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chloric acid leaching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9초

폐기물 용출시험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eaching Test in Industrial Waste)

  • 어수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2-79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many problems of leaching test of industrial waste sludge analysis. We analyze sludges by variation of leachant, pH and leaching time.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leaching at pH 5.8 by our leaching test without control of pH during leaching, the leaching rates were very low as below 1%. 2. As leaching at pH 5.8 continuously by hydrochloric acid every 2 hour, the leaching rates were higher than before 1. 3. As leaching at pH 5.0 continuously by acetic acid every 2 hour, the leaching rates were higher than 1, 2. 4. The variations of leaching rate by leaching time were smaller increase after 10 hours than before. 5. It will be recommendable that the pH of leachant maintain constantly during leaching as level of acid rain, and the acetic acid is more effective than hydrochloric acid as leachant.

  • PDF

기계적 활성화처리한 블랙드로스의 염산 침출 (Hydrochloric Acid Leaching Behavior of Mechanically Activated Black Dross)

  • ;;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3호
    • /
    • pp.78-85
    • /
    • 2018
  • 블랙드로스에 함유된 알루미나를 회수하기 위해 볼밀처리가 염산침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볼밀처리 시간과 회전속도는 알루미나 침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최적의 볼밀처리(1시간, 700 rpm)에서 알루미나 침출은 침출시간과 온도에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의 실험조건에서 산화마그네슘은 모두 용해되었으며, 칼륨, 철, 실리콘과 타이타늄 산화물은 일부만 용해되었다. 알루미나는 80% 정도 침출되었지만 상기 산화물이 미량 용해되므로 순수한 알루미나용액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분리공정의 도입이 필요하다.

염산(鹽酸)에 의한 CMSX-4 초내열합금(超耐熱合金)의 침출(浸出) (Leaching of CMSX-4 Superalloy in Hydrochloric Acid Solutions)

  • 김민석;이재천;김은영;유영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5호
    • /
    • pp.25-30
    • /
    • 2010
  • CMSX-4 초내열합금의 순환활용을 위한 습식제련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영신에서의 니켈, 코벨트, 크롬, 알루미늄 등 주요 구성 금속성분들의 침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염산농도에 따른 합금시료 내 주요 금속성분들의 침출율은 염산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3 M 이상에서는 둔화되었다 염산농도 4 M, 고액비 10 g/L, 침출시간 60 분 조건에서 침출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침출율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90^{\circ}C$에서 니켈 93.2%, 알루미늄 89.9%, 코발트 80.4%, 크롬 79.1%의 침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침출 초기에는 니켈과 알루미늄의 침출속도가 빠르고 60 분 이후 급격히 둔화되는 형태를 보인 반면 코발트와 크롬은 침출이 느리고 60 분 이후의 감소율만 상대적으로 적었다. 120 분 경과 시 주요 금속원소들의 침출율은 모두 99% 수준에 도달하였다. 고액비가 높아지면 침출율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니켈과 알루미늄이 코발트와 크롬에 비하여 침출율 감소가 적었다. 염산농도 4 M, 침출온도 $90^{\circ}C$, 침출시간 120 분의 조건에서 고액비 125 g/L 이하의 조건이 주요 금속 성분의 침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CMSX-4 합금의 금속학적 조직구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Hot digestion법(去)에 의(依)한 모나자이트정광(精鑛)의 알카리분해(分解) 및 염산침출(鹽酸浸出) 거동(擧動) (NaOH Decomposition and Hydrochloric Acid Leaching of Monazite by Hot Digestion Method)

  • 김성돈;이진영;김철주;윤호성;김준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6호
    • /
    • pp.70-7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산염계 모나자이트정광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의한 분해와 영산 침출공정을 이용하여 최적의 희토류 침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모나자이트정광의 hot digestion 분해 및 염산침출 실험용 수행결과 알카리 분해는 NaOH/TREO 몰비 15, 분해반응온도 $140^{\circ}C$, 분해반응시간 2시간 이상의 조건에서 분해율 90% 이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알카리 분해 산물의 염산침출 반응 최적조건은 염산농도 6N, 침출반응 온도 $70^{\circ}C$, 침출반응시간 2시간 및 광액농도 15% 내외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이 때 회토류 침출율은 90% 이상 이었다.

산과 알카리에 의한 슬러지 소각재의 인 침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leaching from sewage sludge ash by acid and alkali)

  • ;이민수;김동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1-577
    • /
    • 2016
  • Phosphorus is an essential and irreplaceable element for all living organisms and its resource is limited. Significant amount of used phosphorus is collected in sewage treatment plant as sludge. Sludge ash after incineration contains about 10% of phosphorus in dry mass basis, which is comparable to phosphate rocks, and it is an important source of phosphorus recovery. Acid and alkali were used to leach phosphorus from sludge ash and compared for their leaching kinetics and performance. Phosphorus leaching by NaOH was fast and 0.2 N and 2 N NaOH leached 49% and 56% of the total phosphorus in the sludge ash at the L/S ratio of 100. Phosphorus leaching by sulphuric acid and hydrochloric were very fast and most of the phosphorus was leached in 5 minutes. In case of sulphuric acid 95% of the total phosphorus in the sludge ash was leached by 0.2 N at the L/S ratio of 100 and 93% was leached by 1 N at the L/S ratio of 10. 1 N hydrochloric acid leached 99% of the total phosphorus at the L/S ratio of 10. The results showed acids were more effective than alkali for phosphorus leaching from sludge ash and hydrochloric acid leached more phosphorus than sulphuric acid.

동전련 부산물인 함비소 동슬라임으로부터 염산에 의한 비소의 침출 (Hydrochloric Acid Leaching of Arsenic from Arsenic-Bearing Copper Slime.)

  • 유용주;황필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권1호
    • /
    • pp.51-57
    • /
    • 1992
  • 동전해 과정중 비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함비소 동슬라임으로부터 비소의 희수와 고순도 비소의 제조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함비소 슬라임의 염산침출실험을 행하였다. 함비소 슬라임은 Cu와 As의 금속간화합물인 $\beta-Cu_3As$가 주이며, 그밖에 미량의 $CU_2O$dhkCusAs가 혼재되어 있었다. 함비소 슬라임의 최적 염산침출조건은 슬라임입도 -140 mesh, 반응온도 $60^{\circ}C$ 염산과 슬라임의 비 3:1, 산소유량 1.25l/min, 침출반응시간 150분이었으며, 위의 침출실험조건에서 비소의 최대 침출들은 98%이었다.

  • PDF

NaClO3를 함유한 염산용액으로 몰리브데나이트광의 침출 (Leaching of Molybdenite by Hydrochloric Acid Solution Containing Sodium Chlorate)

  • ;;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5호
    • /
    • pp.26-33
    • /
    • 2022
  • 몰리브덴은 소재로 널리 사용되므로 광석 또는 2차자원으로부터 회수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몰리브데나이트광으로부터 산화제로 NaClO3를 함유한 염산용액에 의한 몰리브데나이트광의 침출에 대해 조사했다. 염산 및 NaClO3의 농도, 반응 온도 및 시간과 광액밀도가 광석의 침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산화력이 센 강산용액에서 황화광은 황산이온으로 산화되면서 용해되어 칼슘이온과 gypsum을 형성하여 몰리브덴(VI)의 침출률을 감소시켰다. 최적조건(2.0 M HCl, 0.5 M NaClO3, 광액밀도 5 g/L, 90, 60분)에서 몰리브덴, 철, 칼슘 및 실리케이트의 침출률은 각각 90, 38, 29 및 67%이었다.

폐형광등 재활용 공정의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Recycling Process of Waste Fluorescent Lamps)

  • 이기헌;이동훈;송영준;김창권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3호
    • /
    • pp.61-7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폐형광등 처리 공정의 경제성 확보를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폐형광등 유리의 글래스비드용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 폐형광체 분말로부터 희토류의 침출, 희토류 침출액으로부터 희토류의 용매추출 가능성 등을 검토하였다. 폐형광체는 산화이트륨 28.9%, 산화세륨이 3.46%, 산화유로퓸 1.95%, 산화터븀 1.76%, 산화란탄 1.43% 순으로 함유되어 있어 회수 및 정제 시 경제성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폐형광등 유리를 사용하여 글래스비드를 시험 생산 한 결과 그 생산수율과 품질이 우수하여 폐형광등 유리를 글래스비드용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다배소한 폐형광체를 수침출하면 알루미늄과 규소성분 및 잔류 탄산나트륨 등이 용해하며, 이 수용액에 탄산가스를 불어 넣어 pH를 7 정도로 떨어뜨리면 NaAl2(CO3)(OH)2와 SiO2 등이 침전하였다. 자이렌을 희석제로 사용하는 cyanex272-hydrochloric acid, cyanex272-sulfuric acid, D2EHPA-hydrochloric acid, D2EHPA-sulfuric acid, lonquest290-hydrochloric acid, lonquest290-sulfuric acid, p507-hydrochloric acid 조합의 용매추출에서 Y, Eu, Ce, La, Tb의 추출률이 100%에 가깝다. 그러나 동일 조건에서의 원소별 추출률의 차이, 즉 선택성은 16% 이하이다.

고령토 침출용액으로부터 고순도 염화알루미늄 결정화 분리 (Crystallization and high purification of aluminium chloride hexahydrate from kaolin leaching solution)

  • 김우식;장희동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84-59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고령토 침출용액으로부터 고순도의 염화알루미늄 결정을 분리하고자 침출용액의 용존 염화알루미늄의 농도, 결정화 온도 및 염소가스 주입속도 등의 결정화 조건이 염화알루미늄 결정의 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정의 순도는 침출용액의 염화 알루미늄의 과포화 농도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결정화의 조건에 따라 염화알루미늄의 과포화 농도가 낮게 형성되면 철이온의 함유가 낮은 고순도의 염화알루미늄 결정이 생성되었다. 침출용액 내의 과포화 농도 수준은 용액 내의 용존 염화알루미늄의 농도, 염산 농도, 결정화 온도 등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정화 조건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염화알루미늄의 결정 모양은 침상형으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고령토 침출용액의 염산농도 측정을 위하여 Shank [9]가 제시한 Oxalate 적정법을 적용하였으며 고령토 침출용액과 같은 다성분 이온 용액에서도 정확한 염산 농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연료전지용(燃料電池用) 막전극접합체(膜電極接合體)의 막분리(膜分離) 및 염산(鹽酸)에 의한 백금(白金)과 루테늄의 침출(浸出)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Membrane and Leaching of Platinum and Ruthenium by Hydrochloric Acid from MEA of Fuel Cell)

  • 이진아;강홍윤;유호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3호
    • /
    • pp.15-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 막전극접합체에서 막분리 및 염산침출법을 이용하여 백금과 루테늄을 침출하는 연구를 하였다. 증류수, 10 vol.% 부탄올 용액, 15 vol.% 양이온 계면활성제(Koremul-LN-7)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막전극접합체의 전해질막과 확산층을 침지법으로 촉매입자의 분산 없이 분리하였다. 그리고 질산 또는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하고 사용하는 염산에 의해 분리된 가스확산층의 촉매에 함유된 백금과 루테늄 금속을 침출하는 연구를 하였다.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사용하였을 때 백금과 루테늄의 침출율이 더 높았으며 최적 조건은 $90^{\circ}C$에서 염산 농도 8 M, 과산화수소 첨가량 5 M, 침출시간 6시간이었다. 이 조건에서 백금의 침출률은 98%, 루테늄의 침출율은 71.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