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gen-producing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3초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수소 공급망 통합 네트워크 설계를 위한 결정론적 최적화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Deterministic Optimization Model for Design of an Integrated Utility and Hydrogen Supply Network)

  • 황보순호;한지훈;이인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5호
    • /
    • pp.603-612
    • /
    • 2014
  • 대규모 산업 단지 내에는 다양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들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필요로 하는 물질의 생산 및 수송을 통하여 물질의 수요를 충족시킨다. 네트워크 자체적으로 직접 생산을 통하여 각 공장들이 필요로 하는 물질의 수요를 충족시키기도 하며 수요량의 변화나 경제적 요소들로 인하여 네트워크 외부에서 필요로 하는 물질을 구매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수송하기도 한다. 특히나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수소 네트워크는 대규모 산업 단지의 대표적인 네트워크들이며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비용적 절감 및 네트워크 구성의 최적화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두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통합된 네트워크 모델을 구축하여 최적화를 진행한 연구는 진행되어 오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여분의 스팀을 수증기 메탄 개질 공정의 원료로 사용하여 수소를 생산한 후, 생산된 수소를 수소 네트워크에 주입하여 수소 네트워크의 수소 수요량을 충족시키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유틸리티 네트워크의 유틸리티 수요량과 수소 네트워크의 수소 수요량을 모두 충족시키면서 통합된 네트워크 모델의 최적 설계 및 네트워크 구성도를 결정할 수 있게 하고, 요구되는 전체 비용을 계산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최대 규모의 대규모 석유 화학 산업단지를 가지고 있는 여수 석유 화학 단지를 대상으로 사례를 적용해 보았으며 이 사례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기존의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수소 네트워크를 개별적으로 연구한 결과와 비교하여 더 최적의 결정을 제시할 것이다.

알칼리 수전해에서 전극재질에 따른 수소생산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n Production According to Electrode Materials in Alkaline Water Electrolysis)

  • 문광석;박대원
    • 에너지공학
    • /
    • 제24권2호
    • /
    • pp.34-3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온에서 수소생산이 가능한 무격막형 알칼리수전해 장치를 제작하여 전극재질에 따른 수소생산 특성을 확인하였다. 전극재질($IrO_2/Ti$, $RuO_2/Ti$, Ti)별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RuO_2/Ti$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고, 전해질 농도별 수소생산량 실험 결과, 전해질 농도와 수소생산량은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0% KOH 조건에서 $118.9m^3/m^3/day$로 가장 높은 수소생산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극재질별 수소생산량을 확인한 실험에서는 anode($IrO_2/Ti$)와 cathode($RuO_2/Ti$)로 조합 시 $157.55m^3/m^3/day$$IrO_2/Ti$를 cathode로 조합한 결과에 비해 약 6.97% 높은 수소생산량을 보였다. 이는 DSA전극의 전기화학적 활성도 향상에 의한 수소생산량 증대와 기존 전극에 비해 내구성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알칼리 수전해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토양으로부터 Protease 생산 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etense Producing Bacteria from Soil)

  • 김관필;이창호;우철주;김남형;배동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54-759
    • /
    • 2002
  • 공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protease 중 중성 영역에서 최적의 활성을 갖는 중성 protease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토양으로부터 protease의 생성능이 우수한 10여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protease의 활성 이 가장 우수한 PANH765를 최종 선별하였다. 이 균주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Bergey의 세균 분류서의 색인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한 결과, Bacilius subtilis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되어 분리균을 Bacilius .Subtilis PA-NH765로 동정하였다. B. subtilis PANH-765 균주에 의한 protease의 최적 배지 조성은 2.0% glucose, 1.0% yeast extract, 0.2% ammonium nitrate, 0.02% ferrous sulfate 및 0.02% di-potassium hydrogen phosphate이었으며, 최적 생산 조건은 배양온도 ,3$0^{\circ}C$, pH 7.0, 진탕 속도 150 rpm이었다. 이 조건에서 초기 균체량을5%(w/v)접종하여 배양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효소의 최대 활성은 배양 ,36시간일 때 6.34 U이었다.

수소생산 고정화 생물 반응기의 특성(II) -연속 반응기에서의 총괄 효율인자 - (Characteristics of the Bioreactors of Hydrogen-producing Immobilized Cells (II) -Overall Effectiveness Factor in Continuous Reactors-)

  • 이명재;선용호;한정우;조영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10-516
    • /
    • 1988
  • 본 연구는 균주로 Rhodospirillum rubrum KS-301, 증식 제한 기질로 글루코오스, 고정화 담체로 Ca alginate를 사용한 고정화 생물 반응기를 조작할 때 담체에 의해 형성되는 물질전달 저항에 대한 도입 기질의 농도, 희석속도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또한 효율인자를 평가하기 위해 속도식 변수를 구하였다. 충전층 반응기의 경우 외부 액막 물질전달 저항보다는 내부 물질전달 저항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고 총괄 효율인자는 희석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의 경우 외부 액막 물질전달 저항은 무시할 수 있으며 총괄 효율인자는 희석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희석속도 0.2/h, 비드 반경 0.15cm, 초기 글루코오스 농도 1.0g/L의 실험조건에서 총괄 효율인자는 충전층 반응기와 연속 교반 반응기에서 각각 0.70과 0.77이었다.

  • PDF

도자기 표면 변색에 대한 중화제(Sodium Meta Silicate 및 Triethylamine)의 농도별 표백 효과 - 10% 과산화요소 표백겔을 중심으로 - (Study on Bleaching Effect of Neutralization Agent (Sodium Meta Silicate and Triethylamine) Regarding Its Concentration - Focused on 10% Urea Hydrogen Peroxide Bleaching Gel -)

  • 함철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130-1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넓은 pH영역에서도 증점효과를 가지는 카보풀 수지 940, 934를 가지고 중화제(sodium meta silicate, triethylamine)별 겔을 제조하여 10% 과산화요소를 첨가하고, 이에 따른 표백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메타규산나트륨(sodium meta silicate) 1.6g을 첨가한 실험군에서 표백효과의 최적 조건인 pH 10을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각군별 대조군 Baseline 색 변화량(${\Delta}E*ab$)과 시간별 색 변화량(${\Delta}E*ab$)을 비교해 보면 1군(카보풀 940, 메카규산나트륨, 과산화요소)은 CS-2에서 112%, CS-4는 63.3%, CS-6은 87.4%의 표백효율을 나타냈으며, 2군(카보풀 934, 메카규산나트륨, 과산화요소; CS-8, CS-10, CS-12)에서는 순서대로 77.3%, 67.3%, 109.%로 나타났다. 그리고 3군(카보풀 940, 트리에탄올아민, 과산화요소;CT-1, CT-3, CT-5)에서 36.8%, 73.2%, 74% 순으로, 4군(카보풀 934, 트리에탄올아민, 과산화요소; CT-6, CT-8, CT-10)에서는 81.7%, 95.4%, 95.7%의 표백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중화제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표백표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타규산나트륨을 중화제로 첨가한 것보다 트리에탄올을 중화제로 첨가한 것이 표백효율이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에 사용된 겔의 점도는 메타규산나트륨을 첨가한 군에서 점도가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한 겔보다 높았다. 이는 유약이 시유된 경사진 도자기 표면에 표백겔이 흐르지 않고 부착되는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10% 과산화요소 표백겔을 만들고자 할 때 메타규산 나트륨을 첨가하면 증점효과와 원하는 표백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소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기반 메탄올 연료추진 선박에서 CCU 적용에 따른 시스템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System in Methanol Fuel Propulsion Ships Based on the Hydrogen Fuel Cell Hybrid System)

  • 이윤호;김준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9-25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메탄올을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이 추가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공정을 설계하였다. Case1에서는 메탄올 연료 엔진 시스템을 설계하여, 엔진에 가솔린 대신 메탄올을 연료로 공급했을 때의 배기가스 배출량을 알아보았다. Case2에서는 Case1에 메탄올 개질 시스템을 추가해,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는 그레이 수소를 생산하며, 엔진과 연료전지의 출력을 조합하여 선박을 구동한다. 하지만 그레이 수소는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점을 보안하기 위해 Case3에서는 CCU시스템을 추가하였다. Case2에서 배출한 Flue gas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그레이 수소와 합성해 블루 메탄올을 생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ase study를 통해 개질 온도220℃, 개질 압력500kPa, SCR은 1.0, flow ratio가 0.7일 때 최적의 운전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Case3의 시스템은 Case1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42% 감소시켰다. 결과적으로, Case3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선박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유의미하게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음식물쓰레기 이용 혐기 산발효에 의한 수소 및 유기산 생산: 축산폐수 첨가 효과 (Effect of Livestock Wastewater Addition on Hydrogen and Organic Acids Production Using Food Waste)

  • 장수진;김동훈;이모권;나정걸;김미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99-205
    • /
    • 2015
  • Organic wastes such as food waste (FW), livestock wastewater (LW), and sewage sludge (SWS) can produce hydrogen ($H_2$) by anaerobic acid fermentation. Expecially, FW which has high carbohydrate content produces $H_2$ and short chain fatty acids by indigenous $H_2$ producing microorganisms without adding inoculum, however $H_2$ production rate (HPR) and yield have to be improved to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technology. In this study, LW was mixed to FW in different ratios (on chemical oxygen demand (COD) basis) as an auxiliary substrate. The mixture of FW and LW was pretreated at pH 2 using 6 N HCl for 12 h and then fermented at $37^{\circ}C$ for 28 h. HPR of FW, 254 mL $H_2/L/h$, wa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LW, however, mixing ratio of LW to FW was reversely related to HPR, exhibiting HPR of 737, 733, 599, and 389 mL $H_2/L/h$ at the ratio of FW:LW=10:1, 10:2, 10:3, and 10:4 on COD basis, respectively. Maximum HPR and $H_2$ production yield of 737 $H_2/L/h$ and 1.74 mol $H_2/mol$ hexoseadded were obtained respectively at the ratio of FW:LW=10:1. Butyrate was the main organic acid produced and propionate was not detected throughout the experiment.

고정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연속적인 수소 생산 (Continuous Hydrogen Gas production by Immobilized Anaerobic Microorganisms)

  • 김정옥;김용환;류정용;송봉근;김인호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11-116
    • /
    • 2003
  • 하수 소화 슬러지에 pH제어를 통해 메탄발생 박테리아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방법으로 수소발생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반응조는 2 L 운전용적으로 혐기상태로 운전하였으며 37$\pm$1$^{\circ}C$로 항온 유지하였다. pH제어는 IN NaOH를 간헐적으로 주입하였으며 연속적인 운전조작은 가스발생이 나타난 후부터 시작하였다. 슬러지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PVA계 친수성 재질의 담체를 사용한 결과 PVA담체는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 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기질과 미생물간의 물질전달이 우수한 담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슬러지에 유무기 복합 고분자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입상화 슬러지를 제조시켜 반응조에 투입하였을 때 밀도를 가진 슬러지는 고농도의 미생물유지가 가능하였다고 판단된다. 입상화 슬러지는 초기의 전형적인 혐기성색깔인 검정색에서 회색으로 변화하였으며 입경분포는 1.5~2.0 mm 정도이었다. 최대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380 ml/L/hr였으며 수소가스조성은 50%에 달하였다. 입상화 슬러지는 슬러지의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고농도의 미생물 유지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광합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고성능 수소 생산 고정화 생물반응기의 개발(II) :고정층 반응기와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에서의 수소 생산성 및 물질전달 저항 비교 (Development of Bioreactors for Hydrogen-Producing Immobilized Photosynthetic Bacteria(II) : Evaluation of Immobilized Bioreactor for Hydrogen Productivity and Mass Transfer Resistance)

  • 선용호;한정우
    • KSBB Journal
    • /
    • 제8권3호
    • /
    • pp.256-265
    • /
    • 1993
  • 본 연구는 광합성 미생물 R. rubrum KS-301을 이용한 연속 반응기인 고정층 반응기와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도입 포도당 농도, 희석속도에 대한 수소 생산성과 고정화 담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외부 및 총괄 물질전달 저항, 반응 속도식 변수 등을 평가한 후 비교하였다. 고정층 반응기에서의 겉보기 $K_m$은 희석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며,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의 경우는 희석속도 $0.4h^{-1}$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고정층 반응기에서의 수소 생산성과 물질전달 실험결과는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에서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두 반응기를 비교하면 수소 생산성과 외부 효율인자는 교반탱크 반응기일 때가 크고, 내부 효율인자는 고정층 반응기일 때가 컸다. 그러나 총괄 효율인자는 두 반응기가 도입 포도당 농도에 따라서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 PDF

한국형발사체 자세제어시스템을 위한 과산화수소 단일추진제 추력기 (Hydrogen Peroxide Monopropellant Thruster for KSLV-II Reaction Control System)

  • 오상관;강신재;오동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35-343
    • /
    • 2019
  • 한국형발사체 3단의 무추력 비행구간에서는 추력기 자세제어시스템에 의해 롤, 피치, 요 축에 대한 3축을 제어하고, 추력 비행구간에서는 롤 축에 대한 제어를 추력기 자세제어시스템에 의해 수행한다. 발사체 자세제어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추력기의 추진제는 하이드라진과 같은 전통적인 독성 추진제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ADN 및 HAN 등과 같은 무독성(청정) 추진제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과산화수소 추진제는 독성이 없고 제작 및 시험평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저렴해서 독성 추진제의 대안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발사체 3단의 자세제어를 위해 개발 중인 50N 급 과산화수소 단일추진제 추력기 자세제어시스템의 설계내용 및 시제품 제작, 시험결과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