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thesis Abduc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5초

Peirce의 귀추법 양식을 이용한 교육 대학생들이 생성한 가설의 특징 분석 (The Features of the Hypotheses Generat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sing the Form of Peirce's Abduction)

  • 정용재;송진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26-140
    • /
    • 2006
  • 본 연구는 '가설 생성 과정에서 귀추법 사용을 유도하는 틀', 즉 '귀추법 양식'을 고안하고, 그 틀을 사용하여 생성한 가설의 특징을 틀을 사용하지 않고 생성한 가설의 특징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귀추법 양식'은 Peirce가 제시한 귀추법의 의미와 형식에 관한 고찰을 통해 (i) 의심의 대상을 명기하는 단계, (ii) 의심의 대상을 믿음의 대상이 되게 하는 설명을 명기하는 단계, 그리고 (iii) 그 설명을 가설로 명기하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예비 교사 34명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대상에게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게 한 결과, 고안된 '귀추법 양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생성한 경우는, 첫째, 가설의 의미를 혼동하거나 충실히 반영하지 못한 경우로 볼 수 있는 유형들이 전혀 발견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적었고, 둘째, '부분적으로 유사성을 지닌 다른 현상이나 상황에 관한 기존 지식으로부터 유추하여 문제 상황의 원인에 관해 설명하는 유형'의 비율이 특정한 틀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결국, '귀추법 양식'을 사용하여 생성된 가설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현상의 원인에 관한 설명과 지식의 확장 초래'라는 가설의 본래적 의미에 좀 더 충실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귀추법 양식'이, 그 형태가 비교적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과학 수업 현장에서 바람직한 형태의 가설이 생성되도록 돕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한다.

  • PDF

귀추를 이용한 가설 설정이 과학 탐구 능력과 창의적 사고 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ypothesis Formulation using Abduction on Science Processing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 김나영;유병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0-6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hypothesis formulations using abduction on science processing skills and the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s the subject, 2 classes in the $6^{th}$ grade of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were selected. Through the pre/post inspection design between experiment and comparison class, the units of science cour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6^{th}$ grade '1. A change in the weather' and '2. Various gases'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est on science processing skills showed that there was not statistic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in the sub-parts, there was not statistic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it would have a meaningful effect to improve the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of students who performed hypothesis formulation using abduction. Especially, through this, the experimental class g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luency' and 'Elaboration', one of lower categories of the creative activities. The results of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the experimental clas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in the comparative class. However,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this result is meaningless. Thirdly, on the survey about the hypothesis formulation using abduction, many students thought that this learning method was very interesting and helpful to study science.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ability to use abduct thinking was improved more than ever before.

A Test of the Confirming Abduction Model: How Do Students Confirm Their Hypotheses During the Process of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on?

  • Jeong, Jin-Su;Kwon, Yong-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0-125
    • /
    • 200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confirming abduction model (CAM). CAM is a process model which explains how reasoners confirm their hypothetical explicans. To test this model, 154 8th grade students were sampled from one middle school in Korea. Three types of vapor condensation hypothesis confirming tests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tudent confidence increased when hypothetical explicans were borrowed into experienced phenomena from questioning phenomena. These results validated CAM. According to CAM, the process. of confirming hypothetical explican is as follows: representing a questioning phenomenon, representing an experienced phenomenon that is similar to the questioning phenomenon, representing the hypothetical explican of the questioning phenomenon, comparing the questioning phenomenon with the experienced phenomenon, and borrowing the hypothetical explican as the hypothetical explican of the experienced phenomenon from the hypothetical explican of the questioning phenomenon.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Triple Abduction Model for Improving the Skills of Scientific Hypothesis Generation)

  • 정진수;원희정;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95-602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학습에서 가설 생성력 향상에 미치는 삼원귀추모형(TAM)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AM의 가설 생성 절차에 따른 가설 생성 활동 10개와 전통적인 방법에 따른 가설생성활동 10개를 개발하여 각각26명의 고등학생으로 구성된 TAM 집단과 27명의 전통 집단에 투입하였다. 가설 생성 활동 10개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4개의 활동에서 학생들이 생성한 최종 가설의 설명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가설 생성력의 향상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과학 지식 생성력 검사 A형과 B형을 사전과 사후에 각각 투입하여 연구 대상 학생들의 가설 생성력을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TAM 집단이 생성한 가설의 설명도가 전통 집단의 가설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에서 높았다. 가설 생성력 검사에서는 TAM 집단과 전통 집단의 검사 점수가 사전 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에는 TAM집단이 의미 있게 높았다. 따라서 TAM을 적용한 가설 생성 활동은 전통적인 방법보다 가설 생성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A Possible Scientific Inquiry Model based on Hypothetico-Deduction Method Involving Abduction

  • Oh, Jun-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86-501
    • /
    • 2012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wo main problems for the hypothetico-deduction method and to develop a scientific inquiry model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structure of this scientific inquiry model consists of accounts of the context of discovery and justification that the hypothetico-deduction holds as two main problems : 1) the heuristic flaw in the hypothetico-deduction method is that there is no limit to creating hypotheses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2) Logically, this brings into question affirming the consequent and modus tollens. The features of the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tion of hypotheses using an analogical abduction and the selection of hypotheses using consilience and simplicity; second, the expansion phase as resolution for the fallacy of affirming the consequent and the recycle phase as resolution for modus tollens involving auxiliary hypotheses. Finally, we examin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Copernicus's Heliocentric Hypothesis and the main role of the history of science for the historical invalidity of this scientific inquiry model based on three examples of If/and/then type of explanation testing suggested by Laws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005a, 3(1): 1-5) We claim that this hypotheticho-deduction process involving abduction approach produced favorable in scientific literacy rising for science teacher as well as students.

Peirce의 귀추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과학교육적 함의 탐색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Peirce's Abduction in Science Education by Theoretical Investigation)

  • 정용재;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3-722
    • /
    • 2006
  • 본 연구는 Peirce가 제시한 귀추법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에 기초하여 그의 귀추법이 갖는 과학교육적 함의에 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귀추법은 가설 생성의 논리로서, 일반적 규칙과 관찰된 결과를 결합시키고, 유사성에 근거하여 관찰된 결과를 기존 법칙의 한 사례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논리적인 추리이다. 그리고 그 과정은 의심의 상태를 벗어나 믿음의 상태에 이르는 탐구의 과정이다. 이때 도달하게 되는 믿음은 습관의 확립을 수반하고, 습관은 어떤 대상이 갖는 의미 전부이므로, 그에게 있어서 믿음의 정착은 진리에 도달하는 길이다. 단, 그 믿음이 개인적인 경우에는 항상 오류가능하기 때문에, 진리에 도달하는 것은 무한히 탐구할 수 있는 탐구공동체가 궁극적 의견에 도달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의 귀추법은 과학교육에서 첫째, 실제적 효과를 고려하면서 의심에서 믿음으로 가게 하는 가설 생성에 주목할 것, 둘째, 유사성에 근거하여 관찰 결과를 기존 규칙의 한 사례로 귀속시키는 추리에 주목할 것, 셋째, 온건한 의미의 실재론적 관점이 견지되는 탐구공동체를 지향할 것 등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귀추법에 관한 추후 과학교육 연구들과 관련하여 비판적 논의의 한 축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수학적 추론으로서의 가추법 (Abduction As A Mathematical Resoning.)

  • 김선희;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75-290
    • /
    • 2002
  • This Study takes Peirce' abduction which is Phenomenology' first reasoning mode, as a part of mathematical reasoning with deduction and induction. Abduction(retroduction, hypothesis, presumption, and originary argument) leads a case through a result and a rule, while deduction leads a result through a rule and a case and induction leads a rule through a case and a result. Polya(1954) involved generalization, specialization, and analogy within induction, but this paper contain analogy in abduction. And metaphors and metonymies are also contained in abduction, in which metaphors are contained in analogy. Metaphors and metonymies are applied to semiosis i.e. the signification of mathematical signs. Semiotic analysis for a student's problem solving showed the semiosis with metaphors and metonimies. Thus, abductions should be regarded as a mathematical reasoning, and we must utilize abductions in mathematical teaming since abductions are thought as a natural reasoning by students.

  • PDF

견비통을 가진 남성 제조업 근로자에 대한 수지요법 적용의 효과 (Effects of Hand Acupressure to Male Manufacturing Workers with Shoulder Pain)

  • 김연옥;김지원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1-133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hand acupressure in relieving shoulder pain among male manufacturing worker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employed using a nonsynchronized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manufacturing plant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U.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chi}^2$-test and an independent t-test to perform a homogeneity test, and with repeated ANOVA measures to perform an hypothesis test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Hypothesis 1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hand moxibustion would score lower for low shoulder pain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306.05, p<.001). Hypothesis 2,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hand moxibustion would have a wider range of mot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also supported with increased flexion(F=7.73, p<.001), extension(F=7.89, p=.001), abduction(F=21.23, p<.001), and horizontal abduction(F=20.89, p=.028). Hypothesis 3,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hand moxibustion would score lower for quality of sleep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F=56.10, p=.091). Conclusions: Hand moxibustion is effective in relieving shoulder pain for male manufacturing workers, in relieving low shoulder pain and increasing the range of motion.

Biomechanical investigation of arm position on deforming muscular forces in proximal humerus fractures

  • Christen E. Chalmers;David J. Wright;Nilay A. Patel;Hunter Hitchens;Michelle McGarry;Thay Q. Lee;John A. Scolar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4호
    • /
    • pp.282-287
    • /
    • 2022
  • Background: Muscular forces drive proximal humeral fracture deformity, yet it is unknown if arm position can help mitigate such forces. Our hypothesis was that glenohumeral abduction and humeral internal rotation decrease the pull of the supraspinatus and subscapularis muscles, minimizing varus fracture deformity. Methods: A medial wedge osteotomy was performed in eight cadaveric shoulders to simulate a two-part fracture. The specimens were tested on a custom shoulder testing system. Humeral head varus was measured following physiologic muscle loading at neutral and 20° humeral internal rotation at both 0° and 20° glenohumeral abduct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varus deformity caused by the subscapularis (p<0.05) at 20° abduction. Significantly increasing humeral internal rotation decreased varus deformity caused by the subscapularis (p<0.05) at both abduction angles and that caused by the supraspinatus (p<0.05) and infraspinatus (p<0.05) at 0° abduction only. Conclusions: Postoperative shoulder ab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can be protective against varus failure following proximal humeral fracture fixation as these positions decrease tension on the supraspinatus and subscapularis muscles. Use of a resting sling that places the shoulder in this position should be considered.

유사 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ffering Similar Experiences for Hypothesis-Generation Based on Abduction)

  • 박은미;강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56-366
    • /
    • 2006
  • 이 연구는 유사 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 시내 중 고등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에게 미지의 현상을 관찰하게 한 후 인과적 의문점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미지의 현상을 관찰하였을 때, 전체 학생의 79.9%에 해당하는 많은 학생들이 인과적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인과적 질문을 제기하는 빈도는 인지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어서 새로운 현상에 대하여 예측 가설을 설정하도록 한 후, 새로운 상황과 유사한 다양한 실험 상황을 제공한 후에 다시 가설을 설정해 보도록 하였다. 처음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실험 상황을 단순히 기술한 것을 가설로 제안하였으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유사경험을 제공한 후에 실험 상황에 대하여 다시 가설을 설정해 보도록 하였을 때는 변인을 찾고, 변인간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설명한 학생들이 늘어났다. 다양한 유사 경험이 제공되기 전후에 학생들의 가설 설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는 유사 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또한 인지 수준에 따라 가설 설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p<.05).연구 결과로 보아 중 고등학교 현장에서 가설 설정과 관련된 수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는 학생들의 귀추적 사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사 경험의 제기 단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