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gen yield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24초

Characteristics of Doped MgO Layer Deposited under Hydrogen Atmosphere

  • Park, Kyung-Hyun;Kim, Yong-Seo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375-378
    • /
    • 2006
  • Characteristics of doped MgO layer deposited under hydrogen atmosphere were investigated. Hydrogen gas was introduced during e-beam evaporation of doped MgO and its effects on microstructure, cathodoluminescence, discharge voltages and effective yield of secondary electron emiss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ydrogen influences and doped impurities the concentration and energy levels of defects in MgO layer and that affects the luminance efficiency and discharge delays of the panels significantly.

  • PDF

인바재료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풀림 열처리의 영향 (The Effects of the Annealing Heat Treatmen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Invar Materials)

  • 원시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9-138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nnealing heat treatmen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Invar(Fe-36%Ni Alloy) materials. Invar materials were annealed at various temperatures range 900~120$0^{\circ}C$ in vacuum(10-4Torr) and hydrogen atmospheres. And annealing conditions were changed by cooling rate and holding time at 110$0^{\circ}C$. The grain size of rolled Invar materials was very fine but those of annealed Invar materials at 900~120$0^{\circ}C$ in vacuum and hydrogen atmosph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The micro-vickers hardness values of annealed Invar materials were decreased about 15% that of the rolled Invar materials, regardless of the various of annealing temperatures, atmosphere(vacuum, hydrogen) and annealing conditions. The tensile strength and yield strength of annealed Invar materials at 900~120$0^{\circ}C$ in vacuum and hydrogen atmosphere were decreased 10.0~14.4% and 34.6~39.1% those of the rolled Invar materials, respectively. The strength ratio(tensile strength/ yield strength) of annealed Invar materials was improved to 1.7~1.8 from the value of 1.2~1.3 of rolled Invar materials. The degree of spring back of annealed Invar materials was about 50% of the rolled Invar materials, regardless of the various of annealing temperatures, atmosphere(vacuum, hydrogen) and annealing conditions.

  • PDF

열분해유/콜타르 혼합비가 피치계 활성탄의 수율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FO/Coal-tar Blending Ratio on Yield and Physical Properties of Pitch-based Activated Carbon)

  • 유태웅;서상완;임지선;이수홍;송우진;강석창
    • 공업화학
    • /
    • 제35권2호
    • /
    • pp.107-114
    • /
    • 2024
  • 피치계 활성탄의 수율 향상을 위해 열분해유와 콜타르를 혼합하여 피치를 합성하고, 합성된 피치를 물리적 활성화하여 활성탄을 제조하였다. 피치는 콜타르를 열분해유 대비 0~20%로 달리하여, 380~420 ℃에서 3 h 반응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피치는 80~260 ℃ 사이의 연화점을 가졌고, 10~40% 범위의 수율을 나타냈다. 모든 합성온도에서 콜타르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수율이 증가하고, 연화점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피치 중 연화점이 230~260 ℃ 사이의 피치를 선정하여 물성을 고찰하였다. 열분해유만으로 제조된 피치에 비해 콜타르가 함유된 피치가 저비점에서 휘발분이 많고, 잔탄량이 높았다. 이는 콜타르와 열분해유의 조성에 따른 차이로, 방향족 성분이 많은 콜타르와 지방족 성분이 많은 열분해유의 영향임을 확인하였다. 선정된 피치를 관형 반응기에서 950 ℃까지 승온하고, 1 h 동안 수증기로 물리적 활성화하였다. 콜타르가 포함된 활성탄이 열분해유만으로 제조된 활성탄에 비해 높은 수율과 미세기공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피치 원료 혼합에 의한 활성탄 수율 증가 효과를 확인하고, 콜타르 혼합 비율에 따른 물리적 활성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통성혐기성 수소생산균주 Rhodopseudomonas sp. MeL 6-2를 이용한 수소생산효율에 미치는 포도당 및 자당 농도의 영향 (Effect on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Sucrose on the Hydrogen Production using by the Facultative Anaerobic Hydrogen Producing Bacterium Rhodopseudomonas sp. MeL 6-2)

  • 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6-182
    • /
    • 2009
  • 안양천 공단 주변 슬러지를 미생물 접종원으로 무기염배지에 10 g/L의 자당을 첨가하여 수소 생산 균주 MeL 6-2을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 MeL 6-2은 호기성조건과 혐기성 조건에서 모두 생장하는 통성 혐기성 균주 Rhodopseudomonas sp.였다. 유기성 폐기물 내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포도당과 자당의 농도변화가 수소 생산 속도 및 수소 생성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포도당을 1~12 g/L의 범위로 첨가할 경우 lag phase 없이 생장하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위시간 및 단위부피당 수소 생산성 이 증가하여, 10 g/L에서 최대값인 $4.2\;mmol-H_2{\cdot}L^{-1}{\cdot}h^{-1}$을 보이고 그 이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균체량에 대한 수소생산수율은 $0.76{\sim}2.46\;L-H_2{\cdot}g-DCW^{-1}$의 값을 보였으며, 첨가된 기질인 포도당에 의한 수소생산수율은 $2.6{\sim}3.1\;mol-H_2{\cdot}mol-glucose^{-1}$의 범위였다. 자당을 1~12 g/L의 범위에서 첨가할 경우 약 10시간의 지체기 후 원할한 생장을 보였다. 단위시간 및 단위 세포무게 당 비수소 생산속도는 및 수소 생산수율은 자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각각 $163\;mmol-H_2{\cdot}mg-DCW^{-1}{\cdot}h^{-1}$$4.5\;mol-H_2{\cdot}mol-glucose^{-1}$의 최대값을 보였다.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수소생산에 있어서 기질농도 및 수리학적 체류시간의 영향 (Influence of Substrate Concentration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on the Hydrogen Production Using Anaerobic Microflora)

  • 고인범;신항식;이용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911-916
    • /
    • 2006
  •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수소 생산에 있어서 기질 농도와 HRT의 영향에 대하여 3계열로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계열 I는 HRT가 8시간에서 기질농도를 3에서 27 g-glucose/L로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고, 계열 II는 HRT가 16시간, 계열 3은 HRT가 24시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소 생성 수율에 미치는 HRT와 기질 농도의 영향에 대하여 표면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최대 수소 생성 수율은 기질농도 15.4 g/L 및 HRT 9.6시간에서 2.05 mol $H_2/mol$ 글루코오스의 값을 구할 수 있었다. 2 mol $H_2/mol$ 글루코오스의 수소 생성 수율을 얻기 위한 기질농도 및 HRT는 각각 $13{\sim}17$ g/L 및 $5{\sim}14$시간임을 알 수 있었다. 글루코오스의 소모에 따라 유기산의 농도는 증가하였고, 주요 대사산물은 아세트산과 부틸산이었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수소저장용기 TYPE 1의 압력과 온도조건에 의한 거동특성 연구 (Behavior characteristics of hydrogen storage vessel(TYPE 1) under gas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using FEM)

  • 조승현;김영규;고영배;이일권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1-69
    • /
    • 2020
  • 본 논문은 압력과 온도조건에 따라 수소저장용기 TYPE 1에서 발생하는 거동특성을 FEM(Finite Element Method)으로 연구한 것이다. 용기의 구조안전성 평가를 위해 최고압력에서 발생한 VMS(Von Mises stress)을 소재의 YS(Yield Strength)를 비교하였고, 수명예측을 위한 기초데이터로써 PSED(Plastic Strain Energy Density) 결과를 분석하였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최고압력 40 Mpa 이상의 가스압에서 저장용기의 바닥면에 항복강도보다 높은 VMS가 발생하여 수소가스 저장용기의 안전성은 확보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온도조건에 의해 발생한 VMS의 결과는 대단히 낮아서 온도에 의한 거동은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VMS/YS이 1이하가 되는 최고압력은 약 30Mpa으로 계산되어 본 논문의 대상이 되는 수소저장용기는 30 Mpa이하의 가스충전압력으로 관리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주방용 오물분쇄기로 처리된 음식물류 폐기물의 혐기성 수소 발효 (Anaerobic Hydrogen Fermentation of Food Waste Treated by Food Waste Disposer)

  • 최재민;이채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468-474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mesophilic fermentative $H_2$ production from food waste which was treated by food waste disposer. It was found that $H_2$ yield and lag phase were affected by particle size of food waste. The $H_2$ yield decreased with increasing particle size while lag phase increased. The maximum $H_2$ yield was found $0.584{\pm}0.03$ mol $H_2$/mol hexose at particle size smaller than 0.30 mm. The $H_2$ production rate was also affected by chemical composition of food waste. The $H_2$ production rate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ing proteins to carbohydrates ratio(P/C ratio) where the maximum value was $0.031{\pm}0.006$ mol $H_2$/mol hexose h at 0.17.

Effect of Harvesting Frequency, Variety and Leaf Maturity on Nutrient Composition, Hydrogen Cyanide Content and Cassava Foliage Yield

  • Hue, Khuc Thi;Van, Do Thi Thanh;Ledin, Inger;Wredle, Ewa;Sporndly, Ev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2호
    • /
    • pp.1691-1700
    • /
    • 2012
  • The experiment studied the effect of harvesting frequencies and varieties on yield, chemical composition and hydrogen cyanide content in cassava foliage. Foliage from three cassava varieties, K94 (very bitter), K98-7 (medium bitter) and a local (sweet), were harvested in three different cutting cycles, at 3, 6 and 9 months; 6 and 9 months and 9 months after planting, in a 2-yr experiment carried out in Hanoi, Vietnam. Increasing the harvesting frequency increased dry matter (DM) and crude protein (CP) production in cassava foliage. The K94 variety produced higher foliage yields than the other two varieties. Dry matter, neutral detergent fibre (NDF), acid detergent fibre (ADF) and total tannin content increased with months to the first harvest, whereas CP content decreased. Hydrogen cyanide (HCN) content was lower at the first harvest than at later harvests for all cutting cycles. At subsequent harvests the content of total tannins tended to decline, while HCN content increased (p<0.05). Chemical composition differed somewhat across varieties except for total tannins and ash. Dry matter, NDF, ADF and total tannins were higher in fully matured leaves, while CP and HCN were lower in developing leaves.

미세조류를 이용한 중온 및 고온 혐기성 수소 발효 (Hydrogen Production from Microalgae in Anaerobic Mesophilic and Thermophilic Conditions)

  • 한선기;최재민;이채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37-34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dark fermentative $H_2$ production from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using batch reactors under mesophilic (25, $35^{\circ}C$) and thermophilic (45, $55^{\circ}C$) conditions. The $H_2$ yield and $H_2$ produc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maximum $H_2$ yield and $H_2$ production rate were 56.77 mL $H_2/g$ dcw, 3.33 mL $H_2/g\;dcw{\cdot}h$ at $55^{\circ}C$, respectively. The activation energy calculated using Arrhenius equation was 36.24 kcal/mol,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dark $H_2$ fermentation of glucose by anaerobic mixed culture.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butyrate was maintained, the concentrations of lactate and acet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H_2$ yield was linearly proportional to acetate/ butyrate ratio.

혐기성 처리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I) : 음식폐기물의 수소화 (Energy production from organic waste by anaerobic treatment (I) : Hydrogen production from food waste)

  • 한선기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1호
    • /
    • pp.102-108
    • /
    • 2011
  • 혐기성 회분식 반응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소발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소류는 파, 과일류는 사과, 곡류는 쌀밥 그리고 육류로는 돼지고기를 사용하였다. 파, 사과, 쌀밥 및 돼지고기의 최종 수소 수율은 각각 0.46, 0.47, 0.62 및 $0.05mol\;H_2/mol\;hexose$로 나타났다. 수소 발생율은 파, 사과, 쌀밥 및 돼지고기에서 각각 0.013, 0.021, 0.014 및 $0.005mol\;H_2/mol\;hexose/h$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돼지고기를 제외한 음식폐기물의 혐기성 수소 발효는 재생에너지 생산뿐만 아니라, 유기물의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성 지방산은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 발효시 산발효 효율은 쌀밥이 75.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돼지고기는 35.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