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 triploid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초

Changing Salinity Affects Hematological and Histological Response in Hybrids and Hybrid Triploids between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and Tiger Puffer, T. rubripes

  • Park, In-Seok;Gil, Hyun Woo;Oh, Ji Su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3호
    • /
    • pp.239-253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the tiger puffer, T. rubripes, a hybrids of the two (river puffer${\times}$tiger puffer) and a hybrid triploids to acute changes of salinity from 30 psu to 0 psu and from 0 psu to 30 psu. The blood and plasma factors of each species were elevated for 48, 72, or 96 hrs, and thereafter decreased due to hyper-osmoregulation and hypo-osmoregulation. In hyper-osmoregulation and hypo-osmoregulation, the cortisol concentration of river puffer, hybrids, hybrid triploids and tiger puffer increased for 12 or 48 hrs, and decreased thereafter. Chloride cells in the gill filaments of each spec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inity, and melano-macrophages in the kidney tissue of each species increased with decreasing salinity. In conclusion, the hematological and stress responses of the hybrids were between those of the river puffer and tiger puffer, and the hematological responses of the hybrid triploid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stress response of the hybrids was more sensitive than that of the hybrid triploids. In all groups, the histological responses of kidney in hyper-osmoregulation were more sensitive than those in hypo-osmoregulati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Hybrid between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and Tiger Puffer, T. rubripes, and Their Hybrid Triploid

  • Park, In-Seok;Lim, Sung Young;Lee, Tae Ho;Gil, Hyun Woo;Yoo, Gwang Yeol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2호
    • /
    • pp.181-191
    • /
    • 2017
  • A comparison of the growth, hematological values, fatty acids, and gonadal and growth hormonal changes of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tiger puffer, T. rubripes, their hybrids (river puffer ${\times}$ tiger puffer) and hybrid triploids was performed during 3 months of their early growth period. Several features were observed during these 3 months: hybrid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specific growth rate, 1.48%; hybrid triploids showed the smallest change in viscera fat (P<0.05), but GS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P>0.05). Considering hematological parameters, hybrid triploids had increased mean corpuscular volume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P<0.05), but other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5). With respect to fatty acids, puffer fish, hybrids and hybrid triploids contained fatty acids such as SFAs, MUFAs, n-3 PUFAs and n-6 PUFA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unts of total fatty acids between groups (P<0.05), however, rates of changes in fatty acid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P>0.05). Gonadal hormone (estradiol and testosterone) changes in the river puffer and tiger puff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hybrids and hybrid triploids. The hybrids and tiger puffers had higher amounts of growth hormone (thyroid stimulating hormone and thyroxine) than the hybrid triploids and river puffers (P<0.05).

사육 수온이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와 교잡종(P. stellatus♀×Kareius bicoloratus♂) 3배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Growth i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nd Hybrid Triploid (P. stellatus♀×Kareius bicoloratus♂))

  • 박중열;이효빈;윤지혜;조윤수;이일영;임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03-909
    • /
    • 2022
  • Triploid fish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fish farmers owing to of their larger cell size compared to that of diploid fish and their ability to utilize the energy required for sexual maturation for growth instead. However, the effect of increased growth in triploid fish has shown varying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growth between diploid and triploid starry flounders and diploid and triploid hybrid juveniles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 based on breeding water temperatu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reased growth in triploid fishe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categorizing the water temperature as high temperature (EXP. 1, 14.5-23.5℃) and low temperature (EXP. 2, 6.4-13.3℃) based on the optimal water temperature for starry flounder breeding. In EXP. 1, the growth of starry flounder triploids and hybrid triploid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iploids. However, in EXP. 2 th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of the starry flounder triploid were higher, and the growth of starry flound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ybrids.

자발적 생식세포 염색체 배수화 기작에 의한 Oriental-Asiatic hybrid(OA) F1 종간잡종의 임성회복과 후대검정 (Fertility Restoration of F1 OA Interspecific Hybrid by Spontaneous Meiotic Polyploidization and Analysis of Their Progenies)

  • 정미영;정재동;;임기병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3-219
    • /
    • 2009
  • 본 연구는 나리의 종간잡종 육성체계를 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OA hybrid 중 자발적으로 생식세포 염색체가 배수화된 계통을 이용하여 후대 획득과 후대검정에 필요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OA hybrid의 경우 화분의 채취시기에 따른 생존율과 발아율은 10월에 비해 6월이, 생존율은 n성 화분이, 발아율은 2n성 화분이 높았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2배체 OA hybrid와 2배체 또는 4배체 Asiatic 또는 Oriental hybrid간 교배시 모본과 부본을 달리함에 따라 후대 획득 수에 차이가 있었는데 OA hybrid를 부본으로 이용했을 때, 상대친을 Asiatic hybrid로 교배했을 때 후대획득이 용이하였다. 즉 A$\times$OA교배에서 후대 획득률이 0.64개체로 O$\times$OA교배에서의 후대 획득률 0.42개체보다 높았으며, OA$\times$A간 교배에서 후대 획득률이 0.40개체인 반면 OA$\times$O교배에서는 전혀 후대획득이 불가능하거나 극히 낮아 후대획득이 어려웠으며, 아울러 2n 화분을 생산하는 OA hybrid의 후대생산을 위한 상대친으로 4배체보다는 2배체가 효과적이었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OA hybrid와 Asiatic 또는 Oriental hybrid간 정역교배 결과, OA hybrid를 부본으로 교배했을 때, 상대친으로 Asiatic hybrid을 교배했을 때 후대획득이 용이하였다. 자발적인 2n 화분을 생산하는 2배체 OA hybrid의 여교잡 후대의 ploidy level의 측정결과, OA$\times$A교배에서는 3배체, AA$\times$OA, OO$\times$OA교배에서는 4배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O$\times$OA교배에서는 2배체, A$\times$OA교배에서는 2배체 또는 3배체로 확인되었다.

백합 Oriental-Asiatic 종간잡종의 임성 회복을 위한 카페인과 변온처리 (Overcoming sterility by Caffeine and Temperature in Oriental-Asiatic Interspecific Lily Hybrid)

  • 박송경;박인숙;김창길;지선옥;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79-284
    • /
    • 2009
  • 불임인 종간잡종 OA-1 $F_1$ hybrid(Oriental hybrid 'Mero Star' ${\times}$ Asiatic hybrid 'Connecticut King')의 임성을 회복하기 위해 카페인을 0.1, 0.3, 0.5%의 농도로 화뢰 내부에 직접 주입하였고 카페인 처리 후 OA-1 $F_1$ hybrid의 임성을 개화시 확인하였다. 임성을 회복한 $F_1$에 Asiatic hybrid 'Lanzarote'의 화분을 수분시켜 그 후대를 얻었다. 그 결과 0.3% caffeine 처리구는 16개의 자방 중 7개의 배를 치상하여 5개의 식물체를 획득할 수 있었다. 0.5% 처리구에서는 1개의 식물체만 얻었고 0.1% 처리구에서는 식물체를 얻을 수 없어 적정 카페인 처리 농도는 0.3%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2n gametes로 예상되는 화분이 51%나 생성되었다. 교잡종 OA-2 ('Romero Star' ${\times}$ 'Lady Rosa')와 OA-3('Expression' ${\times}$ 'Lady Rosa')에 온도 단독 또는 caffeine과 온도를 병행하여 재식 후 8주-13주 동안 $13^{\circ}C$$28^{\circ}C$로 변온처리하여 발아율을 측정한 결과, 온도만 처리한 경우나 온도와 caffeine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적정 caffeine(0.3%)을 처리한 OA-1에 Asiatic hybrid 'Lanzarote'와 Oriental hybrid 'Sorbonne'을 각각 주두수분법으로 정역교배한 결과, A('Lanzarote') ${\times}$ OA-1 또는 OA-1 ${\times}$ A간 교배조합은 O('Sorbonne') ${\times}$ OA-1 또는 OA-1 ${\times}$ O 교배조합보다 식물체 획득률이 양호하였다. A ${\times}$ OA-1 또는 OA-1 ${\times}$ A로부터 획득된 후대는 GISH 분석에 의해 모두 3배체로 확인되었다.

국내 육성 FA종간잡종 나리 3품종의 생육특성 및 세포유전학적 분석 (Growth Characterization and Cytogenetic Analysis of Three FA Interspecific Hybrid Lilies Bred from Korea)

  • 황윤정;;김원희;임기병;강윤임
    • 화훼연구
    • /
    • 제26권4호
    • /
    • pp.195-201
    • /
    • 2018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된 formolongi-Asiatic (FA)종간잡종 나리 'Bonanza', 'Coral Candy', 'Purple Crystal'의 특성검정 및 FISH 분석을 통한 염색체 검경을 수행하였다. 'Bonanza', 'Coral Candy', 'Purple Crystal'의 개화시기는 6월 중하순, 중순, 상순으로 각각 중만생종, 중생종, 조생종에 해당한다. 개화방향은 3품종 모두 상향이며 약간의 향기를 가지고 있다. 절화장은 101.0cm('Purple Crystal')에서부터 142.3cm('Bonanza')로 초장 신장성이 우수하여 절화로서의 개발이 가능하다. 화폭은 'Bonanza'와 'Coral Candy'가 17,1cm, 16.9cm로 관찰되어 대형화로 분류되며 'Purple Crystal'은 12.3cm으로 좁으나 화폭이 4cm 이상으로 화폭이 안정적이다. 잎의 길이는 'Bonanza'는 15.7cm, 'Coral Candy'는 19.7cm, 'Purple Crystal'은 11.1cm로 관찰되었다. 염색체 분석 결과, 3품종 모두 3배체(2n=3x=36)로 관찰되었다. FISH 분석 결과, 'Bonanza', 'Coral Candy', 'Purple Crystal'의 5S/45S rDNA가 각각 4/11 loci, 4/12 loci, 4/11 loci로 관찰되었다. 3번 염색체를 제외하고 나머지 염색체에서 관찰되는 rDNA의 패턴이 달라 FISH 분석에 대한 결과는 품종을 구별하는 마커로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단배성 제주 재래귤 및 만다린잡종에서 자연 발생적인 배수체의 발생 빈도 (Frequency of Spontaneous Polyploids in Monoembryonic Jeju Native Citrus Species and Some Mandarin Cultivars)

  • 채치원;윤수현;박재호;김민주;고상욱;송관정;이동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71-879
    • /
    • 2012
  • 배수체는 무핵 감귤 육종 프로그램 있어서 잠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유전자원이다. 무핵성은 만다린 품종이 갖추어야 할 가장 유망한 형질 중 하나이고 3배체는 영구적으로 무핵이다. 새로운 3배체 잡종은 이종속간 배수체의 교배 또는 저빈도의 2배성 배우체 형성과 합성 같은 행동에 기인된 2배체 이종간 교배로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소립의 $F_1$ 합성 종자로 발달된 이 같은 형태에 기초한 육종은 효과적인 무균적 배 적출 및 배양법 없이는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무균의 배배양을 이용하여 단배의 2배체 제주 재래귤과 만다린잡종에서 방임 수분되어 자연적으로 발생한 소립종자로부터 유묘를 얻었고 배수 검정기를 이용하여 배수 정도를 검정하여 다양한 수준의 배수체를 획득하였다. 총 792 과실을 이용하여 10,289 개의 획득된 종자를 분석하여 과실당 평균 13개의 종자가 함유됨을 알 수 있었다. 정상종자와 유사한 형태로 발달된 소립종자의 과실 내 평균 함유율은 7.1%였다. 과실당 소립종자의 평균 출현 빈도는 '클레멘타인', '하레히메', '감자', '편귤', '사두감' 그리고 '윌킹' 순으로 각각 8.9, 10.2, 2.6, 3.1, 2.8, 그리고 7.0%였다. 종자 크기가 조사된 '클레멘타인' 품종 내 정상 종자의 평균 크기는 $49.52{\pm}0.07mm^2$ 였고 반면에 소립종자는 $7.95{\pm}0.04mm^2$로 전자보다 1/6배 더 작았다. 이러한 분류 기준으로 총 731개의 소립종자를 획득하였다. 이들 소립종자 중 일부는 무균의 배 배양이 수행되었고 기내 발아되어 회복된 모든 개체들은 단 하나의 배가 확인되었고 건전하게 발육하였다. 3배체 발생 빈도 비교에 있어서, '클레멘타인'은 '윌킹'과 제주 재래귤인 '편귤' 품종에 비해 각각 14배와 109배 높게 나타난 바 전자는 3배체 발생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자연 발생적인 배수체에 관한 기초 정보는 무핵 감귤 개발을 위해 3배체 고정종 합성에 활용될 수 있으며 그 효율 증진에도 기여할 것이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