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plasia

검색결과 1,012건 처리시간 0.028초

감잎의 광노화 피부 개선에 미치는 효과(1) (Effects of Persimmon leaf on the Photoaging Skin Improvement(1))

  • 이창현;김남석;최동성;오미진;마상용;김명순;유승정;권진;신현종;오찬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71-781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photoaging effects of Persimmon leaf tea(PLT) in hairless mice(SKH-1) exposed to UVB irradiation.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non-treated group (normal, N) and UV-radiated groups. UV-radiated groups were divided into only UV-radiated group(control, C) and UV-radiated and PLT treated experimental groups[first extraction treated group(PLT-I), second extraction treated group(PLT-II), and third extraction treated group(PLT-III)]. Three PLT treated experimental groups of mice were treated with both oral administration(300 mg/Kg B.W./day) and topical application (100 ul of 2% conc./mouse/day) for 4 weeks. Anti-photoaging effects of Persimmon leaf were evaluated by anti oxidative reaction, stereomicroscopic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The expression of photoaging skin related factors including mast cell tryptase,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reatment of PLT-I, -II, -III prevented the wrinkle formation as well as epidermal hyperplasia, inflammatory cells, disruption of collagen in photoaged skin induced by UVB radiation. It also reduced the PCNA and VEGF expression in the UVB irradiated dorsal skin. Furthermore,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mast cells in the UVB irradiated dermis(p<0.05 and p<0.01). On the effects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function on the treatment with water extract from Persimmon leaf tea(PLT),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S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LT-III group(p<0.05), and catalase(CA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LT-I and PLT-III groups(p<0.05), and PLT-II group(p<0.001). These extracts showed relatively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n UVB-induced oxidative stress in hairless mice(SKH-1). Our results suggest that Persimmon leaf tea may serve as an useful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 and anti-photoaging skin agents in the UVB irradiated skin.

중증 근무력증환자에서 흉선절제술의 효과 및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Surgically Treated Myasthenia Gravid)

  • 민경석;조유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73-78
    • /
    • 1996
  • 1989년 6월부터 1994년 5월까지 5년 동안 임상적으로 중증근무력증으로 진단받고 흉선절제술을 시행받은 23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흉선절제술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연령 및 성별분포, 수술전 증상의 정도와 유병 기간, 수술후 호전정도 그리고 총선의 병리 소견과 별기에 따른 흉선절제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술후 추적기간은 5개월에서 60개월로 평균 15개월이었다. 흉선절제술의 효과를 환자의 수술후 임상증상의 호전정도와 수술후 약물용량으로 분류하여 본 바 a) 완전회복이 5례 (21.7%), b) 임상증상의 현저 한 호전및 얕용량 감소가 11례 (47.8%), c) 약용량은 같으나 임상증상의 현저한 호전이 3례 (13.0%), 4)호전없음이 2례 (8.7%), e)사망이 1례(4.3%), f) 재발이 1례 (4.3%)로서 23례 중 19례 (82.5%)에서 완전회복 및 임상증상의 현저한 호전을 보였다. 수술전 증상의 중증도와 흉선절제술의 효과를 분석한바, Modified Osserman Staging 분류상 제1군 9례중 6례 (66.7%)가 임상적 호전을 보였고, 3례 (33.3%)에서는 호전이 없었다. 흉선절제술의 효과가 이 두 Group (제I기, 제II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수술후 흉선의 병리 \ulcorner흉선절제술의 효과를 분석한바, 정상흉선의 4례는 전례 (100%)에서 모두 호전을 보였고, 과형 성 11례 에서는 10례 (90.9%)에서 호전을, 1례 (9.1%)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총선종이 있었던 8례 에서는 5례 (62.5%)에서 임상적 호전을 보인 반면 3례 (37.5%)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흉선조직의 병리에 따른 흉선절제술의 효과와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흉선절제술을 시행받은 대부분의 환자(82.5%)에서 완전회복 및 임상증상의 현저한 호전을 가져 왔다. 그러나 수술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알려진 증상의 중증도나, 흉선의 병리소견과 수술후 근무력증 치료효과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 PDF

알러지성 천식 모델 생쥐에서 프랑킨센스 에센셜 오일의 염증 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Boswellia sacra (Franckincense) Essential Oil in a Mouse Model of Allergic Asthma)

  • 이혜연;윤미영;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3-352
    • /
    • 2008
  • 프랑킨센스는 감람나무 종에서 얻어지는 gum resin으로, 성분은 5-9% 방향정 에센셜 오일, 알코올-용해성인 65-85% resin과 수용성인 gum 잔여물로 구성된 복합물이다. 프랑킨센스의 알코올 용해성인 resin 성분들의 항염증 작용은 잘 알려져 있으나, 방향성 에센셜 오일 성분이 알러지성 천식에 작용을 하는지의 여부는 보고되지 않았다. 실험은 프랑킨센스 에센설 오일(BSEO)이 ovalbumin(OVA)으로 유발된 알러지성 천식 생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BALB/c 생쥐는 OVA로 복강감작 후 OVA 기도 투여로 면역반응을 유발시켰다. 실험그룹은 0.3% BSEO를 8주간 흡입시켰다. OVA로 감작, 유발시킨 BALB/c 생쥐에서 기도내 호산구 침윤증가, 점액분비 증가와 기도과민성이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BSEO 처치군에서 BALF내 호산구수, 술잔세포의 과증식, 기도과민성이 감소되었다. BALF내 사이토카인 분석 결과, BSEO는 Th1 사이토카인인 IFN-$\gamma$를 증가시켰으며 Th2 사이토카인인 IL-4, IL-5와 IL-13을 감소시켰다. 또한, OVA-specific IgE와 eoxtain 분비를 억제시켰다. BSEO 흡입 군에서 종격동 림프절의 $CD4^+$, $CD3^+/CCR3^+$, 및 $B220^+/CD23^+$ 세포들 또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BSEO는 Th1/Th2 관여 면역조절인자로 판단되며, BSEO 흡입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알러지성 기도 염증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2-Bromopropane의 수컷 랫트를 이용한 고환 독성시험 (Testicular Toxicity of 2-Bromopropane in Male Sprague-Dawley Rats)

  • Cha, Sang-Eun;Park, Sang-Rae;Kim, Kgu-Hwan;Choi, Jeung-Suk;Kim, Sung-Kuk;Jeon, Tae-Wo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4호
    • /
    • pp.123-130
    • /
    • 2000
  • 택트 스위치 제조공정 침지액의 주성분인 2-bromopropane독성에 대한 연구로 최단기의 폭로로 농도를 달리하여 3주간 반복 투여 시험을 시행하여, 흰쥐의 혈액 및 세정관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투여기간 동안의 체중의 변화, 고환, 간, 신장 등의 장기무게, 혈액화학과 혈액학적 분석 및 고환의 병리조직의 변화 등을 관찰하여 2-bromopropane의 급성투여 조건에서의 중독현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농도를 달리하여 투여에 따른 체중변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체중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1.000 mg/kg 투여군에서 백혈구수, 적혈구수, 혈구용적과 혈색소 농도에서 유의한 변화(p<0.05)를 보였다. 조직병리학적 소견으로 정 소에서는 세정관의 정조세포와 정모세포의 괴사를 볼 수 있었고, 기저막의 비후, 세정관의 Sertoli세포는 광범위하게 세포질성 공포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간질조직에서는 Leydig 세포의 증식을 볼 수 있었다. 2-bromopropane의 손상부위는 조혈과 생식계가 표적으로 생각되며, 고농도 투여가 저농도 투여에 비해 독성이 심하며 독성물질의 양-반응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 PDF

부갑상선암 (Parathyroid Carcinoma)

  • 조은철;서진학;정웅윤;김호근;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5-209
    • /
    • 2001
  • Purpose: Most cases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are due to parathyroid adenoma or parathyroid hyperplasia. Parathyroid carcinoma is a very rare cause of hyperparathyroidism. Although the diagnosis of parathyroid carcinoma is usually established by pathologic criteria especially of vascular or capsular invasion, some clinical and biochemical features differentiate it from benign forms of hyperparathyroidism. We under-took a retrospective study in 6 patients with parathyroid carcinoma, with the aim of conveying experience from management for this rare cause of hyperparathyroidism. Methods: Clinical symptoms, biochemical laboratory, radiologic, and intraoperative findings,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were analyzed in 6 patients diagnosed pathologically as a parathyroid carcinoma after operation from 1992 to 2001. Results: Mean age was 50.2 years (33.0-60.0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1. Neck mass was found in 5 patients, multiple bone pain in 3 patients and renal stone in 1 patient. One case has suffered from chronic renal failure for 19 years. Although preoperative laboratory evaluations showed the aspects of hyperparathyroidism in all cases, mean serum calcium level was 11.2mg/dl(10.5-12.1mg/dl), slightly elevated. Laboratory values after surgery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in 5 cases. However, in one case with chronic renal failure, serum PTH levels, serially checked, were above the normal range. Any of imaging methods failed to suggest a parathyroid carcinoma preoperatively. Parathyroid adenoma was suspected in 3 cases, thyroid cancer in the other cases before surgery. The extent of resection was radical resection of parathyroid lesion with more than unilateral thyroid lobectomy and central compartment neck node dissection and in 2 cases, the resection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or strap muscles was added. During follow-up period, any local or systemic recurrence were not evident in all the cases. Conclusion: Although parathyroid carcinoma is a rare disease and its preoperative diagnosis, in our experience, could not easily be made,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 clinical and biochemical feature could help diagnosis at first surgery. Radical resection without remaining residual tumor is most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the parathyroid cancer.

  • PDF

전염성 단핵구증과 비경색증이 동반된 청소년 난치성 가와사끼병 1예 (A case of adolescent Kawasaki disease with Epstein-Barr virus-associated infectious mononucleosis complicated by splenic infarction)

  • 최병삼;권보상;김기범;전윤경;천정은;배은정;노정일;최정연;윤용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1029-1034
    • /
    • 2009
  • 가와사끼병은 주로 소아기에 발생하는 급성 전신 혈관염으로, 원인은 아직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EBV는 전염성 단핵구증의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또한 가와사키병의 원인으로도 보고된 바 있다. 가와사끼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관상동맥류를 포함한 심혈관계 합병증이 주를 이루지만, 다양한 종류의 합병증들이 보고 되고 있다. 저자들은 EBV 감염과 연관된 전염성 단핵구증, 거대 관상동맥류, 심낭삼출, 비경색증이 동반된 난치성 가와사끼병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3번의 면역글로불린 치료에도 반응이 없었지만, pulse methylprednisolone 치료 후에 임상 증상은 급격히 호전되었고, 거대 관상동맥류만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타목시펜 사용과 연관되어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 자궁내막폴립 1예 (A Case of Tamoxifen-Associated Rapid Growing and Multiple Endometrial Polyps)

  • 이희준;김훈;구승엽;한원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73-179
    • /
    • 2010
  • 유방암의 치료는 수술, 항암치료 및 방사선 치료 등의 주 치료법이 있으며, 유방암 환자에서 주 치료 후 보조적 치료 수단으로 호르몬 치료가 사용된다. 이 호르몬 치료에는 타목시펜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타목시펜은 체내에서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보여 유방암 치료에 도움을 주며 유방암의 재발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타목시펜의 부작용 또한 여러 가지가 있으며 문헌에 보고된 것으로는 자궁내막폴립,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도 유방암으로 수술 치료를 시행 받은 후 보조적 치료로서 호르몬 제제인 타목시펜을 사용하여 왔으며 이러한 환자들은 모두 외과와 협진하여 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하고 있다. 최근에 본원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 중인 타목시펜 사용 환자 중에서, 호르몬 치료 시작 3개월 후의 단기간 내에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타목시펜의 부작용으로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유방암 수술 후 보조적 치료로 타목시펜을 사용한 환자들 중 우연히 발견된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 중독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n 5 cases of lead poisoning)

  • 이정미;이형우;현명수;정문관;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29-38
    • /
    • 1989
  • 5예의 연중독 환자를 경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자가 3예, 여자가 2예였다. 2. 납중독의 원인은 개인적 원인에 의한 환약복용이 3예, 직업성 중독이 2예였다. 3. 입원 당시 4예는 위장증상을 주소로 입원하였고 복통, 변비, 복부팽만을 호소하였으며 장 연동음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1예는 위장증상 없이 빈혈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4. 전 예에서 빈혈과 망상적혈구의 증가(평균 4.7%)와 호염기성 반점을 관찰할 수 있었고 혈색소의 평균치는 9.2gm/dl이었고 정구성, 정색소성 빈혈이었다. 5. 골수천자를 시행한 4예 모두에서 적혈구제의 증식이 있었고 호염기성 반점을 관찰할 수 있었고 평균 M : E비는 0.72 : 1이었다. 6. 혈중연은 4예에서 증가되어 있었고, 24 시간 소변 연, ALA와 CPP는 전 예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7. 복통 및 빈혈은 Ca-EDTA 투여 후 호전되었다.

  • PDF

Is Target Oriented Surgery Sufficient with Borderline Ovarian Tumors? - Role of Accompanying Pathologies

  • Gungor, Tayfun;Cetinkaya, Nilufer;Yalcin, Hakan;Ozdal, Bulent;Ozgu, Emre;Baser, Eralp;Yilmaz, Nafiye;Caglar, Mete;Zergeroglu, Sema;Erkaya, Sali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749-6754
    • /
    • 2014
  • Background: There are limited data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concomitant genital or extra-genital organ pathologies in patients with borderline ovarian tumors (BO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ur experience with 183 patients to draw attention to the accompanying organ pathologies with BOT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eighty-three patients with BOTs, diagnosed and/or treated in our center between January of 2000 and March of 2013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Data related to age, tumor histology, lesion side, disease stage, accompanying incidental ipsilateral and/or contralateral ovarian pathologies, treatment approaches, and follow-up periods were investigated. Incidental gynecologic and non-gynecologic concomitant organ pathologies were also recorded. Results: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40.6 years (range: 17-78). Ninety-five patients (51%) were ${\leq}40$ years. A hundred and forty-seven patients (80%) were at stage IA of the disease. The most common type of BOT was serous in histology. Non-invasive tumor implants were diagnosed in 4% and uterine involvement was found 2%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hysterectomies. There were 12 patients with positive peritoneal washings. Only 17 and 84 patients respectively had concomitant ipsilateral and concomitant contralateral incidental ovarian pathologies. The most common type of uterine, appendicular and omental pathologies were chronic cervicitis, lymphoid hyperplasia and chronic inflammatory reaction. Conclusions: According to our findings most of accompanying pathologies for BOT are benign in nature. Nevertheless, there were additional malignant diseases necessitating further therapy.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of all abdominal organs during surgery.

CD44v3 and VEGF-C Ex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Lymph Node Metastasis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Uterine Cervix

  • Liu, Ye-Qing;Li, Hai-Feng;Han, Jing-Jing;Tang, Qiong-Lan;Sun, Qing;Huang, Zhi-Quan;Li, Hai-G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5049-5053
    • /
    • 2014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CD44v3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C (VEGF-C) and their relationship with lymph node metastasis in squamous cell carcinomas (SCC) of the uterine cervix. Materials and Methods: Expression of CD44v3 and VEGF-C was analyzed in 109 cases of cervical SCC by immunohistochemistry (IHC).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etween expression and the patient age,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formation of tumor emboli in lymphoid vessels, lymph node metastasis, FIGO staging, and TNM classification. Results: Expression rates for both CD44v3 and VEGF-C were 43.1% in cervical SCC. The cells with positiv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CD44v3 were distributed mainly around the keratin pearls in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s, but distributed diffusely in the moderately and poorly differentiated lesions. VEGF-C was found stained positively in most of the tumor cells. There were differences in expression between normal epithelium and atypical hyperplasia as well as carcinoma. Both CD44v3 and VEGF-C were found to be associated positively with lymph node metastasis and TNM classification (both p=0.000). Neither CD44v3 nor VEGF-C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atient age,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formation of tumor emboli in lymphoid vessels and FIGO staging. CD44v3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VEGF-C positively (p=0.000). Conclusions: Abnormal expression of CD44v3 and VEGF-C is associated closely with the lymph node metastasis in cervical SCC, and these agents may cooperate in carcinogenesis and development of metastatic le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