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or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35초

컴퓨터를 활용한 유머 이미지 패션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mputers to the Development of Humor Image Fashion Design)

  • 우세희;최현숙
    • 복식
    • /
    • 제53권5호
    • /
    • pp.65-77
    • /
    • 2003
  • Due to the rapid changes occurring in many aspects of contemporary society, the need for a means to actively combat widespread feelings of emptiness and alienation among the public, while satisfying its visual pleasure, is increasing. Thus the need for humorous elements which bring freedom to the human psyche is urgently requested. Of course, the field of fashion cannot be left out in this trend, and humor image design is a good example of this. Humor image in fashion endeavors to release the tension accumulated in the modern world, while trying to find a way to recover the original pureness of mankind. Another aspect currently important is computers. The creation of images in modern visual art relies a lot upon computers. Traditional visual processes such as painting, photography and video are now merged within digital technology. and are now quite symbiotic to each other.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came computer art. which uses all applicable functions of a computer to create art. Any artistic action which uses a computer in any stage of its creation can be called computer art. The common factor in humor and computer art in modern fashion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 repetition, deformation and distortion. exaggeration and abridgement. juxtaposition. and Tromp l'oeil. This study has placed its objective on the fusion of humor image fashion and computer art, by manufacturing a work with humor and computers, two important aspects of modern culture. Expanding the field of fashion design while promoting creativity In fashion by finding a verging point between art and science is also necessary. I have designed and made five costumes using the above cited techniques in computer humor images, on a theoretical basis.

유머 요소를 적용한 휴대용 게임의 스토리텔링 양상 연구 -닌텐도 DS Lite 타이틀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rtable Game's Storytelling based on humor)

  • 정다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272-1278
    • /
    • 2009
  • 본 연구는 휴대용 게임기인 닌텐도 DS Lite의 타이틀 중 유머 요소를 지닌 게임 타이틀에서 사용자들이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게임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유머 요소가 더욱 빈번하게 발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고에서 제시한 유머 요소 평가표를 기준으로 게임 타이틀을 분석하였을 때,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머의 요소는 과장임을 알 수 있었다. 스토리를 과장하거나 캐릭터의 외모나 성격, 또는 행동을 과장함으로써 유머를 만들어내는 것은 '과장'은 복잡한 인지적 처리과정 없이도 사용자가 빠르게 유머를 이해할 수 있는 장치이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휴대용 게임기는 다양한 연령층과 다양한 상황에 어필하기 위한 전략으로, 언제 어디서나 간편히 몰입할 수 있는 단순한 조작과 쉬운 스토리텔링 구조를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게임기의 스토리텔링에 적절한 유머 요소를 도입하여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의 몰입을 한층 심화하는 데 도움이 되어, 퍼즐이나 스포츠, 액션 게임 등의 단순한 형식의 게임 위주의 플레이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게임을 즐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PDF

리더의 유머감각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Humor Sense of Leader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owerment)

  • 정현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2호
    • /
    • pp.89-114
    • /
    • 2012
  • 조직구조의 수평화 경향으로 기업들이 팀제 운영을 확대하고 있다. 팀에서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볼 때 구성원들의 팀장에 대한 감성경험은 중요하며 부하의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동안 신뢰형성에 합리적인 측면이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반면, 감성적 관점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팀장의 감성지능이 부하의 정서적 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프로세스에서 상사신뢰를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팀장의 감성지능은 부하의 정서적 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팀장의 감성지능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 모두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팀장의 감성지능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조직에 대한 부하의 심리적 몰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리더에 대한 신뢰가 반드시 필요한 반면, 부하의 조직시민행동은 신뢰라는 메커니즘을 반드시 거치지 않아도 유발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팀장에 대한 정서적 신뢰뿐 아니라 인지적 신뢰에 리더의 감성관리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선행연구에서 그동안 미흡했던 신뢰형성의 감성적 측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팀장 감성지능과 부하의 정서적 몰입 및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서 신뢰(인지기반신뢰, 정서기반신뢰)의 메커니즘 검증에 의의가 있다. 둘째, 방법론적인 의의로 팀장자신의 감성지능을 직접 측정한 점과 부하의 조직시민행동을 팀장이 평가하는 설문응답방식을 시도하여 동일응답자 편의의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연구노력을 하였다는 점이다.

  • PDF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이 만든 과학 유머의 유형 및 과학 유머 만들기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ypes of Scientific Humors Made by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Making Scientific Humor)

  • 이지윤;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3호
    • /
    • pp.267-284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scientific humors made by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making scientific humor. For this, 77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rs of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Scientific humors made by the stu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ypes. Their perceptions of making scientific humor were also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group 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made more than 2 scientific humors, and the number of scientific humor for each students varied from 0 to 11. The most types they made were the descriptive type and the pun using pronunciation type, but they made various types without any special type to be biased. And They made more the dialogue type than the narrative type, especially the riddle type. They used scientific knowledge that preceded the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in their grade level over two or more years. The scientific knowledge of chemistry was used more than physics, biology, earth science and combination field. The name utilization type was more than the characteristic utilization type and the principle utilization type. Scientific humors in the everyday situation were more than humors in artificial situation. The students had various positive perceptions in making scientific humor such as increase of scientific knowledge, increase of various thinking abilities, deep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 and principle, increase of interest and motivation about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and increase on sense of humor. They had also some negative perceptions related to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making scientific humor, lack of fun, and lack of time in the class.

유머텍스트 처리에서 스키마의 활성화 과정 (The Course of Schema Activation in Processing of Humor Text)

  • 최영건;신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425-435
    • /
    • 2015
  • 유머를 유발하는 핵심요인이 불합치라는 것에서는 많은 연구자들의 견해가 일치하지만, 불합치를 유발하는 상이한 스키마들의 활성화에서는 다른 견해를 보인다. 스키마의 활성화와 관련된 견해들 중에서 대비되는 두 견해에는 동시 활성화 견해(concurrent activation view)와 선택적 활성화 견해(selective activation view)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머텍스트 처리에서 상이한 두 스키마들이 어떻게 활성화 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대비되는 두 견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유머 텍스트를 기저-도입-불합치-해소의 4단계로 구분하여 시행하였고, 불합치는 존재하되 해소부분을 조작한 대조텍스트를 사용하였다. 실험에서는 문맥에 부합하는 스키마를 S1, 부합하지 않고 유머의 참 뜻을 나타내는 스키마를 S2라 명명하였다. 실험결과 불합치 단계에서 활성화된 스키마들이 해소 단계에서도 여전히 활성화되고, 불합치 단계에서의 S1, S2 모두 해소단계의 S1, S2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불합치 단계에서는 하나의 스키마가 다른 스키마를 억제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선택적 활성화 견해와는 모순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머 텍스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이한 스키마들은 동시에 활성화됨을 시사한다.

유머가 앵커에 대한 신뢰성과 시청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뉴스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Humor on Anchor Credibility and Viewers' Attitude toward the Anchor: A Moderating Effect of News Type)

  • 윤성욱;박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41-154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를 보도하는데 있어 유머가 앵커에 대한 신뢰성과 시청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뉴스타입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뉴스 동영상을 시청한 22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머의 유무에 따른 앵커에 대한 신뢰도와 앵커에 대한 시청자 태도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뉴스타입의 조절효과도 검증해 보았다. 분석결과 유머가 앵커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앵커에 대한 시청자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뉴스 타입의 조절효과는 연성뉴스의 경우에는 유머 사용 여부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경성 뉴스에서는 유머를 사용하는 경우 앵커 태도가 현저하게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상급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유머감각과 낙관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nse of humor and optim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 in the advanced general hospital)

  • 이경숙;장인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39-146
    • /
    • 2019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유머감각, 낙관성, 간호업무성과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S 특별시 3개 상급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 183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2월 1일부터 2018년 4월 8일까지 하였다. 유머감각, 낙관성, 간호업무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 특성 중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육수준, 교대근무, 경력이었고, 유머감각과 낙관성이 영향을 미쳤다. 이 3개 변수의 설명력은 38.6%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머감각과 낙관성을 증진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간호사에게 유머감각과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인쇄 광고의 카피 특성 분석 - 유머 광고를 중심으로 (Copy Style in Print Advertising : Focused on Humor Advertising)

  • 이광숙;구자휘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3-8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executive guideline of humor in Print advertising by analyzing the copy style. For this aim, in-depth analysis about the copy style of humor in Print advertising collected by the web-site of TV cf from 2005 to 2008 was performed. In conclusion, findings showed that the copy style in the pattern of expression was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arousal and incongruity and the pattern of damaging and attacking someone's prestige wa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some degree.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py style of humor in Print advertising in the method of expression was focused on the factor of pun, jokes, double-meaning but the factor of satire, irony and turns of phrase was a minority.

  • PDF

THE NEW FINDING OF A LIGHT DEPENDENT $Ca^{2+}$ CHANNEL AND $Na^+-Ca^{2+}$ EXCHANGER IN THE VERTEBRATE RETINA (II)

  • Kim, Yun-Sook;Jung, Hyuk;Park, Chang-Suck;Woo, Suk-Hyang;Kim, Hyun-Jung;Kim, You-Young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3권3호
    • /
    • pp.133-136
    • /
    • 1996
  • Calcium modulates the activity of guanylate cyclase and plays a key role in dark and light adaptation in the visual system. We have measured the Ca$^{2+}$, K$^+$ and Na$^+$ concentration in dark and light adapted bullfrog's (Rana catesbeiana) vitreous humor by using th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calcium concentration of the light adapted bullfrog's vitreous hum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ark adapted bullfrog's vitreous humor. This means that ion activity between the photoreceptor and vitreous humor side is light dependent and we have found that a Ca$^{2+}$ channel and Na$^+$ - Ca$^{2+}$ exchanger exist in the vitreous humor.

  • PDF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 및 유머감각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Sense of Humor in Institutionalized and At-Home Children on their Aggressive Behavior)

  • 석주영;안옥희;박인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7-250
    • /
    • 2004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e of humor in institutionalized and at-home children on their aggressive behavior by using a path mode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2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98 children reared at home, residing in an undisclosed city.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a low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e of humor than children at home. Also,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a higher level of aggressive behavior than at-home children.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e of humor on the aggressiv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at-home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