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lytic degre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9초

수변 낙엽퇴적층에서 분리한 호열성 Geobacillus의 물질 분해 특성 (Hydrolytic and Metabolic Capacities of Thermophilic Geobacillus Isolated from Litter Deposit of a Lakeshore)

  • 백현주;조영근;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2-40
    • /
    • 2009
  • 수변 낙엽퇴적층에서 호열성 세균의 분포와 물질분해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호열성 세균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분자 유기물의 분해력이 높고 $60^{\circ}C$에서 생장하는 균주들을 탐색한 결과, 10개의 균주가 선별되었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계통분석한 결과, 모두 Geobacillus 속으로 동정되었다. 균주들의 최적 성장온도는 $55^{\circ}C$$60^{\circ}C$, 최적 pH는 초기 pH가 6.0${\sim}$8.0일 때로 나타났으며, 염분 3%일 때를 기준으로 성장속도의 저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균주의 효소 활성도와 API 50 CHB kit에 의한 탄수화물 이용도를 바탕으로 균주의 생태학적 기능을 알아본 결과, G. stearothermophilus 균주들과 G. kaustophilus 균주들의 특성은 다른 종의 균주들과 명확히 구분되었으며, 나머지 균주들은 최적 성장환경의 생태학적 특징이 다양하게 나타나, 종별 구분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았다. 약산성 환경에서 최적 성장하는 G. stearothermophilus 균주들은 높은 단백질분해효소활성을 보이면서 다당류 분해와 단당류 이용도가 낮았고, 알칼리환경을 최적 서식지로 하는 G. kaustophilus 등은 이와 대조적으로 지질 분해 및 당류의 이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변 낙엽퇴적층에는 호열성 내성포자 형성 세균인 Geobacillus 속 균주들이 다양한 생태학적 지위를 가지며 퇴비화와 유사한 천이과정을 거치면서 수변 퇴적물질을 분해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명태단백 Pronase 가수분해물의 제조 (Preparation of Pronase Hydrolysate from Alaska-pollack)

  • 서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5-343
    • /
    • 1995
  • In order to enhance the utility of alaska-pollack,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pronase hydrolysat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hydrolysis of alaska-pollack by pronase were 4$0^{\circ}C$ and pH 7.0. The reaction time and enzyme concentration were 4 hr and 1,000 units per g of substrate. Under the above optimum conditions alaska-pollack was hydrolysed by pronase yielding a hydrolytic degree of about 89eye. The bitterness and hyrophobicity of pronase hydrolysate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ime. Hydrophobic amino acids(Tyr, Met, Ala, flu, Leu, and Phe) were increased for 2 hr, but fur thor hydrolysis was showed decrease of hydrophobic amino acids content. Palatable amino acids (Asp, Glu, Pro, Ser, Thr and Gly) were increased with hydrolysis time.

  • PDF

숙성기간에 따른 멸치액젓의 성분변화 (Changes of Components in Salt-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during Fermentation)

  • 조영제;임영선;박희열;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15
    • /
    • 2000
  • 재래식방법으로 멸치액젓 숙성 중에 성분변화를 실험하기 위하여 동부산수협의 숙성탱크로부터 $1.5{\~}3$개월 간격으로 원액만을 직접 채취하여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멸치육의 가수분해도는 숙성 12개월까지는 $67.8{\%}$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분해속도가 둔화되어 숙성 18개월 후에는 $74.6{\%}$이었다. 수분함량과 pH는 숙성기간에 따라서 약간씩 감소하는 반면, 조단백질함량과 VBN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회분함량과 염분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함량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총질소함량이 아미 노산성 질소함량보다 증가속도가 더 컸다. 액젓 중의 ATP 관련물질은 $ATP{\~}IMP$는 극미량, HxR은 약간 검출되었고, 거의 대부분 ($80.1{\~}92.7{\%}$)이 Hx과 요산이었다. ATP 관련물질 총량의 증가는 주로 요산량의 증가에 의한 것이며, 숙성기간에 따라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숙성 11.5개월 전까지는 HxR+Hx 함량이 요산량보다 높다가, 그 이후에는 요산량이 HxR+Hx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HxR+Hx 함량과 요잔량이 교차하는 숙성 11.5개월 부근은 가수분해도 $66.9{\%}$, 가용파율 $74.6{\%}$로 나타나 높은 분해율을 보이는 지점이었고, 수분함량도 현행 품질기준인 $68{\%}$ 이하로, 관능적인 맛과 냄새면에서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숙성기간에 따라서 $a값, {\Delta}E값 및A453값$은 증가하였고, L값 및 b값은 감소하였다. 멸치육의 총아미노산함량은 24,155 mg/100g로 나타났으며, 조성은 aspartic acid가 $14.6{\%}$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cystine(11.6{\%}),\;lysine(9.1{\%}),\;glutamic acid (8.9{\%}),\;valime\;(7.7{\%}),\;alanine\;(6.8{\%}),\;leucine\;(6.5{\%})$ 등의 순이었다. 18개월간 숙성시킨 멸치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9,070.2mg/100ml로 원료육 총아미노산함량의 약 $38{\%}$정도였으며, 조성비는 glutamic acid가 $20.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leucine\;(14.2{\%}),\;alanine\;(14.0{\%}),\;lysine\;(12.2{\%}),\;isoleucine\;(8.0{\%}),\;valine\;(7.9{\%})$ 등의 순으로 나타나, 원료육의 아미노산 조성과는 차이를 보였다.

  • PDF

밴댕이 액젓의 숙성 중 성분변화 (Changes of Components in Salt-Fermented Big Eyed Herring, Harengula zunasi Sauce during Fermentation)

  • 임영선;이근우;김건배;최영준;이인수;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88-492
    • /
    • 2001
  • 밴댕이 액젓을 재래식의 방법으로 18개월 동안 숙성시키면서 $2\~3$개월 간격으로 성분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밴댕이육의 가 수분해도는 숙성 5개월까지는 $51.8\%$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분해속도가 둔화되어 숙성 18개월 후에는 $71.5\%$이었다. 총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숙성기간에 따른 총질소함량의 증가속도에 비하여 아미노태 질소함량의 증가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숙성 6개월 이후 액젓중의 ATP 관련물질은 거의 대부분 ($81.7\sim90.1\%$)이 Hx와 요산이었고, ATP 관련물질 총량은 숙성기간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HxR+Hx 함량과 요산량이 교차하는 숙성 13개월 부근은 가수분해도 $66.6\%$로 높은 분해율을 보이는 지점으로서 경제적인 출하 시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8개월간 숙성시킨 밴댕이 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8,090.5mg/100mL으로 원료육 총 아미노산 함량 (21,538mg/100g)의 약 $38\%$ 정도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20.0\%$), aspartic acid ($10.4\%$), alanine ($9.9\%$), lysine ($9.4\%$), threonine ($6.2\%$) 등의 순이었다.

  • PDF

고구마전분의 산처리 특성과 산분해 잔사의 구조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lintnerized starches from sweet Potato)

  • 김성란;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96-201
    • /
    • 1992
  • 분질 고구마인 수원 147과 점질인 황미로부터 전분을 분리하고 산가수분해 특성 및 X-ray 회절도를 통해 내부결합력 및 결정강도를 비교하였으며 겔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산분해 잔사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원 147이 황미보다 산가수분해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생전분의 결정화도와 산처리에 따른 전분들의 상대적 결정화도의 증가는 수원 147이 더 크게 나타났다. 산처리에 의하여 ${\beta}$-Amylolysis limit(%)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겔크로마토그래피로 용출되는 분자크기가 크게 감소했다. 산분해 잔사는 중합도(DP) 25와 DP 15 부근의 2개의 peak로 분획되었다. Debranching 한 후의 분획은 DP 15부근의 단일 peak로 나타났고 peak의 DP에서 분질과 점질간 차이가 나타났다.

  • PDF

몇 종류의 곰팡이에서 분리되는 Crude Cellulase의 다당류 분해능력의 조사 (Investigation of the Hydrolysis of Polysaccharides by Crude Cellulases prepared from Several Species of Fungi)

  • 김은수;김영민;이인규;최태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5-90
    • /
    • 1975
  • Crude cellulases freshly prepared from cultures of Aspergillus niger, Prnicillum motatum, Trichoderma vride 16273 and Trichoderma viride 16374 were assayed on 4 different substrates including Na-CMC, cellulose powder, starch and sucrose. Enzyme prepared from A. niger contained highly active hydrolytic enzymes of the 4 substrates assayed. P. notatum [yielded relatively lower amount of cellulase but the extracts were also highly reactive on starch and sucrose. Trichoderma viride 16274 yielded very little cellulase and invertase, but the extracts showed a high degree of amylase activity. Trichoderma viride 16374, however, yielded collulase comparable to that of Penicillium notatum, but lower activities of amylase and invertase were seen. Commercial cellulases prepared from Penicillium notatum (cellulase[K]) and Trichoderma viride(cellulase[J]) indicated enzyme activities closely parallel to the crude enzymes freshly prepared from fungus cultures. The optimum pH's of cellulolytic activities of cellulase[K] and cellulase[J] were 4.0 and 5.0 respectively. The optimum temperatures of the cellulolytic activities of cellulase[K] and cellualse[J] were 4.0 and 5.0 respectively. The optimum temperatures of the cellulolytic activities of cellulase [K] and cellulase [J] were $60{\circ}C$ and $50{\circ}C$ respectively. Assuming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Na-CMC is about 115,000, the Km values of cellulase [K] and cellulase[J] were found to be $3.3{\times}10^{-5}/nM$ and $3.3{\times}10^{-4}/nM$ respectively.

  • PDF

Iridoid Compounds가 RNA 및 Protein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idoid Compounds on RNA and Protein Biosyntheses in Sarcoma 180 cells)

  • 허순옥;김제훈;장일무
    • 생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9-104
    • /
    • 1985
  • To investigate a possible biological activity of iridoid glucosides, six compounds, aucubin, catalpol, gardenoside, geniposide, rehmannioside and swertiamarin, were studied in relation with their potential influences in RNA and protein biosyntheses in murine tumor cell, sarcoma 180, in vitro. Protein biosynthesis was slightly inhibited by aucubin, gardenoside and swertiamarin. Degree of inhibition of RNA biosynthesis by those iridoid appeared to be more sensitive than that of protein biosynthesis. When aucubin was pretreated with ${\beta}-glucosidase$ to produce its genin form and the sarcoma 180 cells were exposed to this aucubigenin, the protein and RNA biosyntheses in the cells were profoundly inhibi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 biologically active from of iridoid compounds is the hydrolytic products of glycoside, i.e. genin form. It is also suggested that sarcoma 180 cells used in the experiments appear to lack of ${\beta}-glucosidase$, since the inhibitory actions of iridoid glucosides were so slight that those glucosides were not hydrolysed by the enzyme to their genin forms.

  • PDF

생분해성 가교 공중합에스테르의 분자설계 및 특성 연구 (Molecular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Crosslinked Copolyesters)

  • 성용길;한승준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108-114
    • /
    • 2001
  • Krebs회로 산인 L-malic acid와 glycerol의 -OH와 -COOH의 몰비를 달리하면서 가교공중합체 poly(glycerol-co-malate)s를 합성하였다. 단량체 및 합성된 가교공중합체를 적외선흡수 분광기법에 의하여 확인하였으며, pH에 따른 수팽윤도를 측정하였다. 용액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그 공중합체 수화겔의 수팽윤도는 증가하였으며, 각 pH에서 가교공중합체는 -COOH에 대한 -OH기의 몰비가 증가할수록 수팽윤도가 감소하였다. 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가교공중합체의 가수분해도를 37${\circ}C$에서 조사한 결과 용액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가수분해는 빨리 진행되었다. 모델 약물로는 diclofenac monosodium salt를 사용하여 pH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을 조사한 결과 약물의 방출은 pH가 증가할수록 더 빨리 방출되었고, 합성된 가교공중합 에스테르는 미반응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실기로 인해 pH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 PDF

명태단백 가수분해물 제조 및 plastein의 합성 (Production of protein hydrolysate and plastein from alaska-pollack)

  • 서형주;이호;조홍연;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39-345
    • /
    • 1992
  • 명태육의 식품가공적성과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pronase에 의한 명태단백의 가수분해조건과 fruit-와 stem-bromelain에 의한 plastein의 합성 반응조건을 검토하였다. Pronase 가수분해 최적조건인 반응pH 7.0, 반응온도 $40^{\circ}C$, 기질 g당 효소첨가량 1,000units 및 반응시간 4시간에서 89% 분해도를 보이는 명태단백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Plastein은 pH가 각각 5.0(stem-bromelain)과 7.0(fruit-bromelain)으로 조정된 기질 30% 용액에 bromelain 1%를 가하여 $40^{\circ}C$, 24시간 진탕반응하여 합성하였다. 이 최적조건에서 합성된 plastein은 각각 22.6과 20.8 아미노산 잔기를 가진 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관능검사에 의해 반응초보다 크게 쓴맛이 제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Micromechanical 시험법과 동적접촉각 측정을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된 생분해성 Poly(p-dioxanone) 섬유강화 Poly(L-lactide) 복합재료의 계면물성 평가 (Interfacial Evaluation of Plasma-Treated Biodegradable Poly(p-dioxanone) Fiber/Poly(L-lactide) Composites Using Micromechanical Technique and Dynamic Contact Angle Measurement)

  • 박종만;김대식;김성룡
    • 접착 및 계면
    • /
    • 제4권1호
    • /
    • pp.18-27
    • /
    • 2003
  • Micromechanical 시험법과 표면 젖음성 측정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된 생분해성 poly(p-dioxanone) (PPDO) 섬유강화 poly(L-lactide) (PLLA) 복합재료의 계면물성과 미세파괴 분해메카니즘을 연구하였다. PPDO 섬유강화 PLLA 복합재료는 장기간의 사용기간 동안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PPDO 섬유와 PLLA 기지재료의 분해정도는 열분석과 광학적인 관찰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PPDO 섬유와 PLLA 기지재료 사이의 계면전단강도와 접착일은 플라즈마 처리 시간이 60초 일때 가장 컸으며, 접착일과 polar 표면자유에너지는 계면전단강도와 비례하였다. 초기상태의 PPDO 섬유는 연성파단 형상이 나타났으나, 분해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분자량 감소로 인해 점차적으로 취성 파단 형상으로 변하였다. 계면물성과 미세파괴 분해메카니즘은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섬유강화 생분해성 복합재료의 성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요인들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