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ledger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7초

Introducing Contemporary Blockchain Platforms

  • Alrumaih, Malak Sulim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4호
    • /
    • pp.9-18
    • /
    • 2021
  • Blockchain and its infrastructure technology have expanded rapidly in the last decade and are in high demand, but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studies on those platforms. Blockchain is a new technology based on the distributed digital ledger system. Decentralized trust is one of the key factors behind the blockchain-based system. Transparency of such a system is better than a conventional centralized ledger system. By using a blockchain-based transaction system, any business organization can harness key benefits like data integrity, confidentiality, and anonymity without involving any third party in control of the transactions. Since the blockchain is used in numerous applications and the horizon is expanding at an unprecedented pace. So, there is a need for an introducing and reviewing of blockchain platforms. In this paper, we have reported a review on existing contemporary blockchain platforms. In particular, From the existing studies, we have identified eighty blockchain platforms and the majority of them have a lack of technical details. To provide the researchers a comprehensive introducing on blockchain platforms to perform a broad guideline for future research and investment in the blockchain domain.

Blockchain based Learning Management Platform for Efficient Learning Authority Management

  • Youn-A 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3호
    • /
    • pp.231-238
    • /
    • 2023
  • As the demand for distance education increases, interest in the management of learners' rights is increasing. Blockchai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guarantees the integrity of the learner's learning history, and enables learner-led learning control, data security, and sharing of learning resource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blockchain technology-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Hyperledger Fabric that can be verified through permission between nodes among blockchain platforms. Learning resources can be shar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Also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learners that can be manag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periority of the platform in terms of convenience compared to the existing platform was demonstrated.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research in this pap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nience was improved by more than 5%, and the performance was 4-5% superior to the existing platform in terms of learner satisfaction.

하이퍼레저 패브릭 환경에서 체인코드 및 레저 유형에 따른 합의 작업의 성능 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n Consensus Task Using Different Types of Chaincode and Ledger in Hyperledger Fabric Environment)

  • 송충건;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9-52
    • /
    • 2020
  • 블록체인은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비가역적 정보를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검증하는 기술로 다양한 산업에서 적용되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허가형 블록체인 기술을 대표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하이퍼레저 패브릭 환경에서 체인코드 및 레저 유형에 따른 합의 작업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분산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요구사항 도출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 도입 시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 성능 지표의 역할을 수행하여 블록체인 기술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의 영지식 증명 기술 연구 (A Study on Zero-Knowledge Proof Technology in Blockchain-based SSI System)

  • 황진주;김근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55-358
    • /
    • 2021
  • 개인의 신원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개인이 직접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하고 데이터의 주권을 신원정보 소유자에게 부여하는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 내에서 개인은 스스로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분산 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를 생성하고 분산 식별자 별 개인의 자격을 증명해주는 자격증명(VC: verifiable credentials) 정보를 발급받아 개인이 보유하며 자격증명의 검증을 요구하는 검증자에게 선택적으로 자격증명 정보를 제시한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의 자격증명을 제시할 때 신원정보의 실제 데이터는 감추고 자격증명의 유효성은 입증시키는 영지식 증명의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지식 증명 기술을 살펴보고 하이퍼레저 인디(Hyperledger Indy) 기반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에서 영지식 증명 기술 도입 예를 보인다.

하이퍼레저 패브릭과 DID를 사용한 EMR관리 시스템 기법 제안 (EMR Management System Using Hyperledger Fabric and DID)

  • 엄효상;강혁;이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20-221
    • /
    • 2023
  • EMR 시스템은 환자들의 진료, 처방 및 개인정보들을 중앙집중형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기존 EMR 시스템은 수기로 작성하던 진료기록을 컴퓨터를 통해 전자문서 형태로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EMR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해킹이나 데이터 유출에 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하이퍼레저 패브릭과 DID를 사용하여 EMR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환자의 진료기록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시스템 기법을 제안한다.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 마약류 약물 오남용 관리 시스 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yperledger Fabric-based narcotic drug misuse and abuse management system)

  • 최라연;정유영;임동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40-1243
    • /
    • 2023
  • 의료기관에서 접근이 용이한 마약류 약물로 오남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은 블록체인 프레임워크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기반으로 구축된 약물 오남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분산 원장 기능을 사용하면 의약품 거래를 투명하게 기록하고 처방 기록을 안전하게 보존하여 모든 거래 세부 정보를 변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약물 사용 기록을 추적하고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과다 복용 사용자를 규제하는 기능을 제안한다. 본 논문이 약물 오용을 크게 완화하고 과다 복용 사용자 보호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감리점검항목 도출 방안 -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으로 (An Audit Method on Information System Audit using Delphi Method - Based on Hyperledger Fabric)

  • 이영주;박수용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7-12
    • /
    • 2020
  • 국내 공공기관에서 사업비가 5억원 이상인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은 정보시스템 감리대상이고 정보시스템 감리원은 감리기준에 따라 감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최근 금융산업을 넘어 제조, 헬스케어, 유통, 공공 부문 등 다양한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면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 개발이 늘고 있다. 공공기관과 기업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프라이빗 블록체인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사용이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블록체인기반 시스템을 기존의 감리점검항목으로 감리를 수행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아 각 감리원들이 검증되지 않은 점검항목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적용한 시스템을 감리할때 검증된 감리점검 항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프로세스를 커스터마이징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 개발사업에 적합한 점검항목을 도출하고, 정보시스템 감리원의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점검항목의 적정성을 검증받았다. 이번 연구는 정보시스템 감리원의 감리 수행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이며,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주관사도 시스템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한 기록관리 모델 구축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to the Record Management Model)

  • 홍덕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3-245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기반으로서 블록체인은 다양한 산업에서 신성장 동력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핵심 인프라이면서 기술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세계적으로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기업과 기관의 환경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 및 동향을 조사 및 정리하고 공공기관 기록관리부분에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이 필요한지 알아보았으며 공공기관의 기록관리분야의 구축절차 및 구축방법을 문헌으로 연구하였다. 최종적으로 기록물관리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아카이브체인(Archivechain)모델을 제안하고 어떠한 기대가 예상되는지 기술하고자 하였다. 전자문서의 기록관리 과정을 기록한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탑재되게 되면 단편적으로 비연계되었던 기록관리 표준업무처리 과정에 모든 단계 정보를 한 번에 확인 할 수 있다. 전자기록관리시스템에 블록체인기능이 탑재된다면 문서를 획득 등록하여 문서를 생산한 자가 메타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한 후 모든 내용을 저장하고 분류한다. 그렇게 되면 생산현황보고의 절차가 간결하게 될 것이고 원문정보공개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카이브체인(Archivechain)은 전자문서생산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이 일체되었다는 가정하에 하이퍼레저 플랫폼을 적용하여 BaaS형 클라우드 인프라를 적용한 모델이다. 스마트하고 전자 정부로 진보하는 기록관리 체계를 만들기 위해 공공 기록물관리의 모든 생애주기에 블록체인에 배치함으로써 흩어져 있는 정보를 하나로 모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IoT 헬스 데이터 공유를 위한 HFN 기반 권한 관리 (HFN-Based Right Management for IoT Health Data Sharing)

  • 김미선;박용석;서재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88-98
    • /
    • 2021
  • 블록체인 기술이 IoT를 위한 보안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IoT에 블록체인을 통합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IoT 데이터 공유를 위한 토큰 기반 IoT 서비스 접근 제어 기술에 관한 연구로 허가형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소유자 중심의 데이터 공유 기술을 제안한다. IoT health 데이터를 공유하고자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해 디바이스 소유자 중심의 각각 다른 접근제어 정책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3개의 조직으로 구성된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HFN, Hyperledger Fabric Network)를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소유자는 조직의 참여자에 대해 서로 다른 보안 레벨이 적용된 권한 토큰을 발행하며, 토큰 발행 정보는 HFN의 분산 원장을 통해 공유된다. IoT에서 데이터에 접근을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자들에게 토큰을 부여함으로써, IoT 장치들의 접근제어 처리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HFN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참여자간에 토큰 발행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토큰에 대한 무결성을 보장하고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토큰을 신뢰할 수 있다. 디바이스 소유자는 자신의 데이터가 허가된 권한 안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신뢰할 수 있고, 데이터 수집 및 사용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실행과 순서화 단계에 대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execution and ordering phases of Hyperledger Fabric)

  • 권민수;명노영;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2-64
    • /
    • 2019
  • 4차 산업 혁명에 들어서며 블록체인 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의 간단한 정의는 분산 환경에서 모든 노드들이 수정할 수 없는 원장을 관리 하는 것이다. 블록체인은 크게 public 블록체인과 private 블록체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private 블록체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고, 실제 많은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실제 환경이나 시스템에 적용 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많은 블록체인 플랫폼 중 하이퍼레저는 가장 활발히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하이퍼레저는 Linux Foundation에서 주관하는 프로젝트로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플랫폼으로 패브릭이 있다. 패브릭은 private 블록체인 기술로 비즈니스 상황에서 조직간 블록체인 환경을 구성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플랫폼이다. 패브릭은 클라이언트가 트랜잭션을 제출한 후 원장에 저장될 때까지의 과정을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3 단계로 구분해 놓고 있다. 3단계는 실행, 순서화, 검증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행과 순서화 단계에 대해 처리시간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떤 단계의 영향이 가장 큰지 살펴보고 차후 연구에 이용할 것이다. 차후 연구는 실행과 순서화 단계에 대한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