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quinone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1초

The Modified Electrode by PEDOP with MWCNTs-Palladium Nanoparticles for the Determination of hydroquinone and Catechol

  • Naranchimeg, Orogzodmaa;Kim, Seul-Ki;Jeon, Seung-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8호
    • /
    • pp.2771-2775
    • /
    • 2011
  • Poly-ethylenedioxypyrrole (PEDOP) coated thiolated multiwall carbon nanotubes palladium nanoparticles (MWCNTs-Pd)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GCE) [PEDOP/MWCNTs-Pd/GCE] for the determination of hydroquinone (HQ) and it’s isomer catechol (CA) were synthesized and compared with bare GCE and thiolated multiwall carbon nanotubes (MWCNTs-SH/GCE). The modification could be made by simple processes on a GCE with MWCNTs-Pd covered by PEDOP in a 0.05 M tetrabutylammonium perchlorate (TBAP)/MeCN solution system. A well-defined peak potential evaluation of the oxidation of hydroquinone to quinone at 0.05 V (vs. Ag/AgCl), and electrochemical reduction back to hydroquinone were found by cyclic voltammetry (CV)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t pH 7.4. Peak current values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hydroquinone contents. The peak separation between the anodic and cathodic peaks at the PEDOP/MWCNTs-Pd/GCE was ${\Delta}Ep$ = 40 mV for HQ and ${\Delta}Ep$ = 70 mV for CA, resulting in a higher electron transfer rate. Moreover, good reproducibility, excellent storage stability, a wide linear range (0.1 ${\mu}M$ - 5 mM for HQ and 0.01 ${\mu}M$ - 6 mM for CA), and low detection limits ($2.9{\times}10^{-8}$ M for HQ and $2.6{\times}10^{-8}$ M for CA; S/N = 3) were determined using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 and amperometric responses; this makes it a promising candidate as a sensor for determination of HQ and CA.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의 항멜라닌 효과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Whitening Agent Containing Arbutin and ${\beta}-Glucosidase$)

  • 유박린;류지호;이무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5-418
    • /
    • 2004
  • 알부틴은 glycosylated hydroquinone으로 여러 식물들에서, 고농도로 발견되며 비교적 안정한 물질이다. 이는 멜라닌화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베타-글루코시다제에 의해 포도당과 hydroquinone으로 쉽게 가수분해된다. Hydroquinone 역시 우수한 항멜라닌화 작용을 가지나, 여러 가지 부작용들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거나 주의를 요한다. 이 연구는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품이 자외선 조사로 유도된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10명의 건강한 성인으로 등 부위에 자외선 B를 조사하여 색소 침착 병변을 만들었고 이 병변들은 세 그룹: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도포군, vehicle 대조군, no-application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알부틴과 베타-글주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도포군은 no-application 대조군에 비교하여 색소 침착을 $50.17\%$ 억제하였다(N = 10:P<0.05). 따라서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이 기미 등 자외선 조사로 유도되거나 악화되는 과색소성 질환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겠다.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Mthylene dianiline Succinonitrile Hydroquinone계의 열적 성지 (Thermal Properties of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4,4'- Methylene dianiline Succinonitrile Hydroquinone system)

  • 정신경;천인숙;심미자;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8호
    • /
    • pp.915-920
    • /
    • 1994
  •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DGEBA)-Mthylene dianiline(MDA)계에 사슬 확장제인 Succinonitrile(SN)과 반응 촉진제인 Hydroquinone(HQ)을 혼합한 계의 열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SN과 HQ의 함량을 4:1로 고정시키고 HQ의 함량을변화시키면서 유리전이 온도와 열변형 온도 그리고 열 분해 온도를 측정하였다. HQ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 온도와 열 변형 온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며 열 분해 온도는 HQ의 함량과 경화 온도의 변화에 따라 $360^{\circ}C$정도의 안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친수성 유지를 위해 Monomethyl Ether Hydroquinone이 제거된 2-Hydroxyethyle methacrylate로 처리하는 PDMS 표면개질 (PDMS Surface Modification for hydrophilicit Using 2-Hydroxyethyle Methacrylate without Monomethyl Ether Hydroquinone)

  • 김상철;양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36-38
    • /
    • 2003
  • In this paper, the surface modificatioin of PDMS (polydimethyl-siloxane) which is a useful material of microfluidic devices is presented. PDMS-based devices can be fabricated by casting the polymer in a mold, but the porosity and the hydrophobicity of PDMS make difficult to use as bio-medical devices.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PDMS surface is grafted with HEMA (2-Hydroxyethyle methacrylate) treatments and $O_2$ plasma process. The $O_2$ plasma process is performed for 20 sec after curing PDMS, and PDMS is put in the prepared HEMA without Monomethyle Ether Hydroquinone. Residual monomers and homopolymers of HEMA-treated PDMS surface are removed using soxhlet extractor. The PDMS surface modification using HEHA without Monomethyle Ether Hydroquinone is experimented, and compare to when additing $FeCl_2{\cdot}2H_2O$. A method with a soxhlet extractor compare to the existing rinse method. The hydrophilicity is confirmed by the measurement of a contact angle, and we observe whether the hydrophilicity is retained.

  • PDF

MN/HQ가 첨가된 에폭시 수지계의 경화반응 연구 (Cure Reaction of Epoxy Resin System with MN/HQ)

  • 천인숙;심미자;김상욱
    • 공업화학
    • /
    • 제5권6호
    • /
    • pp.967-974
    • /
    • 1994
  • DGEBA(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MDA(4, 4' -methylene dianiline)/MN(Malononitrile)/HQ(Hydroquinone)계의 경화 반응속도론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의 승온적 방법(dynamic runs)에 의해 Barrrett method와 Integral method로 연구하였다. 활성화 에너지, pre-exponential factor와 같은 kinetic parameter들이 구하여 졌으며 반응 차수는 본계가 n차 반응 속도식에 적용된다는 가정하에 추정되었다. MN(Malononitrile)은 본 반응의 사슬 연장제로, HQ(Hydroquinone)은 반응 가속제 또는 촉매로 도입되었다.

  • PDF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4, 4'-Methylene Dianiline/Malononitrile/Hydroquinone계의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4, 4'-Methylene Dianiline/Malononitrile/Hydroquinone system)

  • 정선경;이재영;최형기;심미자;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7호
    • /
    • pp.823-827
    • /
    • 1994
  •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DGEBA)/4, 4'-methylene dianiline(MDA) 계에 malononitrile(MN)과 hydroquinone(HQ)을 도입한 계의 기계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80^{\circ}C$에서 1.5hr경화시킨후, $150^{\circ}C$에서 1hr 더 경화시킨 시편을 제조하여 시험하였으며, 사슬확장제로 작용하는 MN과 반응 가속제로 작용하는 HQ가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MN과 HQ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충격특성은 크게 개선된 반면, 딘장특성은 감소하였다.

  • PDF

파라메톡시페놀 및 히이드로퀴논 폐수(廢水)의 전기(電氣) 화학적(化學的) 처리(處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p-methoxyphenol and Hydroquinone Wastewater)

  • 김홍수;남기대;정노희;노윤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3-159
    • /
    • 1991
  •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p-methoxyphenol and hydroquinone for wastewater treatment application was investigated on platinum anode. At the cyclic voltammetry, it was observed that nagative shift of peak potential of p-methoxyphenol and hydroqinone as the pH of electrolytes increases and the peak current showed higher at strong electrolytes than weak electrolytes. In the case of p-methoxyphenol, the optimum electrode potential of controlled potential electrolysis was observed at the potential region of 0.8-1.0 (V vs. SCE) and hydroquinone was showed at the potential of l.0(V vs. SCE). Specially the oxidation rate of p-methoxyphenol and hydroquinone was showed high value in the acid electrolytes.

암 치료 표적으로의 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NQO1) (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NQO1) as a Cancer Therapeutic Target)

  • 박은정;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8-103
    • /
    • 2014
  • NQO1은 플라보 단백질 계통의 2 전자 환원 효소이며 NADH 또는 NADPH를 보조인자로 quinone 계통의 화합물을 hydroquinone으로 환원 한다. 암에서 NQO1은 그에 상응하는 정상 조직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높은 발현을 나타낸다. NQO1의 다양한 기능 중 quinone 물질 대사는 두 가지 형태의 상반되는 기능을 가진다. 이것은 quinone으로부터 전환된 hydroquinone의 상태적 안정성과 불안정성에 기인하며, 불안정한 hydroquinone의 생성은 산화적 손상 야기 및 DNA 손상은 세포의 운명을 바꾸어 놓게 된다. 따라서 암에서 그 발현이 높은 NQO1을 표적으로 작용하는 생체환원 물질은 암 세포 사멸을 강하게 유도하게 되어 암 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항암 표적 분자로서 NQO1 특징과 NQO1을 통해 작용하는 생체환원물질 ${\beta}$-lapachone의 항암 효과와 기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