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HEON-SI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1초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경제공간 변화와 유형 분류 (The Change of Economic Space and the Classification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Gyeonggi-do)

  • 손승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9
    • /
    • 2015
  • 우리나라에서 도농복합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11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도시내 산업입지에 따른 경제공간의 변화가 어떻게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경기도의 도농복합시에서는 산업활동의 입지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분석 대상에 포함된 모든 도시의 사업체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개별 도시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경제공간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이천시와 안성시를 제외한 9개 도시에서 도시지역으로의 경제활동 쏠림현상이 심화되었다. 도시지역으로의 경제활동 쏠림현상은 남양주시 포천시 용인시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주요 산업부문별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경제활동 입지 변화를 토대로 실시한 도농복합시의 유형화에서는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경제공간의 변화 유형은 도농격차 심화형, 도시지역 성장둔화형, 농촌지역 성장형, 도농균형 성장형, 도시지역 성장주도형 등이다. 경기도의 도농복합시에서는 거대도시 서울이나 도시화 수준이 높은 도시에 접한 도시일수록 도농격차가 심화되었고, 대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진 도시일수록 도시지역의 성장이 상대적으로 둔화되었다.

  • PDF

자돈에 투여한 봉독 및 생균제의 효과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and probiotic in piglets)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우순옥;오백영;백하주;박관규;장영채;김순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9-237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oneybee venom, purified using bee venom collector, and feeding of probiotics on the body weight gain, growth rate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gs. A total of 120 pigs were examined and divided into 4 groups 1) Control (basal diet), 2) BV (basal diet + bee venom), 3) PB (basal diet + probiotics), 4) BVPB (basal diet + BV + PB). Average daily weight gain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test groups, especially BVPB (P < 0.05) compared to the contro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ed conversion rate (P < 0.05) and efficiency (P < 0.05) between BVPB and control pigs. Weight gain and survivability was higher in the tests than the controls, but white blood cell count was not. Serum total protein, albumin and IgG concentration of BVPB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ed honeybee venom and probiotics should be used together to effectivel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pigs.

비닐하우스 지역의 지하수 양수에 따른 지하수-하천수 상호 유동 변화 분석 (Change of Groundwater-Streamflow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ion in a Green House Land)

  • 김남원;이정우;정일문;김창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0호
    • /
    • pp.1051-1067
    • /
    • 2012
  • 겨울철 작물재배를 위해서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수막시설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어 과다한 지하수 이용에 따른 수위 강하 및 하천수 감소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수막시설재배 지역에서의 지하수 양수가 지하수 대수층과 연결된 하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수하리 일대 수막시설재배지역에 지하수위와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지하수 관측공을 제내지와 제외지에 설치하고 관측 결과를 분석하여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지하수 상호유동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수위와 수온 관측 결과, 수막시설재배기간 동안 지하수 양수의 영향으로 하천수가 지하수계로 유입되는 손실하천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하천바닥층에 대해 침윤계 실험을 통해서 유도한 수두차와 침윤량간의 관계에 자동관측된 수위자료를 대입하여 하천과 지하수계 상호간 유동량의 연속적인 변화를 산정한 결과 수막시설재배가 한창인 2월말에는 지하수 이용량의 약 16% 만큼의 하천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규모 치수(治水) 사업이 주변 문화재 환경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 Large Water Control on Environment of Surrounding Cultural Heritage)

  • 정선혜;김시현;한예빈;이민영;이현주;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5-402
    • /
    • 2016
  • 수변에 위치한 신륵사를 대상으로 대규모 치수 사업이 주변 환경(온 습도, 강수량, 풍속, 시정현천)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 하였고, 문화재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 인자로 안개일수를 도출하였다. 보 건설 이후 여주 이천지역의 월별 상대습도가 최대 9.6% 감소하였는데 이는 해당 연도의 강우일수 및 강수량의 감소에 의한 것이다. 남한강에 인접한 신륵사는 100 m 이내의 수변과의 거리, 평균 풍속 0.5 m/s의 안개발생 요인들로 안개가 발생하고 유지되기 좋은 입지 환경을 갖고 있다. 신륵사의 안개 발생일수를 보 설치기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설치 직후 발생일이 53일 감소하였다. 안개 발생시 공간에 따른 상대습도는 외부, 조사당 외부, 조사당 내부 순으로 높았고, 조사당 외부와 내부의 차이는 평균 5.4%로 확인되었다. 계절별, 공간별 모두 안개가 발생하는 날의 상대습도가 맑은 날 대비 평균 6.3% 높았다. 남한강의 강폭 면적이 보 건설 전 대비 건설 후 1.45배 증가하여 향후 증발량 증가에 따른 안개발생일수 변화가 예측됨에 따라 안개 발생과 상대습도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봉독이 자돈의 성장 및 혈액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injec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gs)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오백영;이윤근;김봉순;백하주;김순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7-295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honeybee venom injection (VI) collected using bee venom collector compared to that of bee venom accupuncture (VA) on the body weight gain, growth rate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glets. One hundred sixty two piglets from 15 sows were allocated in to three groups; honeybee venom subcutaneous injection groups (97 piglets from 9 sows), honeybee venom accupuncture -treated group (31 piglets from 3 sows), and non -treated control group and 30 days after birth. Honeybee venom subcutaneous injection groups divided by a syringeful; group A (0.5, 1.0, 1.5, 2.0 mg ), group B (1.0, 1.0, 1.0, 1.0 rug), and group C (1.0, 1.5, 2.0, 2.5 mg). During 60 days experiment, weight gain and survivability in VI and VA treatment of pigs were higher compared with control. Survival rate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as 96.8% in group C, 93.2 % in VA and 86.7 % in control. Weight gain and survivability were effected by VI and VA. WBC, RBC, lymphocytes, monocytes,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concentration were not affected by VI and VA. Serum IgG concentration of VI and VA treatments were greater than that of control. In conclusion, VI and VA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an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s of blood Ig G in growing pig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for VI and V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reatment of honeybee venom injection collected using bee venom collector could be used effectively for the increase productivity.

복숭아 '미홍'의 토양 수분 스트레스에 따른 생리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for Soil Water Stresses in 'Mihong' Peach Tree)

  • 권용희;이재만;한현희;류수현;정재훈;도경란;한점화;이한찬;박희승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5-261
    • /
    • 2016
  • 복숭아 '미홍' 품종의 토양 수분 스트레스에 의해 나타나는 지상부의 생리적 반응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잎의 변색, 위조, 낙엽의 순서로 침수와 무관수에 의해 반응이 나타났으며 가지의 기부에서 시작되어 선단부로 확대되었다. 가지의 길이 및 직경 생장이 두 처리구에서 모두 감소되었고 침수에 의한 낙엽이 심하게 발생되었다. 침수에 의해 뿌리의 수분 흡수와 잎의 광합성과 호흡이 감소되었다. 잎의 엽록소가 두 처리구에서 모두 감소되었다. 침수처리구에서는 육안으로 변화가 없던 잎에서도 엽록소가 감소한 것이 해부학적으로 관찰되었다. 전분은 침수와 무관수에서 모두 감소되었고 탄수화물은 침수처리구의 뿌리에서 감소되었다. 침수는 수분의 흡수나 이동이 불량해지고, 광합성능력의 감소와 낙엽이 발생되었다. 결국 저장양분이 부족해져 고사되거나 내한성 약화로 저온피해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복숭아 재배에서 수분 스트레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관수에 유의하고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토양조건을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점토 광물을 이용한 도자기용 소지 제조 및 물성 평가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raw materials for porcelain using clay mineral)

  • 김종영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317-3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도자기 제조용 원료(소지)에 사용되는 점토 광물의 물성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소지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국내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점토광물 중 중국에서 수입된 점토 (블랙점토, 홍점토, 백점토)와 충남 천안, 경남 산청에서 생산된 천안점토, 오부점토를 선택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화학분석 결과, 카올리나이트 등 1차 점토 외에 불순물로 CaO, K2O, Na2O을 포함하는 장석류(카리장석, 소다장석, 회장석)와 규석(SiO2)이 포함되어 있으며 중국산 점토보다 국내 점토가 규석 및 장석질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자기의 색상을 좌우하는 철분(Fe2O3)의 함량에 대해서는 천안점토, 오부점토, 홍점토의 경우 5 % 이상으로 붉은 색상을 띄며 중국산 (블랙점토, 백점토)에 비하여 철분 함량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X-선 결정상 분석을 통하여 원료광물에 존재하는 결정상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원료 물질 모두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 등 1차점토와 함께 쿼츠(quartz)와 장석 등이 주요 결정상(main phase)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점토광물을 원료로 하여 도자기용 소지를 제조하여 소결 후 물성을 평가하였다. 소성 후 수축률은 백자A급 < 백자B급 < 연분청 < 진분청 < 청자 소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환원소성의 경우, 산화소성에 비하여 수축률이 높으며 이는 흡수율 결과와 일치하였다. 1250℃에서 환원소성한 경우, 매우 낮은 흡수율로 자화가 충분히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백자소지를 1200℃, 1250℃ 산화분위기에서 소성한 소성체가 환원소성한 소성체보다 백색도가 높으며, 백색도의 인자인 L* 값이 86~95 %로 환원소성시 81~93 %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철분 함량이 높은 청자소지나 분청소지의 경우, 환원분위기에서 소성한 소성체가 산화소성한 소성체보다 백색도가 높으며 a*, b* 값이 작은 양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Fe2O3 산화물의 환원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