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1초

중년여성의 심뇌혈관질환 관련요인 및 취약군 규명 (Factor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of Middle-Aged Women Who are Disadvantaged by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 강문정;이지선;박창승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5-195
    • /
    • 2018
  • Purpose: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nd groups disadvantaged by it in Korean middle-aged women,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1,627 middle-aged women, aged 40 to 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7th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sults: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mong middle-aged women wa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menopause, diabetes mellitus, body mass index, and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The incidenc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middle-aged women was found to be the most prevalent in women who have entered menopause, have a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nd have a body mass index greater than $30.0kg/m^2$. Conclusion: This study classifies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risk level of each disadvantaged group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in middle-aged women. The results provide evidence to support a tailored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related factors of disadvantaged groups and to establish strategies in educational and practical aspects.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Medical Care Use and Costs - Cerebrovascular Diseases, Ischemic Heart Disease,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

  • Kim, Kyung-Ha;Noh, Jin-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2호
    • /
    • pp.14-2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obesity with medical care use and costs according to overall diseases, cerebrovascular diseases (CVD), ischemic heart disease (IHD), hypertension (HTN) and diabetes mellitus (DM). The final sample was a group of persons who were free of diseases mentioned above and were not underweight. Their baseline screening program data and health insurance contribution data were connected with a 7-year medical claim database.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baseline BMI into normal, overweight, obese, and severely obese groups. Given the disease type, the total costs of DM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in each obesity group in both males and females. Also, the pharmacy costs for DM were more relevant than any other type of service to the obesity level. Considering the high prevalence of obesity and the relevantly increased medical care use and costs, there is a need for reduction in medical costs through obesity prevention efforts.

비용편익분석을 이용한 일 재가노인간호센터의 고혈압 및 당뇨관리 효과평가 (An Evaluation of Effects on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of a Community-Based Nursing Care Center Using Cost-Benefit Analysis)

  • 임지영;임정남;김인아;고수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5-30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conomic efficiency of a community-based nursing care center to help policy makers determine whether or not to invest in similar facilities. Methods: The subjects were 101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who participated in a health management program from February 1 to July 31, 2007. Direct cost was estimated with center operations cost, medical cost for out-patients and pharmacy cost. Indirect cost was measured by transportation cost. Direct benefit was calculated by saved medical cost for out-patients, saved pharmacy cost, saved transportation cost, and reducing hospital charges. Indirect benefit was estimated with prevention of severe complications. Economic efficiency was evaluated by cost-benefit ratio and net benefit. Results: Operating a community-based nursing care center was found to be cost-effective. Specifically, the cost of operating the center evaluated here was estimated at 135 million won while the benefit was estimated at 187 million won. Benefit-cost ratio was 1.38. Conclusion: The Community-based nursing care center that was described here could be a useful health care delivery system for reducing medical expenditures.

보건진료소 고혈압 관리사업의 실태 (A Study on Hypertension Management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s)

  • 권명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155-169
    • /
    • 2003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고혈압 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의 보건진료소 1,849개소를 모집단으로 하여 비례층화표출법에 의해 700개소의 보건진료소를 선정하여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2003년 3월 13일부터 5월 13일까지 두 달간 실시하여 수집된 205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보건진료원의 평균 연령은 42세였고, 근무경력은 11년에서 20년 사이가 62%를 차지하였고 20년 이상의 근무경력자도 17.2%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간호대 3년제 졸업이 61.3%이고 대학원이상이 7.0%였다. 둘째, 조사대상지역의 생업별 지리적 특성은 농촌인 곳이 77.3%, 어촌이 14.7%이고, 행정적 관할인구는 501-1,000명이 44.3%였고, 실제적 관할인구는 501-1,000명이 53.3%였다. 65세 이상인구의 비율은 평균 26.7%이고, 담당하고 있는 리는 평균 4개이고, 마을건강원의 수는 평균 6명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기타 고혈압 사업과 관련된 특성으로는 월평균 혈압측정자 비율은 평균 25.4%, 월평균 방문가구 중 고혈압 관리를 위해 방문하는 가구 비율은 평균 42.4%, 월평균 내소자 중에서 혈압으로 인해 보건진료소를 내소하는 비율은 평균 15.6%였다. 고혈압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운영협의회의 역할이 있다고 응답한 곳은 15.7%였고, 사업을 수행하는데 마을건강원이 도움된다고 응답한 곳이 52.7%이고 보건진료원 자신이 고혈압 사업을 수행하는데 능력이 충분하다고 응답한 곳이 76.2%였다. 보건지소와의 협조는 잘 된다고 한 곳이 43.4%, 안 된다고 한 곳이 56.7%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주민을 대상으로 한 고혈압환자 예방사업 중에서 보건교육과 관련된 항목 중 보건교육내용선정과 교육시간선정은 보건진료원의 판단 하에 결정하는 경우가 50% 이상이었고, 1년 동안 4회 이상의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곳이 56.7%이며, 교육방법은 강의와 시청각 매체를 이용하고 주로 사용하는 시청각 매체는 비디오라고 83.6%가 응답하였다. 교육자료는 보건소에서 배부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64.5%였고 교육 후에 평가를 실시하는 곳은 22.1%였다. 고혈압환자 조기발견은 96.1%가 보건진료소를 내소하는 경우에 혈압측정을 통해 발견하였고, 89.3%는 가정방문을 통해 환자를 발견, 49.1%는 지역사회 보건의료기관 및 일반자원으로부터 의뢰를 통해 환자를 발견하였다. 그 외에 집단 행사를 통해 환자를 발견하는 경우는 39.5%이고, 기존 자료를 통해 환자를 발견하는 경우는 35.7%였다. 다섯째,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한 고혈압환자 등록 및 관리사업에서 고혈압 환자만을 위해 전용기록지를 사용하는 곳이 35.6%이고, 50% 이상이 타의료기관에서 관리받는 환자까지 보건진료소에 등록해서 관리하고 있었다. 고혈압관리수첩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34.8%였고 고혈압환자 관리를 위해 전산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는 68.5%이고, 사용용도는 월보작성이나 환자치료 및 추구관리를 위해 사용한다고 60%이상이 응답하였고 10.6%는미치료자를색출하는데사용한다고응답하였다. 여섯째, 모든 의뢰환자에게 의뢰서를 발급하는 경우가 22%이고, 반드시 회신서를 확인해서 환자기록지에 보관하는 경우가 26.2%였다. 그외에 민간의료기관과의 공식적, 비공식적인 의뢰체계를 구축한 곳이 64.7%였다. 고혈압환자 치료 및 추구관리에서 투약관리와 혈압 상태관리는 95% 이상이 수행하고 있었으나 생활요법 중에서 스트레스나 비만관리, 식이관리는 약 7%정도가 전혀 확인을 안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작년 한해 동안 고혈압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경우가 약 30%였고, 고혈압 환자만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곳은 70.7%였다.

  • PDF

Issues and Directions in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Korea

  • Kim, Kyung-Won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71-84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the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Korea, and examines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based on literature reviews. Finally, strategies of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Korea are examined.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were examined by surveying 90 senior centers, and 46 public health centers providing nutrition services. Most senior centers(96%) provided health education programs, however, nutrition was only a part of health programs. Among the 41 public health centers which responded to the survey, 73.1%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The frequently covered topics were prevention & management of hypertension/stroke, diabetes, nutritional management during later adulthood, and osteoporosis. Common barrier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elderly education were;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older adults, reliance on lectures, difficulty in following-up. To develop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four stages consisting of needs assessment,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and evaluation should be carefully done. Needs assessment might be done using quantitative or qualitative assessment. Factors influencing nutrition behavior of older adults can be systematically examined using a theoretical approach such as the PRECEDE-PROCEED framework. Qualitative method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also provide insight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needs of older adults. In plann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physical and pshych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should be considered. Literature regarding elderly education suggest that active participation or participatory learning is also effective for older adults. Educational materials are developed following the principle of KISS and pre-tested. Program evaluation has been rarely done in practice, although it provides valuable feedback to the program. Strategie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for Korean elderly include; performing needs assessment, developing a standard program by topics in a logical and systematic way, developing programs for subgroups of elderly, applying diverse education methods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elderly, evaluating programs using simple tools, and delivering a nutrition program as a par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inally,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s strongly recommended to ensure better nutrition education and services to the elderly.

  • PDF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을 위한 지역사회 단계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munity Staged Education Program for the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igh-risk Patients)

  • 이혜진;이중정;황태윤;감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3호
    • /
    • pp.167-180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등록관리 시범사업단 고혈압 당뇨병 교육정보센터를 방문한 고위험군환자와 교육자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하여 질환, 영양, 운동 3영역의 기본, 심화, 개별 3단계로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하여 교육정보센터에 방문한 기본교육군 32명, 단계교육군 37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 임상적 지표, 행동변화단계, 자아효능감을 측정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요구도조사결과 고위험군과 교육자의 요구도가 높은 소그룹형태, 30분-1시간이내 수업 및 이론 50%와 실습 50%의 구성과 형태로 이루어지며 3개월의 교육과정인 질환, 영양, 운동영역의 단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요구도조사 결과 교육영역별 교육내용은 고위험군과 교육자의 필요도와 지식정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에 따라 5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프로그램 구성에 적용할 수 있었다. 첫째, 고위험군과 교육자간의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항목은 기본과정내용으로 반복하게 하였고 둘째, 고위험군의 인지도가 평균점수 이하인 항목은 기본교육과정내용을 조정하여 효과적인 실습방법으로 모든 단계에서 반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고위험군의 지식정도 평균 편차가 큰 항목은 개별교육과정에 포함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습득을 목표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넷째, 고위험군과 교육자간 지식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과 다섯째, 고위험군과 교육자간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고위험군의 참여도가 높은 실습 중심의 심화교육으로 구성하며 교육자도 표준 매뉴얼에 따라 교육방법, 교육환경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도록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교육자 간 격차를 줄이도록 하였다. 교육자와 고위험군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하여 자가관리 목표, 단기 계획 설정을 고위험군과 교육자 상호약속에 의해서 계획하여 실천동기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과정을 단계마다 필수적으로 포함시켰다. 교육프로그램의 평가는 기본교육군, 단계교육군을 대상으로 임상적 지표, 행동변화단계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임상지표 중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p<0.05), 자기효능감 중 혈압/혈당조절 불량시 병원방문,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 복용, 식사량 일정유지(p<0.05), 정기적으로 합병증 검사, 정상적인 혈압/혈당을 유지, 허리둘레 유지, 체중 유지(p<0.01), 행동변화단계에서는 싱겁게 먹기(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환자와 교육자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하여 개발된 실습 중심의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은 이론중심의 기본교육프로그램과 비교한 결과 임상지표, 자기효능감, 행동변화단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 수가 적고 추구관리기간이 짧았으며 임상지표측정이 부족했던 한계점은 있으나 환자가 노인이며 만성질환환자로서 유병기간이 긴 점을 감안하면 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시행한다면 환자의 심뇌혈관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일 농촌지역 성인여성의 건강관련행위와 혈압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Behaviors and the Risk Factors of Blood Pressure of Adult Women in a Rural Area)

  • 전성숙;황진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7-131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ealth behaviors and to find out risk factors of blood pressure of adult women in a rural area. Method: The convenient sample consisted of 159 adult women who lived in G-gun.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health behaviors and mercury type sphygmomanometer for BP, between Jun I and August 15, 2003. Health behaviors measured smoking, alcohol, salt, lipid, stress, exercise, coffee, BMI and medication. To accomplish the goal of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x^2$-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10.0. Results: The average age of subjects was 49.2(SD7.34)years old. The average SBP and DBP of subjects were 126.22mmHg(SDl6.73) and 8 1.25mmHg(SDl 0.3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oking(p=.000), cigarette consumption(p=.001), smoking duration(p=.000), BMI(p=.033), medication (p=.001), family history(p=.000) between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The main risk factors on SBP were medication, age, BMI, family history and smoking duration by 35.7% of the total variance these variables explained SBP. The main risk factors on DBP were BMI, education and medication by 17.60% of the total variance these variables explained DB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lth professional have to emphasize prevention of obesity, lasting medication and no smoking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제주지역 중년여성의 건강 및 구강건강상태와 비만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and Oral Health Status and Obesity in Middle-Aged Women in Jeju)

  • 박정순;박소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1-92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overall and oral health conditions that affect obesity in middle-aged women in Jeju and to help them operate the effective obesity program in the future. Method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71 middle-aged women living in Seogwipo City,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of each participant were measured, a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pplied. Results: The overall health status of obesity comprised depression, stress, diabetes, and menopause. The oral health conditions affecting obesity were bad breath and chewing. Hypertension was the main factor affecting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was the main factor influencing waist circumference. Obesity was more influenced by overall health status factors than by oral health status facto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efficient health care services in the prevention of obesity.

5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보건소 기반 고혈압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Effect of a public health center-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in women older than 50 years of age)

  • 박서연;권종숙;김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28-241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 개발된 고혈압 관리를 위한 식생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서울의 3개 지역 보건소에서 5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8주와 추후관리 8주로 구성된 16주간의 교육을 실시하고 정상혈압군 (71명)과 정상혈압을 초과한 고혈압군 (44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육시작 전, 8주 교육 후, 프로그램이 종료된 16주 후에 실시한 혈압 측정 및 신체계측, 혈액분석,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군의 혈압강하제 복용 비율은 86.4%였고 체중, BMI, 체지방비율, 허리둘레가 정상혈압군에 비해 높았다. 영양교육 8주 후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의 수축기혈압이 감소되었고 (p < 0.05), 체중 (p < 0.001), BMI (p < 0.001), 허리둘레 (p < 0.001), 체지방비율 (p < 0.01)이 감소하였다. 혈액검사결과 고혈압군은 프로그램이 종료된 16주 후 HDL-콜레스테롤 증가 (p < 0.001)와 중성지방 감소 (p < 0.01), LDL-콜레스테롤 감소 (p < 0.05)가 나타났고, 정상혈압군도 HDL-콜레스테롤 (p < 0.001)과 중성지방 (p < 0.01)의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일반식습관 총점수와 규칙적인 식습관, 균형 잡힌 식습관, 건강을 의식한 식습관의 항목 소계,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총점이 두 군 모두 교육 후 유의적인 상승을 나타냈다 (p < 0.001). 또한 정상혈압군의 나트륨 관련 식행동 총점이 상승되었고 (p < 0.001) 고혈압군에서도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부합하여 고나트륨 함유음식의 섭취빈도 총점이 교육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두 집단 모두 국수류, 찌개와 탕류, 김치류와 음료류의 섭취빈도가 낮아졌다. 혈압관리를 위한 자기효능감점수의 총점이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 모두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는데 (p < 0.001) 특히 고혈압군은 자아효능감의 모든 문항점수가 향상되었다. 종합하면 50대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식생활영양교육은 혈압이 높은 군과 정상혈압군 모두에서 혈압관리 뿐만 아니라 신체계측지표 및 혈액지표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저나트륨 관련 식행동을 비롯한 일반식습관의 전반적 개선효과를 보였다. 이는 건강위험에 대한 각성, 식생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계기와 모니터링을 통한 실천 관리를 제공한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요구에 부합한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건강위험이 높아지는 50대 이상 여성의 혈압관리 및 만성질환 예방과 식생활 관리를 위해 보건소에 기반한 지역사회 교육 프로그램의 유효한 모델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융복합 기반의 지역간 흡연율의 변이 분석 (Convergence-based analysis on geographical variations of the smoking rates)

  • 임지혜;강성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75-38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율의 지역간 변이 정도와 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해 2009-2011년 질병관리본부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지역간 변이 분석을 위해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역간 흡연율의 변이요인은 고위험음주율, 고혈압관리교육 이수율, 금연캠페인 경험율, 스트레스 인지율, 고혈압 유병률, 건강보험료, 당뇨병 유병률, 비만율, 근력운동 실천율로 나타났다. 융복합 기반으로 지역별 흡연율의 변이를 파악하는 것은 흡연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역별 맞춤형 보건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향후 흡연율이 높은 지역의 원인과 대상에 맞는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흡연관리사업 방안을 도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