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ulus lupulus L.(hop)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에서의 호프(Humulus lupulus L.) 재배 및 보급을 위한 기초적 연구 (Basic Studies on the Cultivation and Expansion of Hop (Humulus lupulus L.) in Korea)

  • 임웅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8권2호
    • /
    • pp.59-85
    • /
    • 1975
  • With a view to obtaining basic informations on the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aspects of hop in Korea, this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4 locations (Suwon, Hongchun, Pyungchang and Hoengsung) from 1972 to 1974. The varieties used in this experiments were Hallertau, Saaz, Shinshuwase and Cascad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PDF

Neuropharmacological Activity of Humulus lupulus Extracts

  • Lee, Kang-Mee;Jung, Jun-Sub;Song, Dong-Keun;Kim, Yung-Hi
    • 생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1-234
    • /
    • 1993
  • Neuropharmacological profile of Humulus lupulus (hop) extract was studied in mice. At doses above 100 mg/kg(i.p.), it decreased spontaneous locomotor activity and raised the nociceptive threshold in the hot-plate test. At doses above 250 mg/kg (i.p.), it increased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time and produced muscle relaxant effect. At the dose of 500 mg/kg, anticonvulsive effect against pentylenetetrazole-induced convulsion and hypothermic effect was observed.

  • PDF

홉의 주요 Phloroglucinol 및 Prenylated Flavonoid의 생물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Phloroglucinols and Prenylated Flavonoids from Humuli Strobilus)

  • 김현정;윤구;조영창;이익수;강복윤
    • 생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9-202
    • /
    • 2018
  • Hop cones (Humuli Strobili) are the female inflorescences of hop plants (Humulus lupulus L.) belonging to the family Cannabaceae. They have been used as herbal remedies to treat mood and sleep disturbances, and mainly to add as a bittering ingredient in brewing process. Considerable interests on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hop cones have been focused on their major constituents, namely, phloroglucinols (humulone, lupulone), terpenes (myrcene, humulene), and prenylated flavonoids (xanthohumol, isoxanthohumol, 6-prenylnaringenin, and 8-prenylnaringenin). The present review describes and discusses biological activity profiles of these major compounds in the hop cones.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12 (MMP-12) and Anti-oxidant Effect of Xanthohumol from Hop (Humulus lupulus L.)

  • Lee, Keyong Ho;Yoon, Won H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261-265
    • /
    • 2012
  • Xanthohumol was isolated from hops (Humulus lupulus L.), and then investigated anti-oxidant effect by AAPH-induced LLC-PK1 cell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CA) assays and MMP-12 inhibitory effect by direct MMP-12 inhibition assay. The treatment of xanthohumol protected LLC-PK1 cells from AAPH-induced cell damage such as cell viability, SOD and GSH-px reduction in a dose dependant manner (0.1, 1, and $5{\mu}M$), the SOD value was 2.98, 4.51, and 5.77 U/mg protein, and GSH-px value was 30.12, 49.32, and 60.11 U/mg protein. ORAC value of xanthohumol was showed as 4320, 12004, and $14209{\mu}M$ TE/g at the concentration 0.1, 1, and $5{\mu}M$, respectively. The change of SOD and GSH-px valu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ORAC assay, that is, AAPH-induced cell and ORCA assays. In addition, inhibition of MMP-12 that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kin aging was 14%, 37%, 46%, and 79% at the concentration of 0.01, 0.1, 1, and $5{\mu}M$,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xanthohumol from hops (Humulus lupulus L.) showed interesting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such as anti-oxidant effect and anti-aging.

홉(Humulus lupulus L.) 도입 품종의 생육특성 및 영양번식 연구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Method of Introduced Hop (Humulus lupulus L.) Cultivars)

  • 하태현;유재일;이준형;류재혁;박상훈;강시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1-190
    • /
    • 2023
  • 국내 홉 생산은 외국산 수입으로 1990년대 초반 이후 중단된 상태이나, 최근 수제맥주 붐의 영향으로 국내 생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홉 생산 및 육종을 위한 기반연구로 외국산 도입 홉 6개 품종을 대상으로 생육특성 및 증식기술 개발중심으로 수행하였다. 2021년과 2022년 진행한 홉 생육조사에서 재식 후 4년차보다 5년차에서 일반적으로 홉의 착화고, 착화수, 구화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홉 삽목 실험의 결과, 일반적으로 발근제 '아토닉' 처리를 하지 않은 물꽂이에서도 전체 평균 발근율이 88%로 높았지만 아토닉을 침지하거나 희석하여 관주할 경우 발근율이 93%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아토닉 처리 방법에 따른 발근력과 발근율에는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발근 삽목묘를 상토 이식 후 생존율을 확인 하였을 때, 조직배양실에서 삽목한 것이 온실에서 삽목한 것에 비해 상당히 생존율이 떨어졌다. 따라서 홉 삽목시에는 물꽂이 만으로도 높은 삽목 성공률을 얻을 수 있으며, 상토 이식 후 식물체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기술 개발이 홉 대량증식에서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직배양 기술을 통해 홉을 증식할 땐 IAA 0.1 ㎎/L에 BAP 1 ㎎/L 보다 TDZ 1 ㎎/L를 첨가하여 배양하는 것이 다경유도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삽목 및 조직배양 증식과 순화 기술을 정립하면, 국내 홉 건전묘 생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NOVEL LEAD STRUCTURES AND MECHANISMS FOR CANCER CHEMOPREVENTION

  • Gerhauser, C.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etary and Medicinal Antimutgens and Anticarcinogens
    • /
    • pp.35-36
    • /
    • 2001
  • Nutrition influences cancer incidence and offers a variety of preventive dietary factors including non-nutritive plant metabolites. To identify novel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s, we have set up cell- and enzyme-based in vitro marker systems relevant for prevention of carcinogenesis in vivo. This experimental approa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Xanthohumol (Xn), a prenylated chalcone from hop (Humulus lupulus L.) as a most promising broad-spectrum chemopreventive agent.(omitted)

  • PDF

기상요소에 따른 호프 (Humulus lupulus L.)의 수량 및 $\alpha$-Acid 함량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I. 생구화 수량 예측모형 (Modeling for Predicting Yield and $\alpha$-Acid Content in Hop (Humulus lupulus L.) from Meteorological Elements I. A Model for Predicting Fresh Cone Yield)

  • 박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5-221
    • /
    • 1988
  • 본 연구는 호프 주산지인 강원도 횡성에서 기상요소의 변화에 따른 수량 예측 모형식을 작성하고, 수량에 관여하는 주요 기상요소와 호프 생리적 작용관계를 구명하고자 1978년부터 1986년까지 9개년간의 년도별 호프 각 생육단계의 기상요소와 4년생 이상 호프의 년평균 수량을 농촌진흥청 VAX 11/785 전산기 AGRISP에 입력 분석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량 예측을 위하여 선택된 기상요소는 초기생장기(4월 21일~5월 20일)의 최저기온과 평균기온, 화아분화기(5월 21일~6월 20일)의 최고기온, 개화기(6월 11일~7월 10일)의 최고기온, 구화형성기(7월 1일~7월 31일)의 일조시수, 구솨 성숙기(7월 21일~8월 20일)의 강수량이었다. 2. 초기 생장기의 최고기온( $X_3$)과 개화기의 최고기온( $X_4$)은 수량 감소에 영향을 주었고, 초기 생장기의 평균기온( $X_{5}$ )과 구화형성기의 일조시수( $X_{6}$)는 수량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3. 수량예측의 중선형 회귀모형식은 Y=6042.846-17.665 $X_1$-0.919 $X_2$-96.538 $X_3$-138.105 $X_4$+86.910 $X_{5}$$X_{6}$로 MS $E_{p}$=25.258, $R_{p}$$^{2}$=0.9991, $R_{ap}$ $^{2}$ =0.9962, $C_{p}$=7.00이었다.00이었다.

  • PDF

기상 요소에 따른 호프(Humulus lupulus L.)이 수량 및 $\alpha$-Acd 함량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II $\alpha$-Acid 함량 예측 모형 (Modeling for Predicting Yield and $\alpha$-Acid Content in Hop (Humulus lupulus L.) from Meteorological Elements II. A Model for Predicting $\alpha$-Acid Content)

  • 박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3-328
    • /
    • 1988
  • 본 연구는 호프 주산지인 강원도 횡성에서 호프 발육기 동안의 기상요소 변화에 따른 $\alpha$-acid 함량 예측모형을 작성하고, $\alpha$-acid 생성에 관여하는 기상요소를 구명하고자 1978년부터 1986년까지 9개년 간의 연평균 $\alpha$-acid 함량과 발육단계별 기상요소를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pha$-acid 함량 예측을 위하여 선택된 기상요소는 화아분화기(5월 21일~6월 20일)의 최고기온, 개화기(6월 11일~7월 10일)의 최고기온, 일조시수 그리고 강수량, 구화형성기(7월 21일~8월 20일) 최고기온이었다. 2. 개화기의 일조시수(X$_1$), 개화기의 최고기온(X$_3$), 개화분화기의 최고기온(X$_4$), 개화기의 강수량(X$_{5}$), 그리고 구화성숙기의 최고기온(X$_{6}$)의 $\alpha$-acid 함량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3. $\alpha$-acid 함량 예측의 중선형 회귀모형은 Y=28.369-0.003 X$_1$+1.508 X$_2$-1.953X$_3$-0.335X$_4$-0.003X$_{5}$-0.119X$_{6}$로 MSEp=0.004, Rp$^2$=0.9987, Rap$^2$=0.9949, Cp=7.00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