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capni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우황청심원이 정상인의 뇌혈류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whangchungsimwon(牛黃淸心元) on Cerebral Blood Flow and Systemic Blood Pressure in Humans)

  • 김영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22-231
    • /
    • 1999
  • Uwhangchungsimwon(UC)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a wide variety of conditions including stroke,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autonomic imbalance, mental instablity, etc in Korean traditional hospitals, In particular it is often initialy chosen for emergency care of acute strok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UC on cerebral hemodynamics. Using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we studied changes of mean flow velocity and pulsatility index(PI) of middle cerebral arteries (MCAs) from 11 health young volunteers who were administrated with 1 pill UC and 11 health controls who were not. We obtained hypercapnia with breath-holding and evaluated cerebrovascular reactivity with breath-holding index(BHI).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using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ABPM). In UC administration group,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during basal condition. and repeated at 20, 40, and 60 min after administration. In controls,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at corresponding time intervals. Mean flow velocity in middle cerebral artery,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did not chang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nd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se two groups. However, administration of UC was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PI by $3.6{\sim}12.4%$ in BHI by $17.9{\sim}24.8%$ compared with pre-administration period. Decreases in PI and BHI with U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C decreases PI and BHI in cerebral artery, which is due to a dilation of cerebral resistance vessels.

  • PDF

염소의 산·염기 균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cid-Base Balance in Goats)

  • 양일석;성호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44
    • /
    • 1985
  • The changes of acid-base status in vitro of the venous blood for 24 hours in ten Korean native goat were investigated. The acid-base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in ten minutes after collection of the blood, and every hour during the first six hours and finally after twenty four hours of storage. Blood samples were stored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0-4^{\circ}C$ and $21-24^{\circ}C$). Twelve goats were induced acute acid-base disturbances by intravenous infusion of either hydrochloric acid or sodium bicarbonate and inhalated with $CO_2$ gas mixture (20% $CO_2$, 80% $O_2$) or hyperventilation were performed by means of respira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lood samples could be stored during the first two hours in ice water ($0-4^{\circ}C$) and one hour at room temperature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pH. The magnitudes of changes were similar to those of cow, and lower than those of men and dogs. 2. The mean values of acid-base parameters in normal goat were arterial pH, 7.40; $P_{CO_2}$, 35.4mmHg; $HCO_3{^-}$, 21.8mEq/L. 3. Both the base excess and the bicarbonate showed high correlation (r=0.99) during the metabolic disturbance and were represented as $B.E.=1.38\;HCO^-{_3}-29.7$. 4. The slope of blood buffer curve obtained from the in vivo experiment was 16.3mEq/L/pH. 5. The magnitudes of changes in hydrogen ion concentration per unit change of $P_{CO_2}$ were 0.8nM/mmHg in hypercapnia and 1.0nM/mmHg in hypocapnia. 6. The ranges of acid-base parameters in normal goat urine were pH, 6.0-8.1; $P_{CO_2}$, 42-61mmHg; $HCO_3{^-}$, 2-110mEq/L.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was higher (60-200mEq/L), and that of sodium was lower (8-70mEq/L) than those of human urine.

  • PDF

심폐바이패스 시 고탄산분압과 고관류법이 뇌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ypercapnia and High Flow on Cerebral Metabolism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강도균;최석철;윤영철;최국렬;정신현;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472-482
    • /
    • 2003
  • 심폐바이패스의 재가온 시기 동안 뇌산소 탈포화가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의 원인 중 한가지라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심폐바이패스 동안 뇌산소 탈포화를 예방해 줌으로써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심폐바이패스 동안 뇌산소 탈포화를 예방해주는 방법인 고탄산분압과 고관류가 뇌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상 및 방법: 심장수술을 시행할 36명의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심폐바이패스의 재가온 시기 동안 동맥혈액의 고탄산분압군(Pa$CO_2$ 45~50mmHg, n=18)과 고관류군(2.75 L/ $m^2$/min, n=18)으로 나누었다. 전체 환자들에 대해 중대뇌동맥 혈류 속도, 뇌동정맥혈 산소함량 차이, 뇌산소 대사율, 뇌산소 운반율, S-100 $\beta$ 농도 증가율, 뇌정맥혈 산소 탈포화도 등을 심폐바이패스 전, 심페바이패스 실시 10분, 재가온-1기(비인두 온도: 33$^{\circ}C$), 재가온-2기(비인두 온도; 37$^{\circ}C$), 심폐바이패스 종료 직후 등의 다섯 시기에 측정하였다. 그리고 수술 후 섬망 발생률과 지속시간 역시 조사하여서 위의 모든 변수들과 함께 양 그룹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고탄산분압군이 고관류군 보다 재가온 시기 동안 중대뇌동맥 혈류 속도(157.88$\pm$10.87 vs 120.00$\pm$6.18%, p=0.006), 뇌정맥혈 산소분압(41.01$\pm$2.25 vs 32.02$\pm$1.67 mmHg, p=0.03) 및 포화도(68.01$\pm$2.75 vs 61.28$\pm$2.87%, p=0.03), 뇌산소 운반비율(110.84$\pm$7.41 vs 81.15$\pm$8.11%, p=0.003)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재가온 동안 뇌동정맥 산소함량 차이(4.0$\pm$0.30 vs 4.84$\pm$0.38mg/dL, p=0.04), S-100 $\beta$ 증가율(391.67$\pm$23.40 vs 940.0$\pm$17.02%, p=0.003), 뇌정맥혈 산소 탈포화도(2명 vs 4명, p=0.04), 수술 후 섬망증의 지속시간(18 vs 34 hr, p=0.02)은 고탄산분압군이 고관류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결론: 상기한 결과들을 비교 분석한 바 심폐바이패스 시 고탄산분안법이 고관류법 보다 뇌조직에 산소공급을 더 많이 해줌으로써 뇌대사가 상대적으로 원활하여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치료 원칙 변화에 따른 신생아 Bochdalek 탈장의 예후 (Prognosis of Bochdalek Hernia in Neonate after Change in Management Principle)

  • 서진영;남소현;김대연;김성철;김애란;김기수;피수영;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192-201
    • /
    • 2006
  • 1989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에서 치료받은 신생아 Bochdalek 탈장 6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989년 3월부터 1999년 말까지 조기수술, 과호흡, 수술시 흉관의 삽입을 시행한 I기(33예)와, 2000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지연 수술, 최소한의 호흡 요법과 고빈도 환기 요법, 일산화질소 흡입 요법을 병행하고, 수술시 흉관의 삽입을 제한한 II기(34예)로 나누어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I기의 경우 33예 중 20예가 생존하여 60.6 %, II기의 경우 34예 중 25예가 생존하여 73.5 %의 신생아기 생존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하지만 II기에서 생존율이 향상된 경향을 보임으로, II기에 불필요한 수술은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나쁜 예후 인자를 갖는 예에서 치료 원칙의 변화가 의미 있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연수술, 호흡요법, 일산화질소 흡입요법 각각의 영향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없었던 것은 이번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수술 전에 충분하게 제반 상태가 안정된 후에 시행하는 지연 수술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며, 수술시 흉관 삽입은 피하는 것이 좋겠다. 수술 전후의 고빈도 환기 요법과 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 (Sleep-Related Respiratory Disturbances)

  • 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55-64
    • /
    • 1995
  • 수면중에는 여러 가지 호흡생리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호흡의 수의적 조절은 경미하고 대부분 대사성조절에 의해 호흡이 유지되며, 탄산가스와 산소변화에 의한 화학자극 및 호흡기계통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환기반응이 감소하고, 늑간근 및 상기도근육들과 같은 보조호홉근의 기능이 억제되며, 체위변동 즉 누운 자세에서는 여러 가지 호흡기능의 변화가 온다. 이러한 호흡생리의 변화로 정상인에서도 수면 중에는 경미한 환기장애(저환기)를 보일 수 있으며, 수면 무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환기장애가 더욱 현저하다. 환기장애 즉 만성 폐포저환기를 동반하는 질환은 심폐질환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환기장애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만성 폐포저환기를 보이는 환자는 원인질환에 관계없이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심해지며 특히 수면 무호흡이 빈번하게 동반되는 경우에는 중증의 임상경과를 보인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반복되는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수면장애증상 이외에도 전신 고혈압과 심부정맥이 흔히 동반되며, 주간에도 저산소증을 보이는 심폐질환자에서 수변 무호흡증후군이 동반되는 경우 폐동맥고혈압과 폐성심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은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장기사망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며, 중증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 급사할 수도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심폐혈관계 합병증과 장기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법이 요구되며, 환기장애(만성 폐포저환기)의 다른 원인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의 치료와 병행하여 이들 질환의 치료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 PDF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가 심혈관계의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on Changes of Cardiovascular Function)

  • 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2호
    • /
    • pp.129-139
    • /
    • 1997
  • 수면 무호흡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의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를 동반한 환자들에서는 여러가지 심혈관계 기능부전이 초래되어 이들 환자의 임상경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수면 무호흡증후군,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은 수면장애의 여러 가지 원인 중 임상영역에서 가장 흔히 볼수 있는 질환으로 전신성 고혈압, 심부정맥, 폐동맥 고혈압 및 우심실 부전,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뇌졸증등의 발병률이 정상인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과 달리 중추성 수면 무호흡은 수면중에 호흡중추를 불안정하게 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역시 심혈관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악화될 수 있는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수면 무호흡증후군과 달리 만성적인 저산소증과 고탄산증이 동반되며 이로 인해 심부정맥, 폐동맥 고혈압, 우심실 부전(폐성심) 등의 심혈관계 이상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무호흡을 포함한 수면과 관련된 호홉 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는 호흡기계 질환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더불어 동반될 수 있는 심혈관계의 기능부전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기관절개술, 기계적 호흡, 지속적 양압공급치료, 적절한 산소요법 등의 적극적이고도 효과적인 치료법을 적용함으로서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장애 환자의 전신 마취를 위한 세보플루란 흡입 유도 시 발생한 호흡 저하의 혈액 가스 분석 (Blood Gas Analysis of Respiratory Depression during Sevoflurane Inhalation Induction for General Anesthesia in the Disabled Patients)

  • 윤태완;김승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08-513
    • /
    • 2018
  • 세보플루란에 의한 일회 환기량은 낮은 용량에서는 호흡수의 증가로 안정적이다. 그러나 진정 깊이가 증가하면 폐포 환기는 세보플루란에 의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는 $PaCO_2$가 증가한다. 호흡 억제의 발생은 깊이 진정된 장애 환자에서 심한 저산소증과 고탄산혈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세보플루란 흡입 마취는 여러 위험성이 내제되어 있으며 체내 산 염기 상태에 따라 혈역학적 변화가 발생하기에 예기치 못한 문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세보플루란으로 장애인의 마취 유도 시 발생하는 호흡 억제로 인한 체내 산 염기 상태가 안정한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취 유도는 4 vol% 세보플루란, 4 L/min 아산화질소, 4 L/min 산소를 자발 호흡 하에서 환자 안면부에 마스크를 거치하여 유도하였다. 그 뒤 환자의 의식소실 및 근육 긴장 완화 후 즉시 전문가에 의해 IV line을 거치한 뒤 정맥 채혈을 하여 정맥 내 혈액가스 분석을 하였다. 깊은 진정 상태에서 전체 환자의 평균 pH는 $7.36{\pm}0.06$으로 측정되었다. $PvCO_2$는 전체 환자에서는 평균 $48.8{\pm}8.50mmHg$로 측정되었다. $HCO_3{^-}$는 전체 환자에서 평균 $27.2{\pm}3.0mmol/L$로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치과 진료시 세보플루란을 이용한 흡입 진정에 대한 체내 산 염기 반응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정-정맥 체외막형산소화요법을 이용한 급성호흡부전의 치료 (Acute Respiratory Failure Treated with Veno-ven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 김형수;한상진;홍경순;윤덕형;이창률;이명구;홍원기;이순희;김건일;이희성;조성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2호
    • /
    • pp.62-66
    • /
    • 2010
  • Backgrou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during severe acute respiratory failure helps to recover the pulmonary function. This study evaluated our experience with veno-venous ECMO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July 2009, ECMO was used on 54 patients. Of these 54 patients, 7 were placed on veno-venous ECMO for acute respiratory failure. The indications of ECMO were based on the lung dysfunction measured as a $PaO_2/FiO_2$ ratio <100 mm Hg on $FiO_2$ of 1.0, or an arterial blood gas pH <7.25 due to hypercapnia despite the optimal treatment. $EBS^{(R)}$, $Bio-pump^{(R)}$, and Centrifugal Rotaflow $pump^{(R)}$ were used and all cannulations were performed percutaneously via both femoral veins. When the lung function was improved, an attempt was made to wean on ECMO at moderate ventilator settings followed by decannulation. Results: Five of the 7 patients were male and the mean age was $46.3{\pm}18.3$. The causes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were 3 cases of pneumonia, 2 near-drownings, 1 pulmonary hemorrhage due to acute hepatic failure and 1 mercury vapor poisoning. The mean support time of ECMO was $17.3{\pm}13.7$ days. Of the 7 patients implanted with ECMO, 5 patients (71%) were weaned off ECMO and 3 patients (43%) survived to hospital discharge after a mean 89.6 hospital days. Conclusion: The early use of ECMO for acute respiratory failure in adults due to any cause is a good therapeutic option for those unresponsive to the optimal conventional treatments.

사향소합원(麝香蘇合元)이 정상인의 뇌혈류역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hyangsohap-won on Cerebral Hemodynamics in Healthy Subjects)

  • 구본수;김성환;문상관;조기호;김영석;배형섭;이경섭;류순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9-205
    • /
    • 2001
  • Background and Purpose :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TCD) is a noninvasive and nonradioactive technique for evaluation of the hemodynamics in large cerebral vessels. Sahyangsohap-won(SS) has been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 especially cerebrovascular, cardiovascular, and psychosomatoform disorders. But, there is no study about the effect of SS on the cerebral hemodynamics in huma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SS on the changes in cerebral hemodynamics and the dose-dependant effect by using TCD. Subjects and Methods : 30 healthy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 group 1 took no drug, group 2 took SS one pill, and group 3 took SS 2 pills. Changes in the mean blood flow velocity(MBFV) and pulsatility index(PI)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were evaluated by means of TCD. We obtained hypercapnia with breath-holding and evaluated cerebrovascular reactivity with the breath-holding index(BHI). Systolic blood pressure(SBP), diastolic blood pressure(DBP), and heart rate(HR) were measured by means of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In group 2 and group 3, the evaluations were performed during the baseline and were repeated at 20, 40, and 60 minutes after SS administration. In group 1,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at corresponding time intervals. Results : In mean values of MSFV, PI, SSP, DBP, and HR, no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3 groups. However, BHI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s 2 and 3 than in group 1 at 40 minutes after SS administration(P<0.05, group 1 vs group 2, group 1 vs group 3 by post-hoc analysis: Scheffe's test) but in dose-dependant effec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 2 and group 3.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S can decrease vascular resistance in cerebral small arteries or arterioles and enhance their distensibility. Further studies on larger numbers of subject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effects and the dose-dependant effects.

  • PDF

Effects of Acupuncture with a Combination of GV20 and EX-HN1 Acupoints on CO2 Reactivity in the Anterior and Middle Cerebral Arteries during Hypercapnia in Normal Subject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 Park, Hojung;Moon, Sang-Kwan;Lee, Han-Gyul;Kwon, Seungwon;Cho, Seung-Yeon;Park, Seong-Uk;Jung, Woo-sang;Park, Jung-Mi;Ko, Chang-Nam;Cho, Ki-Ho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82-595
    • /
    • 2022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puncture at GV20 and EX-HN1 on cerebral blood flow (CBF) velocity and cerebrovascular reactivity (CVR) in the middle cerebral arteries (MCA) and anterior cerebral arteries (ACA) and to compare the effects to acupuncture at GV20. Methods: The study wa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that included 10 healthy men aged 20 to 29 years who underwent acupuncture treatment four times with a washout period of one week. The CBF velocity and CVR were measured by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 (TCD) on both MCAs at the first and second visits, and both ACAs at the third and fourth visit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A and B) before the first and third visits. Group A received two phases of acupuncture intervention at a single GV20 point and a combination of GV20 and EX-HN1 acupoints. Group B received the same interventions, but in the reverse order. Results: The increase in CO2 re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ombination acupoints of GV20 and EX-HN1 than for the GV20 single acupoint in both MCAs (Right: 136 to 178, p=0.017; Left: 127 to 191, p=0.017) and ACAs (Right: 133 to 158, p=0.013; Left: 122 to 168, p=0.025). No significant change was noted in the corrected velocity at PETCO2 40 mmHg, blood pressure, or heart rate.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ement of the CBF in the MCA and ACA after GV20 acupuncture increases when acupuncture is also performed at EX-HN1. These results clinically support the combined use of EX-HN1 and GV20 to treat disorders of MCA and ACA circ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