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ity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37초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An Interpretation of Human View in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Mircea Eliade's New Humanism)

  • 안신
    • 대순사상논총
    • /
    • 제33집
    • /
    • pp.1-30
    • /
    • 2019
  • 대순사상의 인간관에 대한 연구는 크게 내부자와 외부자 그리고 종교학의 입장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은 엘리아데가 주창한 신인간주의의 관점에서 대순사상의 인간관을 분석한다. 대순사상의 인간관은 엘리아데의 종교적 인간의 주요 특징을 잘 구현하고 있다. 대순사상은 미로와 같은 인생의 중층성과 복잡성을 다루며, 그 중심에 증산의 인간관을 위치시킨다. 증산은 선천의 인간이 직면한 실존문제를 진단하고, 후천의 세계관 변혁을 위한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의 종교적 처방을 내린다. 동학혁명에 대한 새로운 종교적 대안으로서, 증산은 평화의 길을 제시하였다. 천지공사를 통하여, 선천의 상극관계를 후천의 조화관계로 변화시킨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대순사상의 우주론은 삼계 가운데 신인관계를 재정립하고, 구천상제의 인신화현을 통하여 권선징악의 윤리관과 인존사상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엘리아데의 신인간주의의 관점에서 대순사상의 인간관은 더 이상 해명이 필요 없는 종교적 인간관이다.

Land Cover Classification over Yellow River Basin using Land Cover Classification over Yellow River Basin using

  • Matsuoka, M.;Hayasaka, T.;Fukushima, Y.;Honda, Y.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511-512
    • /
    • 2003
  • The Terra/MODIS data set over Yellow River Basin, China is generated for the purpose of an input parameter into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model,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Research Revolution 2002 (RR2002) project. This dataset is mainly utilized for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radiation budget analysis. In this paper, the outline of the dataset generation, and a simple land cover classification method, which will be developed to avoid the influence of cloud contamination and missing data, are introduced.

  • PDF

인간주의 수학교육: 수학적 개념의 모호성을 드러내고 명확히 하기 (Humanity mathematics education: revealing and clarifying ambiguities in mathematical concepts over th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박교식;임재훈;남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01-221
    • /
    • 2008
  • 본 연구는 심성함양으로서의 수학교육을 목표로 하는 인간주의 수학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수학적 개념의 본질은 현 개념의 모호함을 인식하고 이를 명확히 하면서 점진적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군과 연속함수로 예시하였다. 수학적 개념의 학습에서도 학생들은 다소 직관적이고 모호하며 맥락-의존적으로 정의되는 학교수학의 개념들을 이전 개념의 모호성을 인식하고 분명히 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학교수학에서 접선과 다각형의 정의의 개선 과정으로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수학적 개념의 학습을 통하여 학생은 자신의 사고의 한계를 깨닫고, 개선하게 된다. 이러한 지적 발전은 개선의 의지와 함께 겸손과 만족이라는 감정을 수반하면서, 수학교육을 통한 심성 함양이라는 인간주의 수학교육을 구현하는 방편이 될 수 있다.

  • PDF

인간을 매혹한 감정 기계 (Emotional Machines That Attract Human)

  • 오윤호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2호
    • /
    • pp.9-32
    • /
    • 2019
  • 이 논문은 '감정 기계' 모티프를 설정함으로써, 우리 시대의 포스트 휴먼 현상이 매우 오래된 이야기 속 피조물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문학과 기술 문명,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역사적 경계를 넘어서 공유되는 인류의 보편적이면서도 지적인 상상력에 기반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신화 속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간을 닮은 피조물들, 기술 문명 시대의 정교한 기계 장치를 통해 공포와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던 기계 인간들, 디지털 기술 혁명 속에서 초월적인 형상과 능력을 갖게 된 포스트 휴먼들을 살펴봄으로써, 각각의 시대에 감정기계에 느꼈던 감수성과 인간다움의 조건을 밝히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인간과 자연, 기계의 경계가 모호함을 이해하고, 인간중심적 인문학의 한계를 넘어, 21세기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자연, 기계의 공존에 대해 음미해 보았다.

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Haewon-sangsaeng Thought for the Future of Humanity and World)

  • 배규한
    • 대순사상논총
    • /
    • 제30집
    • /
    • pp.1-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하나는 한국 신종교의 대표적 평화사상인 해원상생사상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해원상생과 해원공사를 후천선경 건설의 원리와 실행기제로 보고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해원상생사상에 내포된 사상적 특성으로 인간과 세계의 미래를 논리적으로 추론해 보는 것이다. 해원상생사상은 해원과 상생으로 구성되는 복합적 개념이다. 해원은 인간·신명·세계에 쌓인 원한과 원한의 구조를 풀어가는 것이고 상생은 서로 간에 잘 되게 하는 작용 또는 잘 산다는 상태를 말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은 원한을 풀고 서로 잘 산다는 말이다. 대순진리회에서의 해원상생은 그 개념이 외연적으로 더욱 확대되어 나타난다. 해원상생은 전 세계의 평화이며 전 인류의 화평으로 확장된다. 선행연구의 통합적 분석과 필자의 새로운 해석에 의해 얻어진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미는 원리·법리·윤리·이념으로써 공통적으로 인존, 상생, 평화, 조화, 후천, 선경 등으로 연결된다. 이것은 해원상생이 가지는 어원적 의미보다 해원상생사상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에 관해 투영되는 가치적 의미는 더욱 깊고 넓다는 것을 말해준다. 인존과 상생, 평화와 조화, 후천과 선경이 가지는 공통의 특성은 모두 인류가 오랫동안 꿈꿔온 대망의 실현이라는 점이다. 이점이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의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이유이다. 해원공사는 상극이 지배하는 선천시대의 원한을 해소하고 상생으로 유지되는 후천세계를 건설하는 강증산의 종교적 행위이다. 그래서 해원상생의 원리는 해원공사에 의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를 변화시키는 작용력을 가진다. 이 글에서는 해원상생이 '인간욕망의 충족'과 인간과 세계의 '상생적 조화관계'를 이룸으로써 인간은 인존(人尊)으로, 세계는 선경(仙境)으로, 미래는 평화로 변화시킨다고 추론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사상은 사회-세계-우주의 변화원리로서 작용하며, 해원상생의 사회적 실현은 인존·선경·평화의 객관적 실재로서의 그 미래를 창출한다. 해원상생사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어려운 여건 속에서 소수의 학자들에게서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해원(解冤)·상생(相生)·인존(人尊)·선경(仙境)·평화(平和)를 실현하는 해원상생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더욱 더 확대되어 세계종교사상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관제 행위의 심리 기제 분석 (Analysis on mind mechanism of coastal VTS service)

  • 김병선;김형준;김옥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4-205
    • /
    • 2013
  • 인간의 모든 행위가 그러하듯 VTS 관제 역시 관제사의 마음에서 시작된다. 관제의 시작이 되는 심리적 동기(마음)는 집단무의식, 공포, 책임감, 인간애로 대별되며 이들은 관제사를 각성시키고 관제 전반을 지배한다. 그 중 상위요소(책임감, 인간애)는 기반요소에 비해 보다 긍정적으로 관제 행위에 적용되므로 VTS 운영 목적인 해상교통안전 달성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관제사가 이러한 덕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 PDF

프뢰벨의 인간교육 사상에 나타난 수학교육의 의미 (The Value of Mathmatics Education in Froebel's Educational Thoughts)

  • 한대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57-72
    • /
    • 2000
  • In this paper, in order to explicate how mathematics education can contribute to humanity education, I enquired in which position mathematics occupy in Froebel's For this, I examined Froebel's theory of humanity education, his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al problem of his thoughts to nowaday education. Froebel's educational theory i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Divine Unity which is relevant to the notion of 'The Absolute' of Fichte, Schelling, Hegel. He claims that from inanimate objects to human being, all is subject to the eternal law, which is presided by God. So the world itself is the representation of this law of the Divine Unity and education consists in leading man to conscious and free representation of it. The revealing process of the inner law of the Divine Unity can be attained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divinity which resides in the self. And this process of self-consciousness is dialectical movement of the two opposites, i.e. 'inner' and 'outer' Froebel suggests that mathematics is the mediator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orld, i.e. he suggests that since both human being and nature are the representations of the Divine Unity, mathematics is both the pure human spirits and the law of nature. Having such a role, mathematics becomes the main discipline in education. Though there are some criticism on Froebel's educational thoughts on mathematics discussed in this paper, it can provide a typical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how mathematics education contributes to humanity education.

  • PDF

모바일 기반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3D전래동화 콘텐츠 연구 (Research of 3D graphic nursery contents for humanity education developed by mobile AR technology)

  • 박영숙;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7-33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증강현실기술 기반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Digilog Book에 관한 연구이다. 지식기반사회의 핵심 콘텐츠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공간을 연결하는 SW기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하여 흥미로운 전래동화를 외국어학습과 창의인성교육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 AR게임(놀이)으로 재구성하였다. 재미있고 유익한 전래동화를 ICT기술을 접목한 융복한 콘텐츠로 재구성하여 경험하면서 첨단기술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첨단기술기반 교육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수용하며 생활주변에서 소프트웨어를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한다.

  • PDF

라이트의 자연관 속의 실존적 사고 (Existential Ideas in Wright's Notion of Nature)

  • 이재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95-102
    • /
    • 2018
  • In this study, existential thoughts in Frank Lloyd Wright's notion of nature were investigated. Wright, a modern architect, presented the idea of creating organic architecture in harmony with nature. His naturalistic romanticism is considered to be the original inspiration for his concept of organic architecture. However, his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in harmony with nature stems from existential ideas in his notion of nature, including humanity. The proposed study analyzes his existential beliefs through his speeches and writings in four categories-love of nature, thoughts of abstract and concrete, nature as being intrinsic and "becoming," and thoughts on science and art. Our analyses reveal that, on the one hand, Wright was inspired by thoughts of naturalistic romanticism born from his disillusionment with city life and an urge to seek life in nature, while, on the other, he also believed that real nature is intrinsic to humans and manifests itself in the very core of their being. He sought to unite humanity, as the interior of nature, with its physical environment, as the exterior of nature. His notion of nature is a "becoming" one that changes with time and space, and varies based on individual humans. In line with these thoughts, Wright sought to create forms not only with respect to mathematical dimensions, but also in consideration of human significance. He considered art and architecture to be born out of an integral thought as a process of humanization. To him, nature is interpreted by humans.

치과 의료 기관 직원의 임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eterminants of pay satisfaction of dental employees)

  • 박영찬;정성현;박성남;김의정;신호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5호
    • /
    • pp.374-38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ay satisfaction of dental employee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administration of pay, Pay satisfaction questionnaire (PSQ). PSQ was translated, and backward translation into korean was implemented. A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25 dental employees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July in 2015, receiving 323 valid responses. Anova or t-test was conducted with categorized characteristics, by calculating pay satisfaction scores. Principal factor analysis which i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istency of pay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much effect the variables have on pay satisfaction. The result of principal factor analysis showed that pay satisfaction consists of 3 factors which are 'paying system', 'pay level', 'benefits'. 'Pay raise' which was one of 4 factors of original PSQ was not the factor of pay satisfaction of dental employees. The result o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scores of paying system between dental clinic and dental hospital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endencies pay satisfaction increases when age and monthly income increases and whole career and the number of unit chairs decreases. Increasing the autonomy of employees and simplification of paying system would improve pay satisfaction efficiently. When age increases, the pay level increases because of the seniority-based pay structure, and this leads to the higher satisfaction. The higher amount of pay leads to higher satisfaction. The expectation over pay increases relatively higher than the increase of pay level and this leads to the less satisfaction. When the number of unit chairs is fewer, the workplace is smaller, so the employees have more autonomy, and this leads to higher satisf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