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Connected Society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초

초연결사회의 정치경제학적 기원과 성격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in the light of Political Economy)

  • 박지웅
    • 사회경제평론
    • /
    • 제31권3호
    • /
    • pp.271-305
    • /
    • 2018
  • 오늘날 우리는 초연결사회에 살고 있다. 초연결사회란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사회(network society)를 말한다. 이러한 초연결성의 기술적 토대가 오늘날의 제4차 산업혁명임을 잘 알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산업혁명의 단계적 발전의 패턴을 밝힘으로써 초연결사회의 기원을발견하고자 한다. 산업혁명을 포함한 기술혁명의 변화의 패턴은 다음과 같이 지극히 단순하게 요약할 수 있다. (1) 기술혁명${\rightarrow}$네트워크혁명. (2) 네트워크혁명${\rightarrow}$사회적 네트워크의 변화 (3) 물질의 혁명${\rightarrow}$정신의 혁명. 산업혁명의 단계적 발전의패턴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네트워크 혁명의 차원에서 본다면 초연결사회의 기원은 1840년 이후 미국에서 일어난 철도혁명(2차 산업혁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초연결 시대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전략 (Paradigm Shift and Response Strategies for Spatial Information in a Hyper-connected Society)

  • 사공호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1-90
    • /
    • 2018
  • 사람과 사물, 장소 등 공간상의 모든 객체가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는 '초연결 시대'가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간정보도 중요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3차원 공간정보 등 '초연결'로 인한 공간정보의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초연결 시대가 필요로 하는 공간정보의 수요에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연결 시대'라는 커다란 패러다임의 변화에 직면한 공간정보의 미래 수요변화와 활용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사회의 공간정보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IoT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Past, Present, and Future of IoT)

  • 김현;황승구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3권2호
    • /
    • pp.1-9
    • /
    • 2018
  • In the past, the Internet connected people together;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extended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allowing all things in the physical world to be connected. We call a new society in which everything is connected through IoT a 'hyper-connected society'. IoT for a hyper-connected society is more than just connecting things to the Internet, it is an infrastructure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s without human intervention by connecting things to the Internet using sensor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collecting data from connected things, and analyzing and predicting information. Therefore, IoT is a convergence technology that includes not only sensors and communication networks but also big data and AI. This paper examines the short history of IoT, reviews its current trends, and finally, discusses its future direction.

사용자와 미디어 사이의 상호작용 기능 제공 기반 영상 창작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mage Creation System based on User-Media Interaction)

  • 송복득;김상윤;김채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32-938
    • /
    • 2016
  • Recently, interactive media which maximizes audience engagement by making the audience appeal on a stage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has been distributed more widely. In fact, there has been active movement to develop and promote a new participatory media genre with higher immersion by applying this kind of interactive media concept to advertisement, film, game and e-learning. In the conventional interactive media, digital media had to be enjoyed in particular environment where diverse sensors were installed or through a certain device to recognize a user's motion and voice.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and implement an image creation system which ensures interactions between a user and media in popular distribution-enabled web environment and through PC and smart devices to minimize the image producer-user constraints.

초연결사회와 스마트기술에 따른 4차산업혁명의 정책방향 (Directions for Policy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Hyper-Connected Society and Smart Technology)

  • 오은열;신준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2호
    • /
    • pp.45-54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초연결사회와 스마트 기술이 우리나라에서 구현성의 정도를 현재로서는 간과할 수 없는 점 때문에 현재까지의 동향을 살펴보고 미래 정책방향을 선제적으로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및 주요선행연구 비교를 통해 본 연구와의 차별화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초연결사회와 스마트 기술에 따른 우리나라의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데이터 보안·유지관리, 사용자 및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강화,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관련 정책방향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한계점으로는 계량적, 정량적 방법을 통해 연구분석에 접근해야 하나 자료구득의 어려움, 동향분석을 통한 통계적 정량화의 기술적 한계가 나타났다. 향후 후속연구에서 보완할 필요가 있다.

혼돈신호를 이용한 IoT의 MQTT 보안 프로토콜 설계 (IoT MQTT Security Protocol Design Using Chaotic Signals)

  • 임거수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778-783
    • /
    • 2018
  • 정보통신과 산업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간과 모든 프로그램 그리고 사물들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가 구현되고 있다. 초연결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정보의 수집은 사물과 사물 그리고 사물과 인간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는 이런 사물인터넷의 제약된 통신환경에 최적화되어 개발된 푸시 기술(push technology) 기반의 경량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이다. 초연결사회를 지향하면서 IoT가 담고 있는 정보는 센서의 환경정보에서 이제는 사람의 질병과 건강관리까지 담당하는 광범위한 정보가 되었다. 이런 MQTT에 대한 보안 문제는 환경정보 유출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보 침해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우리는 이런 MQTT의 보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혼돈계의 초기치 민감성, 유사 난수성을 무결성과 기밀성에 적용하여 새로운 보안 MQTT통신방법을 설계하였다. 우리가 설계한 혼돈계를 이용한 암호화 방법은 구조가 간단하고 계산량이 적기 때문에 IoT와 같은 제한된 통신환경에 적합한 통신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초연결사회와 대학의 소프트웨어 교육 (Hyper-Connected Society and Software Education of University)

  • 황의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155-156
    • /
    • 2016
  • 한국의 대학은 높은 교육열, 자녀 수 감소, 일자리 창출 미흡, 전공.직업 불일치율 50%(OECD 2015 보고서)등 교육 수요자의 기대와 기업이 선호하는 인재양성을 해야 하는 대학교육의 위기이다. 이 위기에 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기술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SW)가 필수적이다. 'SW 경쟁력 없이는 기업의 미래가 없다', 'SW 인재가 세상을 바꾼다'등 SW의 중요성과 비전이다. 미국의 구글, 애플, 페이스북, 트위터와 중국의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도 SW를 바탕으로 전 세계로 뻗어가고 있다. 지금이 SW 강국으로 가는 마지막 기회로, SW 중심사회 실현을 위한 인재양성 확대가 시급하다.

  • PDF

데이터 중심 초분산 자율 인프라 기술 (Data-Centric Hyper-distributed Autonomous Infrastructure Technologies)

  • 김선미;김상기;변성혁;정희영;강세훈;임종철;윤승현;신용윤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1호
    • /
    • pp.13-22
    • /
    • 2019
  • Various hyper-intelligent and ultra-realistic data-driven services are being increasingly developed with the goal of achieving a hyper-connected intelligent society. To sustain this trend, our research focuses on the integration and optimization of data-driven applications from several aspects such as delivery, storage, execution, and sharing of data and software,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 In this paper, we present important research issues of data-centric hyper-distributed autonomous infrastructure technologies.

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공간 식별 방안 연구 (A study of Spatial Identification Method through Environmental Data)

  • 오윤석;최정인;서승현;김주한;강유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66-1168
    • /
    • 2017
  • 환경 데이터는 현재까지 농업, 해양, 주거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 및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환경 모니터링과 제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비용 센서 모듈로 각각 다른 실내 공간을 식별하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홈 및 스마트빌딩 분야에서 환경 변화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