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tensive crisi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6초

동맥간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runcus Arteriosus)

  • 전태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2호
    • /
    • pp.143-152
    • /
    • 1991
  • From 1983, until June, 1990, 10 patients with various type of truncus arteriosus underwent total surgical correction including Rastelli proced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age at operation ranged from 1 month to 9 years [mean 2.1 years]. Six patients had truncus type I, 3 patients had truncus type II, and one patients had truncus type IIIc. Right ventricular pulmonary artery continuity was established with a porcine valved conduit in 6 patients, mechanical valved conduit in 1 patient, and bovine pericardial conduit in 3 patients. The postoperative right ventricular /left ventricular pressure ratio ranged from 0.4 to 0.71 [mean 0.51${\pm}$0.14]. The lung histology revealed grade II pulmonary obstructive disease even at 4 month of age. Five patients were dead in hospital [50%], and they were less than 2 year of age. One patient, who had severs congestive heart failure preoperatively, died of low output syndrome and the other died of low output syndrome with postoperative bleeding. There were three death, because of a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that might have been prevented. Two of the five survivors had conduit failure over a mean follow up of 42 months [range 1 to 78 months]. Obstructed conduit was removed and a new conduit constructed using the conduit bed as the posterior wall and the patch of bovine pericardium and Dacron as patch the roof of the conduit. One patient died of acute cardiac failure during the operation. Although results in infants less than 2 years old have not been good, current improvement of intra-and postoperative care suggested that prompt repair is indicated for infants with truncus arteriosus.

  • PDF

영아기 개심술 (Open Heart Surgery in Infancy)

  • 이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1호
    • /
    • pp.11-17
    • /
    • 1995
  • Fourty-three infants underwent intracardiac repairs within the first 12 months of life. Mean age was 7 months and mean weight was 6.7 kg. A quarter of them were below 5 kg. Overall mortality including complex anomalies was 17.9%. Thirty-four infants with a ventricular septal defect[VSD were treated. Three infants[8.8% died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but only one[3.7% of the infants without having associated lesions was dead. VSD was repaired either by the incision on the right atrium, pulmonary artery, or right ventricle. Postoperative right bundle branch block[RBBB occurrenc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pproach: 30.8 % in pulmonary arteriotomy, 37.5 % in atriotomy, and 42.8 % in ventriculotomy. Surgically induced heart block did not occur in any patient, but 10 had temporary arrhythmia, and 11 patients were under temporary pacing from one day to 4 days without any persisting rhythm disturbances. Pulmonary hypertension was present in 29 infants preoperatively, and seven of them developed postoperative elevation of the pressure. Infants complicated with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were managed successfully. Inotropics were necessary in 55.8 % of the infants and vasodilators in 37.2 %. Platelet transfusion were needed in 10 cases who required 272 ml in average, but one who died from sepsis consumed 5,370cc of platelets. And we discuss complications and causes of deaths.

  • PDF

총폐정맥 환류 이상증에 대한 술후 장기성적 검토 (Long-term Results Following Surgical Repair of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 원태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6호
    • /
    • pp.565-570
    • /
    • 1995
  • Seventy-three patients with isolated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connection the patients associated with other major cardiac anomalies such as single ventricle, DORV[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and large VSD[Ventricular Septal Defect were excluded were underwent surgical repair from January 1980 through October 1993. There were 45 boys and 28 girls. The mean age at operation was 19.9 months[range 6 days to 24 years and mean body weight was 7.1kg[range 2.6kg to 45kg . The anomalous locations of connection were supracardiac in 38, cardiac in 21, infracardiac in 5, and mixed in 9. In 38 patients[52% , the venous drainage was obstructed. The obstruction ratio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ype were as follows: 53%[28/38 in supracardiac, 52%[11/21 in cardiac, 100%[5/5 in infracardiac, 22%[2/9 in mixed type. The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were persistent left SVC[2 ,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3 , cor triatriatum[1 , and mitral cleft[1 . And associated noncardiac anomalies were imperforate anus[1 and Neil Weightman syndrome[1 . The operative mortality was 23%. The causes of death were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perioperative myocardial failure, pneumonia with sepsis, arrhythmia and etc.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postoperative mortality were the pulmonary venous obstruction and age [p<0.01 . The operative mortality was high in groups of age under 1 month and pulmonary venous obstruction. The mean follow-up was 27.1 months. There were two late deaths. The first patient was three months old boy with supracardiac type and severe obstructive symptoms. The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y was showed anastomotic stenosis and reoperations were performed twice but the patients expired due to pneumonia and sepsis. The second patient was three month old boy with supracardiac type and total correction was done and was doing well postoperatively. Eight years later, he expired suddenly due to arrhythmia. But all the other patients were in NYHA Fc I and received no medications. The 5-year survival rate excluding early expired patients is 97.1 $\pm$ 0.03 %. In conclusion, although the operative mortality of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connection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major cardiac anomalies, we could expect excellent long-term results by early surgical correction.

  • PDF

청색심기형 교정술후 혼합정맥혈 산소분압과 심근상태 및 혈류역학치와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ixed Venous PO2 and Status of Cardiac Performance with Hemodynamic Values after Correction of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 안재호;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212-219
    • /
    • 1989
  • We utilized pulmonary artery pressure monitoring system in risky patients for preventing the postoperative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and for sampling the mixed venous blood. And this mixed venous blood oxygen saturation [MVSO2] or partial pressure [MVPO2]tells us many meaningful patients state. We selected 59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d patients, who were operated in our hospital from Nov. 1987 to Oct. 1988,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ulcorner Hospital, who had pulmonary artery pressure monitoring catheter and who made us know their mixed venous oxygen condition. We found that there was no close relationship between MVPO2 and Cardiac Index [C.I.] during early postoperative period, but on the first and second day after oper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increased as r=0.35[p=0.008], r=0.78[p=0.0001]. So we conclud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MVPO2 and C.I. was more reliable with time going as hemodynamic stabilization. And we experienced no survivors whose MVPO2 was under 20 torr, but that was not the only factor for death.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we can consider the MVPO2 [or MVSO2] representing C.I. after stabilized postoperative condition of the open heart surgery patients, but during early postoperative period, in addition to this MVPO2, we should do also apply other parameter such as urine output, arterial blood pressure, left atrial pressure and pulmonary arterial pressure for exact estimation of the patients status.

  • PDF

대혈관전위증에 대한 동맥전환술 (Arterial Switch Operation for Transposition of G rest Arteries)

  • 이호철;류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78-284
    • /
    • 1996
  • 1989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9명의 대혈관전위증 환자에 대해 동맥전환술을 시행하였다. 연령 분 포는 생후 3일에서 90일까지로 평균 30일 (21일)이 었고 환자는 전례 에서 술전 심초음파 검사로 진단되 었 다. 8례는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대혈관전위증이었으며 1례는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대 혈관잔위증 환아였다. 동반기형으로는 동맥관개존이 8례, 심방중격결손이 7El,대동맥축약이 1례였다. 관동백의 분지 형태는 Yacoub type A가 7례 (77 %), Yacoub type D의 형태가 2례 (23 %)였다. 폐동맥 재 건은 Lecompte 술식을 8례 에서 적용하였고 자가심낭편을 이용하였다. 사망율은 55 %였다. 수술후 1 ~2 일내 사망한 3례는 좌심실 기능부전과 발작성 폐동맥 고혈압이 원인이었고, 수술후 2~3주에 사망한 2례는 술후 감염에 의한 폐혈증이 주원인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17개월이 었고 추적관찰에는 심초음파 를 이용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대동맥 판 폐쇄부전이나 폐동맥 판 상부 협착은 발견되지 않았다. 수술에 따르는 여러 위험 요소들(저체중, 장시간의 체외순환, 체외 순환중 과도한 혈희석, 저체온, 술후 용적 부하, 과도한 \ulcorner\ulcorner\ulcorner사용) 중 술후 과도한 강심제를 사용했을 경우에서만 통계학적 유의성을 가지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 PDF

완전방실중격결손증을 동반한 복잡심장기형의 해부학적 교정술에 관한 연구 (Total Anatomic Correction of Complex Heart Anomalies Associated with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 김현조;김기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63-270
    • /
    • 1996
  • 1986년 7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22명의 복잡심장기 형이 동반된 완전방실중격 결손증 환자 가 완전교 정 수술을 받았다. 연령 분포는6개월에서 11세까지로 평균연령은49.6$\pm$35.8개월이었으며 남녀 분포 는 남자가 7명, 여자가 15명이었다. 동반된 복잡심장기형은 팔로사징이 1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양대혈 관우심실기시증이 6명, 완전대 혈관전위가 4명, 수정 대 혈관전위가 1명이었다. 또한 다운 증후군은 팔로 사징 이 동반된 5예와 양대 혈관우심실기시증이 동반된 1예를 포함하여 6예 (27.3%)에서 있었다. 완전방 실중격 결손증의 Rastelli type은 대 부분이 Rastelli type C에 속하였다(type A ,3, typeB;2, type C: 17). 수술 방법은 전례에 있어 완전교정수술을 시 행하였고, 완전교정수술전 단락 수술을 시 행했던 경우가 6 예 있었다 22명의 환자 중 7명의 환자가 수술과 관련된 원 인으로 사망(31.8%)하였으며, 교정수술 후 기도내 흡 인에 의 한 폐렴 으로 1명의 환자가 수술 61일 후 사망하였다. 사망 원인으로는 수술후 심 폐 기 weaning failure, 저심 박출증 및 이로 인한 급성 신부전, 그리고 좌측 방실 판막의 중등도 이상의 폐쇄부전증과 우 핌 퓽\ulcorner綏括\ulcorner협착으로 재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의 저심박출증 및 지속적 인 폐동맥고혈압, 심부전, 패혈증 등이 있었다. 완전교정술 후 재수술은 4명의 환자에서 시행 (18.2%)하였늘데 좌측방실판막의 폐 쇄부전증과 우심실유출로의 협착이 주된 이유였다. 외래추적관찰 기간은 평균 66.0 $\pm$ 26.7개월 (16.3개월~8.9년)이 었으며, 추적관찰 기간 중 실시한 심에코검사에서 좌측방실판막 폐쇄부전의 정도 및 우심유 출로의 헙착이 증가하여 좌측방실판막륜성형술과 우심유출로확장술을 받은 환자가 1명 있었다. 전반적으로 14명의 환자에서 양호한 경과(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 I~II)를 보이고 있다.

  • PDF

총폐정맥연결이상증을 동반한 단심증 환아의 수술결과 및 위험인자 분석 (Surgical Results and Risk Facor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Single Ventricle Associated with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Connection)

  • 이정렬;김창영;김홍관;이정상;김용진;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2호
    • /
    • pp.862-870
    • /
    • 2002
  • 단심증과 총폐정맥연결이상증을 동반한 환아는 조기에 증상이 발현하는 경우가 흔하며, 특히 폐쇄성 폐정맥 통로가 존재하는 경우는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런 환아군에 대한 일단계 수술 결과와 이에 영향하는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연구방법: 1987년 1월에서 2002년 6월까지 서울대 어린이병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총폐정맥연결이상증을 동반한 단심증으로 일단계 교정술을 받은 3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의 연령의 중앙값은 2.4(0.03~10.7)개월이었고, 남녀비는 29:10이 었다. 단심증은 우세우심실 20례, 방실중격결손을 동반한 단심증 15례, 우세좌심실 3례, 삼첨판 폐쇄증이 1례였고 총폐정맥연결이상증은 상심형 22례, 심장형 5례, 하심형 11례, 혼합형 1례였다. 폐쇄성 폐정맥 통로를 보였던 환아는 11례였다. 수술은 37례에서 단심증의 폐혈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고식술을 시행하였으며, 31례에서 총폐정맥연결이상증을 함께 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환자군을 대상으로 술전상태, 사망률, 술후경과 등을 살펴보고, 조기 사망에 영향하는 인자들을 발견하기 위해 단변량, 다변량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생존 환아의 평균추적관찰기간은 34.3$\pm$43.0(0.53~146.2)개월이었으며 조기사망률은 43.6% (17/39)였다. 조기사망원인은 저심박출증이 8례, 심기능부전에 의한 심례기이탈 실패가 3례, 술후 발생한 패혈증을 동반한 감염(2), 발작성 폐동맥 고혈압(1), 폐부종(1), 폐렴(1), 부정맥(1) 등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서 조기사망에 영향하는 인자는 체중, 신생아기 수술적응, 폐정맥 통로의 폐쇄, 술전상태, 일단계 수술시 총폐정맥연결이상증의 교정, 수술시간, 심폐기가동시간 등이었고, 다변량분석에서는 체중, 일단계 수술 당시의 연령, 신생아기 수술적응, 술전상태, 심폐기가동시간 등이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결론$\boxUl$ 연구자 등은 본 연구를 통하여 총폐정맥연결이상증을 동반한 단심증이 조기에 증상이 발현되어 신생아기 또는 조기 영아기에 일단계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흔하고, 특히 폐정맥 통로의 폐쇄를 동반한 경우 술전상태가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조기에 수술적 교정이 불가피한 경우가 적지 않으며, 이 경우 일단계 수술시 총폐정맥연결이상증에 대한 수술적 교정이 추가되어 수술시간 및 심폐기가동시간이 연장되고 이로 인해 술후 심근기능의 저하가 초래되어 높은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반면, 폐정맥 통로의 폐쇄를 동반되지 않은 일부 환아군에 대하여 일단계 수술시 이를 교정하지 않고 차후로 미루는 것이 수술시간 및 체외순환시간을 단축하고 심근 기능저하와 폐혈관 손상을 줄여 수술성적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 방침이 최종단계의 폰탄 술식까지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이상적인 치료원칙임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추적이 필요하다.

전 폐정맥 환류 이상의 수술 후 폐정맥 협착에 대한 분석 (Postoperative Pulmonary Vein Stenosis (PVS) in Patients with TAPVR)

  • 정성호;박정준;윤태진;장원경;김영휘;고재곤;박인숙;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347-353
    • /
    • 2006
  • 배경: 전 폐정맥 환류 이상의 치료성적은 과거에 비해 많이 향상되었으나, 폐정맥 협착은 아직까지 수술 후에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남아있다. 폐정맥 협착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좋은 시야 확보, 적절한 배치, 충분한 개구부의 크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이러한 원칙하에서 시행한 본원의 경험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전 폐정맥 환류 이상으로 진단 받고, 양심실 교정이 가능한 환자 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 심장형이 41명(55.4%)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 심폐기 가동시간은 $92.1{\pm}25.9$분, 대동맥 차단 시간은 $39.1{\pm}10.6$분이었고, 순환 정지를 시행한 환자는 30명(40.5%)이었고 평균 시간은 $30.2{\pm}10.7$분이었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41.4{\pm}29.1$개월이었고, 모든 환자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다. 결과: 수술 당시 나이의 중간값은 28.5일($0{\sim}478$일), 체중은 3.4 kg $(1.4{\sim}9kg)$이었다. 조기사망은 3명(4.1%)이었고, 원인은 폐동맥 고혈압, 패혈증, 돌연사(sudden death)가 각각 1명씩 있었다. 수술 후 폐정맥 폐쇄는 2명(2.7%)으로 조기가 1명, 만기가 1명이었다. 모두 관상 정맥동으로 연결되는 심장형 전폐정맥 환류 이상을 가진 환자들이었고, 심장외부에서 공통 폐정맥과 좌심방의 후벽을 연결하는 재수술을 시행 받았지만 그 중 한 명은 지속적인 폐정맥 협착으로 사망하였다. 5년 생존율과 5년간 폐정맥 협착을 피할 확률은 각각 $94.5{\pm}2.7%$$97.2{\pm}2.0%$였다. 결론: 본원에서 시행한 양심실 교정이 가능한 전 폐정맥 환류 이상 환자의 수술에서 심장외부에서 좌심방의 후벽과 공통 폐정맥을 연결한 환자들에서는 폐정맥의 협착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원에서 가지고 있는 원칙이 폐정맥 협착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