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ydroxybenzoic acid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7초

옥수수 깜부기균에 의한 페닐알라닌의 대사적 분해 (Metabolic Fate of Phenylalanine in the Corn Smut Fungus Ustilago maydis)

  • 현민우;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9-253
    • /
    • 2011
  • Ustilago maydis(옥수수깜부기균)에 있어서 동포자 melanin의 구성성분으로 catecol 계 알려진바 이 물질의 전구체인 benzoic acid의 생성 여부와 그 유래 원천을 추적하고자 phenylalanine의 분해 과정을 조사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지된 L-$^{14}C$-phenylalanine 및 $^{14}C$-trans-cinnamic acid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균체와 배양액을 대상으로 대사산물을 추적 조사한 결과 trans-cinnamic acid, benzoic acid, 4-hydroxybenzoic acid와 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s 추정되는 물질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L-$^{14}C$-phenylalanine을 대사하여 매우 천천히 공기 중으로 $^{14}CO_2$를 방출함을 확인하여 phenylalanine을 완전히 분해 할 수 있음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옥수수깜부기균이 benzoic acid를 생성하고 그 유래는 phenylalanine의 분해에서 만들어지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표고(Lentinula edodes) 자실체의 추출성분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Fruit Bodies of Lentinula edodes)

  • 이학주;윤갑희;박원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24-30
    • /
    • 2003
  • 표고(Lentinula edodes) 자실체의 메탄올(methanol, MeOH) 조추출물로부터 활성성분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6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단리물질은 nucleotide인 uracil(2, 4-pyrimidinedione)를 비롯하여 adenosine(9-𝛽-D-ribofuranosyladenine), uridine(1-𝛽-D-ribofuranosyluracil)과, amide 화합물인 nicotinamide, 그리고 p-hydroxybenzoic acid, ergosterol(ergosta-5, 7, 22-triene-3𝛽-ol)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Phenolic acid가 Maillard 반응 모델액의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olic Acids on Inhibition of Browning of Maillard Reaction Model Solutions)

  • 곽은정;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4
    • /
    • 2007
  • 된장모델로서 0.1M glucose-0.1M glutamic acid 모델을 선정하고 0.2mM $FeCl_{2}$의 존재 하에 갈변억제제인 50mM citric acid와 이의 synergist로 5종의 phenolic acids를 첨가하여 조제한 시료를 $4^{\circ}C$$30^{\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phenolic acids가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phenolic acids 첨가에 따른 갈변억제효과는$4^{\circ}C$의 저온에서보다 $30^{\circ}C$의 실온에서 저장시 pH의 변화 없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종의 phenolic acids 중에서 hydroxybenzoic acid는 갈변억제능이 가장 높아, 갈변억제능은 $30^{\circ}C$에서 4주간 저장후 phenolic acids 무첨가구보다 13%가 높았다. Caffe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와 같이 OH기가 2개 치환된 phenolic acid는 Maillard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는 철 이온과의 결합능이 높아 Maillard 반응이 보다 더 억제되어 3-DG 및 형광화합물과 같은 중간반응산물의 생성을 가장 억제하였으나, 이들 phenolic acids는 유색의 착체를 형성하여 동일계의 OH기가 0, 1개 치환된 phenolic acids보다 갈변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Hydroxybenzoic acid는 실제 된장에도 사용가능한 첨가물로서 citric acid를 갈변억제제로 사용시 이의 synergist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Inhibitory Activity of Sedum middendorffianum-Derived 4-Hydroxybenzoic Acid and Vanillic Acid on the Type III Secretion System of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DC3000

  • Kang, Ji Eun;Jeon, Byeong Jun;Park, Min Young;Kim, Beom S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6호
    • /
    • pp.608-617
    • /
    • 2020
  • The type III secretion system (T3SS) is a key virulence determinant in the infection process of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DC3000 (Pst DC3000). Pathogen constructs a type III apparatus to translocate effector proteins into host cells, which have various roles in pathogenesis. 4-Hydroxybenozic acid and vanillic acid were identified from root extract of Sedum middendorffianum to have inhibitory effect on promoter activity of hrpA gene encoding the structural protein of the T3SS apparatus. The phenolic acids at 2.5 mM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hopP1, hrpA, and hrpL in the hrp/hrc gene cluster without growth retardation of Pst DC3000. Auto-agglutination of Pst DC3000 cells, which is induced by T3SS, was impaired by the treatment of 4-hydroxybenzoic acid and vanillic acid. Additionally, 2.5 mM of each two phenolic acids attenuated disease symptoms including chlorosis surrounding bacterial specks on tomato leaves. Our results suggest that 4-hydroxybenzoic acid and vanillic acid are potential anti-virulence agents suppressing T3SS of Pst DC3000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diseases.

GC-MS에 의한 대파의 항산화 물질 동정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Allium fistulosum L. by GC-MS)

  • 서지우;조정용;국주희;위지향;문제학;김성호;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88-993
    • /
    • 2003
  • 대파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을 구명하고자 대파를 3가지 다른 방법으로 추출하여 대파 착즙액, 열수추출물, MeOH 추출물을 얻었다. 이들 추출물을 각각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EtOAc 가용 산성획분을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얻어진 활성획분을 GC-MS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파 착즙액과 열수추출물에서는 succinic acid ,fumaric acid,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4-hydroxycinnamic acid 그리고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의 6종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MeOH 추출물로부터는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4-hydroxycinnamic acid,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의 4종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검정한 결과,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각각의 대파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GC에 의해 정량분석한 결과, 대파 착즙액과 열수추출물 및 MeOH 추출물 모두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산분해 대두 단백질로부터 분리된 Esterase 생성균의 생육 및 효소생성 특성 (Esterase Production and Culture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solated from Acid Hydrolysed Soybean Protein)

  • 오남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484-489
    • /
    • 1997
  • 산분해 대두 단백질로 부터 식품 보존료인 p-hydroxybenzoic acid butyl ester를 분해하고, esterase 활성을 갖는 균주들을 분리, 동정하여 그들의 생육 및 효소 생성 특징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전부 Baillus sp. 로 동정되었으며, specific growth rate는 균주에 따라 $0.844{\sim}1.213\;h^{-1}$였으며, esterase activity 는 Baillus sp. KB8 균주가 222 mU/ml로 대비균주인 B. subtilis ATCC6633의 21 mU/ml보다 10배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p-hydroxybenzoic acid butyl ester 분해 활성도는 $5.4{\sim}8.1\;mU/ml$로 균주에 따른 큰 차이는 볼 수 없었다. Baillus sp. KB8 균주의 배양시 NaCl 첨가는 생육을 저해시키며, esterase의 세포외 축적과 세포내 합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NaCl 첨가 농도의 증가는 세포외 축적을 더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크 배양실험 결과 Baillus sp. KB8 균주의 효소 생성은 생육이 stationary phase 이후 점차 증가하여 배양 64시간에 420 mU/ml를 생성하였다. 온도에 대한 esterase의 활성은 $50^{\circ}C$에서 30분간 실활없이 유지되었으나 $70^{\circ}C$에서는 전부 실활되었다. $60^{\circ}C$$65^{\circ}C$ 에서의 효소 활성은 노출 시간에 따라 지수적인 실활 경향을 보여 3시간 후 $60^{\circ}C$에서 76%, $65^{\circ}C$에서는 3%의 잔존 효소활성을 보였다.

  • PDF

Phenolic Compounds from Orostachys japonicus having Anti-HIV-1 Protease Activity

  • Park, Ju-Gwon;Park, Jong-Cheol;Hur, Jong-Moon;Park, Sung-Jong;Choi, Da-Rae;Shin, Dong-Young;Park, Ky-Young;Cho, Hyun-Wook;Kim, Moon-S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17-121
    • /
    • 2000
  • The water extract of the aerial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showed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IV-1 protease. From the same parts of O. Japanicus, 4-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together with flavonoids, kaempferol, quercetin, kaempferol $3-O-{\beta}-D-glucoside$, kaempferol $3-O-{\beta}-D-galactoside$ and quercetin $3-O-{\beta}-D-glucoside$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 PDF

Anti-platelet Effect of the Phenolic Constituent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Magnolia obovata

  • Pyo, Mi-Kyung;Koo, Yean-Kyoung;YunChoi, Hye-S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147-151
    • /
    • 2002
  • In the course of our work on anti-platelet constituents from plants, eight phenolic compounds, $({\pm})-syringaresinol$ (1), 4-hydroxybenzaldehyde (2), 4-hydroxybenzoic acid (3), vanillic acid (4), 4-hydroxy cinnamic acid (5), quercetin 3-O-rhamnoside (6), rutin (7), and quercetin $3-(2^G-rhamnosylrutinoside)$ (8)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he leaves of Magnolia obovata. The compound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spectroscopic data. Compound 2, 3, 5, 6, 7 and 8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genus Magnolia. 1 and 6 showed same order of inhibitory potencies as acetylsalicylic acid (ASA) to rat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all the stimulators tested. The remaining six compounds showed only mild effects.

한국인의 식이를 통한 보존료의 일일 추정섭취량 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Sorbates, Benzoates, and Esters of $rho-Hydroxybenzoic$ Acid for Average Consumers in Korea)

  • 윤혜정;조양희;박주연;이창희;박성관;조영주;한기원;이종옥;이철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3-60
    • /
    • 2001
  •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르빈산 덴 소르빈산 칼륨, 안식향산 및 그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테르류의 섭취량을 평가하고자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식이섭취량 보고서”의 일인당 일일식품섭취량과 보존료의 실제 농도분석치를 이용하여 각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을 구하였다. 조사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은 소르빈산 및 소르빈산 칼륨의 경우 소르빈산으로서 0.22mg/kg bw/day, 안식향산 및 그 염류는 안식향산으로서 0.004mg/kg bw/day 였으며, 일일섭취허용량 (ADI)에 대한 비율은 각각 0.88%, 0.30%, 그리고 0.04%로 나타나 추정된 한국인 평균소비자의 소르빈산 및 소르빈산 칼륨, 안식향산 및 그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의 섭취량은 ADI의 1% 미만으로 나타나 매우 안전한 수준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