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xyl radical

검색결과 900건 처리시간 0.029초

축산제품에 응용하기 위한 콩제품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Products Extracts for Application of Animal Products)

  • 이치호;문성용;이중칠;이지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5-410
    • /
    • 2004
  • 본 연구는 콩 제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 수소 공여 능으로 실험하고, 기존의 항산화제와의 상승효과 및 TBA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실험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콩 제품 추출물은 DPPH와 반응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고, 시판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는 반응 초기에 완료되는 결과를 보이는 반면 BHT와 BHA는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콩 발효식품인 된장과 청국장 추출물이 비 발효식품인 두유 추출물에 비하여 감소폭이 다소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콩제품 추출물과 시판 항산 화제의 상승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시험 구에서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폭이 증가하여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며 발효 식품인 된장과 청국장이 비 발효 식품인 두유에 비하여 시판 항산화제와의 상승효과를 더욱 강하게 나타내었다. 콩 제품 추출물의 TBA 측정을 조사한 결과, 청국장 추출물의 억제율은 45.8%, 된장추출물의 억제율은 45.2%로 나타났고, 두유 추출물의 억제율은 이보다 약 12% 낮은 33.6%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추출물 중 두유 추출물은 기존의 이 소플라본이 생체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이들 항산화제 기능을 축산식품에 응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아몬드 첨가 설기떡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ulgidduk Added with Almond Powder)

  • 유하니;송주현;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809-815
    • /
    • 2017
  • 본 연구는 설기떡에 쌀에 부족한 단백질 등 영양이 풍부한 아몬드를 첨가하여 설기떡의 건강 기능성을 향상하고자 아몬드를 6, 12, 15% 첨가한 설기떡을 제조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아몬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환원당은 아몬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H와 산도는 아몬드 첨가량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색도는 아몬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항산화능은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hydroxyl라디칼 소거능 모두 아몬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IC_{50}$ 값이 감소하여 아몬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하였다. 이는 총페놀 함량이 아몬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결과에 기인하는 것이다. 관능검사 결과 강도 특성으로는 아몬드를 첨가할수록 색과 아몬드 향, 아몬드 맛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짠맛은 아몬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기호도에서 외관,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는 아몬드 12%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설기떡에 아몬드 첨가 시 설기떡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능이 개선되었으며, 설기떡에 첨가하는 아몬드의 양은 12%가 적당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발효숙성마늘 페이스트의 양을 달리하여 제조한 발효숙성마늘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and Aged Garlic Yanggeng)

  • 곽은실;김혜란;이근종;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39-746
    • /
    • 2009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fermented and aged garlic paste(0, 10, 20 or 30%) were determined. The pH of fermented and aged garlic Yanggeng de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ded fermented and aged garlic paste, whereas the acidity increased. In addition, the lightness of fermented and aged garlic Yanggeng de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ded fermented and aged garlic paste. In the texture analysis, hard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of fermented and aged garlic Yanggeng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otal 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30 % fermented and aged garlic Yanggeng.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and aged garlic Yanggeng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ded fermented and aged garlic paste. The IC50 value of 30% fermented and aged garlic Yanggeng was 45.1 mg/g for DPPH and 29.6 mg/g for hydroxyl radical.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Yanggeng with 20% fermented and aged garlic paste had the highest score in appearance, overall preference and texture.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20% fermented and aged garlic to Yanggeng was appropriate for good food qualities both in terms of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밤 삽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stnut Endoderm)

  • 김영찬;김미연;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62-167
    • /
    • 2002
  • 밤 삽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밤 삽피로부터 유리형(EPA), 에스데르형(EPA), 결합형(BPA) 페놀산 획분을 분리하였다. 각 획분의 수율은 유리형 0.794%, 에스테르형 1.236%,결합형이 1.937%였으며 이중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에스테르형이 65.19%로 가장 높았다. Gas chromatography로 각 획분의 페놀산의 조성과 함량을 조사한 결과 유리형 획분에서 gallic acid(4.63%), ellagic acid(3.49%), salicylic acid(3.19%), gentisic acid(1.5%)가, 에스테르형 획분에서 gallic acid(13.4%), ellagic acid(11.6), protocatechuic acid(0.9%)가 주요 페놀산으로 확인 되었으며,결합형 획분에서는 gallic acid는 확인되지 않고 다른 획분에 비하여 sinapic acid(1.33%)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 획분의 항산화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시험으로 조사한 결과 유리형, 에스데르형, 결합형 획분의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GSBa-1

  • Zhao, Wen;Zhang, Jian;Jiang, Yun-Yun;Zhao, Xiao;Hao, Xiao-Na;Li, Liu;Yang, Zhen-Na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8호
    • /
    • pp.1282-1292
    • /
    • 2018
  • The exopolysaccharide (EPS)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GSBa-1 was isolated and purified by ethanol precipitation, and DEAE-cellulose and Sepharose CL-6B chromatographies. The molecular mass of the purified EPS was determined to be 54 kDa. Monosaccharide analysis showed that the EPS was composed of predominantly glucose, and it was further confirmed by NMR spectroscopy to be ${\alpha}-glucan$ that consisted of a trisaccharide repeating unit with possible presence of two ${\alpha}-(1{\rightarrow}3)$ and one ${\alpha}-(1{\rightarrow}6)$ glucosidic linkages. Microstructural analysis showed that the EPS appeared as ellipsoid or globose with a smooth surface. The EPS had a degradation temperature at $240^{\circ}C$. Furthermore, the EPS had strong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oderate superoxidant anion scavenging and metal ion-chelating activities. This is the first characterization of a glucan produced by B. amyloliquefaciens with strong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potential of the EPS from B. amyloliquefaciens GSBa-1 to serve as a natural antioxidant for application in functional products.

Protective Effects of a Herb, Menthae Herba, against Radiation-induced Oxidative DNA Damage

  • Jo, Sung-Kee;H, Heon-O;Uhee Jung;Kim, Sung-Ho;Byun, Myung-Woo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52-152
    • /
    • 2003
  • As utilization of radiation in medicine, industry and biochemical research increases, the protection against radiation damag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Natural products such as herbal medicines are beginning to receive attention as modifiers on the radiation response. In the present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a herb, Menthae Herba, against radiation-induced DNA damage was evaluated using alkaline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comet assay) in the mouse peripheral blood Iymphocytes and the micronucleus formation test in the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The tail moment, which was a marker of DNA damage in the SCGE, and the frequency of micronuclei was decreased in groups treated with Mentae Herba extract before exposure to 200 cGy of gamma-ray. We also confirmed its activities to scavenge DPPH and hydroxyl radicals. These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Menthae Herba was effective at reducing the radiation-induced damage of DNA and scavenging free radicals. It is plausible that scavenging of free radicals by Menthae Herba ma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the protection against the radiation-induced damage to the DNA.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enthae Herba might be a useful radioprotector and that radical scavenging appears to be one of the mechanisms of radiation protection.

  • PDF

Maillard 반응에서 유래되는 저분자 Carbonyl 화합물의 DNA손상작용에 대한 활성산소종의 역할 (Role of Active Oxygens on DNA Damage by Low Molecular Carbonyl Compounds Derived from Maillard Reaction)

  • 김선봉;박성준;강진훈;변한석;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65-570
    • /
    • 1990
  • Plasmid pBR322 DNA와 Maillard 반응생성물중 카르보닐화합물인 glyoxal, methyl glyoxal, dihydroxyacetone, diacetyl, glyceraldehyde, glycolaldehyde 및 furfural 등과 각각 37$^{\circ}C$에서 반응시켰을때 나타나는 DNA 손상능과 활성산소소거제에 의한 DNA손상억제 작용을 agarose gel 전기영동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카르보닐화합물을 37$^{\circ}C$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을 경우, furfural을 제외한 모든 카르보닐화합물에 DNA 손상능이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glyoxal, methyl glyoxal 및 dihyd-roxyacetone 이 diacetyl, glyceraldehyde 및 glyco-laldehyde보다 BNA의 손상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plasmid DNA와 카르보닐화합물의 반응계에 각종 활성산소소거제의 첨가를 통하여 이들 카르보닐화합물에 대한 DNA의 손상을 검토한 결과 일중항산소, 과산화수소, superoxide anion 등이 주요원인물질로 밝혀졌으며, hydroxyl radical은 그 작용이 미약하거나 거의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처리용 다중 유전체 방벽 방전 플라즈마 반응기 개발 (Development of Multi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Reactor for Water Treatment)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63-871
    • /
    • 2013
  • Dielectric discharges are an emerging technique in environmental pollutant degradation, which that are characterized by the production of hydroxyl radicals as the primary degradation species.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lasma reactor, reactor that can handle large amounts of water are needed. Plasma research to date has focused on small-scale water treat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ic study for scale-up of a single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reactor. The degradation of N, N-Dimethyl-4-nitrosoaniline (RNO, indicator of the generation of OH radical) was used as a performance indicator of multi-plasma reactor. The experiments is divided into two parts: design parameters [effect of distance of single plasma module (1~14 cm), arrangement of ground electrode (single and multi), rector number (1~5) and power number (1~5)]; operation parameter [effect of applied voltage (60~220 V), air flow rate (1~5 L/min), electric conductivity of solution ($1.4{\mu}S/cm$, deionized water)~18.8 mS/cm (addition of NaCl 10 g/L) and pH (5~9)]. Considering the electric stability of the plasma reactor, optimum spacing between the single plasma module was 2 cm. Multi discharge electrodes - single ground electrode array was selected. Combination of power 3-plasma module 5 was the optimal combination for maximum RNO degradation. The optimum 1st voltage and air flow rate for RNO degradation were 180 V and 4 L/min, respectively. The pH and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was not influencing the RNO degradation.

벤젠의 광촉매분해반응에 대한 음이온효과 (Anionic Effect on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Benzene)

  • 김영희;김태균;이춘식
    • 청정기술
    • /
    • 제6권2호
    • /
    • pp.107-111
    • /
    • 2000
  • $TiO_2$를 광촉매로 사용한 벤젠의 광촉매분해반응에서 근자외선과 가시광 또는 원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수용액속에 공존하는 음이온들에 의한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근자외선과 가시광을 조사하였을 때, 광증감제로 작용할 수 있는 $S_2O{_8}^{2-}$ 또는 $NO{_3}^-$$TiO_2$와 공존하는 경우에는 $TiO_2$만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벤젠의 분해효율이 약간 증가되었으나 $NO{_2}^-$ 또는 $Cl^-$의 경우에는 이들 이온에 의한 활성화학종의 생성이 억제되어 벤젠의 광분해효율이 크게 감소되었다. 반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에는 $S_2O{_8}^{2-}$ 또는 $NO{_3}^-$가 공존하는 경우에는 이들 이온에 의한 활발한 광증감작용으로 벤젠의 광분해효율이 크게 증가되었으며, $NO{_2}^-$$Cl^-$이 공존할 때에는 벤젠의 광분해효율이 약간 감소되었는데 근자외선과 가시광을 조사하였을 때와는 달리 그 감소폭이 그다지 커지지 않았다.

  • PDF

Cu wire 촉매를 이용한 촉매습식과산화공정에 의한 1,4-다이옥산의 분해 (1,4-Dioxane Decomposition by Catalytic Wet Peroxide Oxidation using Cu Wire Catalysts)

  • 이동근;김둘선
    • 청정기술
    • /
    • 제22권4호
    • /
    • pp.281-285
    • /
    • 2016
  • 난분해성 1,4-다이옥산을 분해시키기 위하여 촉매습식과산화반응에 활성적인 Cu wire촉매를 사용하였다. Cu wire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1,4-다이옥산의 완전한 분해가 가능하였으나, 분해된 1,4-다이옥산은 완전 무기화($CO_2$$H_2O$로 전환)되지 못하고 중간생성물인 ethylene glycol diformate, oxalic acid, formic acid, formaldehyde, acetaldehyde 등으로 전환되었다. 1,4-다이옥산이 분해되어 없어짐에 따라 formaldehyde와 oxalic acid가 점진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증가하다가 최고농도를 보인 후 다시 감소하였다. 이들 두 중간체의 최고농도 도달시점에 acetaldehyde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최고농도를 보인 후 다시 감소하였다. 이들 세가지 중간물질의 감소와 함께 ethylene glycol diformate, formic acid가 생성되기 시작하여 그 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들은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생성되었다. Cu wire 촉매는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활성이 떨어지지 않고 매우 안정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