던 4-세포기와 8-세포기 배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양호한 배반포기 배 발달과 ICM과 TE 세포수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달단계에 따른 EGF (10ng/ml)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8-세포기 이후 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배반포기까지 유의한 배 발달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p<0.05), ICM과 TE 세포수 증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접 면역 형광에 의한 EGF-R의 발현 유무를 조사한 결과, EGF-R는 4-세포기 이후에 발현되며 그 강도는 발달단계가 진행되면서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수정란과 난구세포 공동배양 군은 EGF의 첨가 유무에 상관없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배 발달과 총세포수의 증가를 나타내며, 공동배양군에 대한 EGF 첨가는 수정란과 난구세포와의 공동배양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GF는 착상전 소 수정란의 4-세포기 이후에 발현디는 EGF-R에 반응하여 배 발달을 유기하고, 공동배양시의 배 발달에 유용한 물질형성을 촉진시키지만, 배반포기 배의 ICM과 TE 세포수 증가에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 배지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배 발생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in Maturation Medium on the Development and Cell Numbers of Korean Native Cow Embryos)

  • 박용수;박흠대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31-36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효율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체외성숙 시간에 따른 배지 내의 ammonia 농도를 측정하였고, 체외성숙용 배지의 교환 및 첨가가 배 발생과 배반포의 세포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체외성숙용 배지내의 ammonia 농도는 체외성숙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체외성숙용 배지의 첨가에 따른 수정율, 8세포기 및 배반포기 발달율은 각 군간에 유사한 경향이었다. 배반포의 inner cell mass(ICM) 및 총 세포수(TCN)는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trophectoderm(TE) 세포수는 4.5 시간 첨가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한편 ICM/TCN 비율은 4.5 시간 첨가군이 대조군과 9 시간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체외성숙용 배지의 교환에 따른 수정율은 4.5시간 및 9시간 교환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 8세포기 발달율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한편 배반포기 발달율은 9 시간 교환군이 가장 높았다. 배반포의 ICM 세포수와 ICM/TCN 비율은 9 시간 교환군이 다른 두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 TE 및 TCN은 차이가 없었다.

Treatment of Exogenous GDF9 and BMP15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Oocytes increases the Cell Number of Blastocysts in Pigs

  • Kim, Min Ju;Kim, Young June;Shim, Hosup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2
    • /
    • 2016
  •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GDF9)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15 (BMP15) are oocyte-specific growth factors that regulate many critical processes involved in early folliculogenesis and oocyte maturation. In this study, effects of GDF9 and BMP15 treatment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upon development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were investigated. Neither GDF, BMP15 alone nor in combination affects the number and viability of cumulus cells or the rates of oocyte maturation and blastocyst development. However, the treatment of GDF9 on porcine oocytes increased the number of trophectodermal (TE) cells of blastocysts derived from activated oocytes (P<0.05). The treatment of BMP15 increased the cell numbers of both inner cell mass (ICM) and TE cells (P<0.05). The treatment with the combination of GDF9 and BMP15 further increased the numbers of ICM and TE cells, compared with GDF9 or BMP15 treatment alone (P<0.05). In conclusion, the treatment of GDF9 or BMP15 (or both) enhanced the quality of blastocysts via the increased number of ICM and/or TE cells.

마우스에서 배반포 형성, 세포 수 및 ICM의 비율에 미치는 배양액의 효과 (Effects of Medium on Blastocyst Formation, Cell Number and Percentage of ICM in Mice)

  • 박기상;이택후;전상식;송해범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9권4호
    • /
    • pp.237-243
    • /
    • 2002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media on blastulation, mean cell number, percentage of inner cell mass (ICM) of total cells and ICM : trophectoderm (TE) ratio in mic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552 two cell embryos were retrieved from ICR female mice (4 weeks old) at 48 hr after hCG injection (mated just after hCG injection) and cultured in MEM (n=276) or TCM (n=276) supplemented with 20% hFF. The grading of blastocysts from zona-intact (ZiB) to -escape (hatching and hatched, ZeB) was performed at 72 hours after culture. Total, TE and ICM cell numbers were analyzed by differential staining of blastocys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test with SigmaPlot-2001. P-values < 0.05 were accep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blastulation rate in MEM ($64.9{\pm}4.95%$)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31) than that in TCM ($57.2{\pm}5.22%$).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number of ZiB and ZeB between MEM ($31.9{\pm}2.62$, $33.0{\pm}4.58%$), and TCM ($27.2{\pm}4.28$, $30.1{\pm}4.58%$). A total 314 blastocysts (MEM=166; TCM=148) were stained differentially. Mean cell number of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02) in TCM ($73.1{\pm}3.3$) than in MEM ($61.7{\pm}2.5$). Differential staining was successfully performed in 155 blastocysts (MEM=77; TCM=78). The percentage of IC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M than in TCM ($20.9{\pm}1.3$ vs. $17.1{\pm}1.2%$, p=0.0281). The ICM : TE ratio was higher in TCM than in MEM (1 : $4.85{\pm}0.68$ vs. 1 : $3.78{\pm}0.78$, N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MEM increase the blastocyst formation and percentage of ICM of total cells comparing with TCM in mice.

체외생산된 생쥐배에 대한 EGF와 EGF-R 발현에 관한 연구;I. 체외수정된 생쥐배 발달에 대한 EGF 첨가제 효과와 EGF-R 발현 (Study on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nd Expression of EGF-Receptor (EGF-R) in Mouse IVF/IVC Embryo;I. Additive Effect of EGF and Expression of EGF-R on Mouse IVF Embryo Development)

  • 김은영;엄상준;김묘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1호
    • /
    • pp.13-20
    • /
    • 1997
  • 본 연구는 EGF가 체외수정된 생쥐배의 착상전 발달 및 inner cell mass (ICM) 과 trophectoderm (TE)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그와 더불어 간접 면역형광방법을 이용하여 배 발달 단계에 따른 EGF-receptor (EGF-R) 단백의 발현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세포기 배의 group (5/25 ${\mu}l$)배양은 단독 배양보다 양호한 배 발달을 유도 할 수 있었으며, 단독 배양에서의 저조한 배 발달은 EGF를 첨가함으로서 개선시킬 수 있었다. 특히, 10 ng/ml의 EGF가 첨가된 단독배양군 (62.4%)은 단독대조군 (47.9%)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배 발달을 나타냈다. 또한, ICM과 TE세포수 공히 EGF첨가에 의해 증가되는 것을 differential labelling기법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발달단계에 미치는 EGF의 효과를 검토하였던 바 4-세포기 이후의 배 발달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배반포기배의 ICM도 동시에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간접면역형광에 의한 EGF-R의 발현유무를 조사한 결과, 4-세포기 이후에 EGF-R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EGF는 착상전 생쥐배의 4-세포기 이후에 발현되는 EGF-R에 반응하여 배 발달을 유기하며, 또한 배반포기배의 ICM과 TE세포수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배양액 용량이 마우스 2-세포기 배의 배반포 형성, 세포수 및 내세포괴 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a Volume on Blastocyst Formation, Cell Numbers and ICM Proportion in Mouse Two-cell Embryos)

  • 김성엽;박기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04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마우스에서 배양액의 용량이 배반포 배 형성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sim}4$주령 ICR 암마우스에게 48시간 간격으로 5 IU PMSG와 hCG 주사 후 (hCG 주사 후 수컷과 동숙) $46{\sim}50$시간에 난관으로부터 총 138개의 2-세포기 배를 회수하여 2 ml (group I) 또는 $50{\mu}l$ (group II)의 배양액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20% human follicular fluid)에서 72시간 동안 배반포기까지 배양하였다. 배반포 배는 zona-intact (ZiB)와 zona-escape (ZeB)로 등급을 구분하고 나서, propidium iodide와 bisbenzimide를 이용한 differential staining 방법으로 염색하여 평균 세포수, 내세포괴(ICM) 세포수, 영양배엽(TE) 세포수, 총 세포수에 대한 ICM의 비율 (%ICM) 및 ICM:TE 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정은 $X^2$ test와 t-test를 이용하였으며, p<0.05일 때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 과: Group I과 II에서, 총 배반포 ($62.3{\pm}20.7%$ vs. $63.8{\pm}22.9%$), ZiB ($31.9{\pm}24.0%$ vs. $30.4{\pm}18.2%$)와 ZeB 형성율 ($30.4{\pm}20.8%$ vs. $33.3{\pm}22.3%$)은 차이가 없었다. 87개의 배반포 배를 염색 시도하였는데, 명확하게 differential staining된 41개의 배반포 배만을 대상으로 세포수를 조사하였다. 평균 세포수 ($61.6{\pm}19.5$ vs. $63.7{\pm}26.8$), ICM 세포수 ($13.0{\pm}10.6$ vs. $12.8{\pm}10.5$), TE 세포수 ($49.0{\pm}19.0$ vs. $47.8{\pm}18.7$), %ICM ($21.0{\pm}12.6%$ vs. $21.1{\pm}13.2%$) 및 ICM:TE 비율 (1:$3.77{\pm}4.9$ vs. 1:$3.72{\pm}4.8$)에서도 group I과 II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마우스에서 배 발생 능력의 척도로 쓰이는 배반포 배 형성율 배반포 배의 등급 세포수 및 %ICM 등이 20% 난포액을 첨가한 MEM 배양액의 용량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았다.

Effects of Ovarian Morphology and Culture Vessel on In vitro Development and Cell Number in Embryos of Korean Native Cows

  • Park, Yong-Soo;Kim, Jae-Myeo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31-35
    • /
    • 200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in vitro embryo production in Korean Native Cows (KNC). We examined the effects of ovarian morphologies (Experiment 1) and the culture vessel (Experiment 2) on in vitro maturation (IVM). We measured the subsequent development rates and cell numbers of blastocysts. In Experiment 1, the ovaries of KNC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based on follicle and corpus luteum (CL) morphology. The development rates to the 2- and 8-cell stages were similar among the six groups. The development rates to blastocyst stag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out a CL or follicle (WOCL/F) than in the groups with follicular cysts (FCs), regressive CLs (RCLs) or cystic CLs (CCLs) (p<0.05). The cell number of the inner cell mass (ICM) of blastocysts in the FCs and RCLs groups, and the number of cells in the trophectoderm (TE) in the WOCL/F group, FCs, growing CLs (GCLs) and RC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groups (p<0.05). The total cell number (TCN) in the WOCL/F, FC and RCL groups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groups (p<0.05). The ICM cell number/TCN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C and RCL groups than in the GCL and DF groups (p<0.05). In Experiment 2, oocyte IVM was carried out in culture dishes, in 0.25- or 0.5-ml straws used for freezing sperm. The development rate to the 2-cell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0.5-ml straw group than in the 0.25-ml straw group. The development rates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similar in the dish and the two straw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ell numbers of ICM, TE or TCN or ICM cell number/TCN ratios between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