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Haewon-sangsaeng Thought for the Future of Humanity and World

  • 배규한 (대순사상학술원.대진대학교)
  • Bae, Kyu-han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Daejin University)
  • 투고 : 2018.04.27
  • 심사 : 2018.06.16
  • 발행 : 2018.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하나는 한국 신종교의 대표적 평화사상인 해원상생사상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해원상생과 해원공사를 후천선경 건설의 원리와 실행기제로 보고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해원상생사상에 내포된 사상적 특성으로 인간과 세계의 미래를 논리적으로 추론해 보는 것이다. 해원상생사상은 해원과 상생으로 구성되는 복합적 개념이다. 해원은 인간·신명·세계에 쌓인 원한과 원한의 구조를 풀어가는 것이고 상생은 서로 간에 잘 되게 하는 작용 또는 잘 산다는 상태를 말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은 원한을 풀고 서로 잘 산다는 말이다. 대순진리회에서의 해원상생은 그 개념이 외연적으로 더욱 확대되어 나타난다. 해원상생은 전 세계의 평화이며 전 인류의 화평으로 확장된다. 선행연구의 통합적 분석과 필자의 새로운 해석에 의해 얻어진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미는 원리·법리·윤리·이념으로써 공통적으로 인존, 상생, 평화, 조화, 후천, 선경 등으로 연결된다. 이것은 해원상생이 가지는 어원적 의미보다 해원상생사상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에 관해 투영되는 가치적 의미는 더욱 깊고 넓다는 것을 말해준다. 인존과 상생, 평화와 조화, 후천과 선경이 가지는 공통의 특성은 모두 인류가 오랫동안 꿈꿔온 대망의 실현이라는 점이다. 이점이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의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이유이다. 해원공사는 상극이 지배하는 선천시대의 원한을 해소하고 상생으로 유지되는 후천세계를 건설하는 강증산의 종교적 행위이다. 그래서 해원상생의 원리는 해원공사에 의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를 변화시키는 작용력을 가진다. 이 글에서는 해원상생이 '인간욕망의 충족'과 인간과 세계의 '상생적 조화관계'를 이룸으로써 인간은 인존(人尊)으로, 세계는 선경(仙境)으로, 미래는 평화로 변화시킨다고 추론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사상은 사회-세계-우주의 변화원리로서 작용하며, 해원상생의 사회적 실현은 인존·선경·평화의 객관적 실재로서의 그 미래를 창출한다. 해원상생사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어려운 여건 속에서 소수의 학자들에게서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해원(解冤)·상생(相生)·인존(人尊)·선경(仙境)·평화(平和)를 실현하는 해원상생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더욱 더 확대되어 세계종교사상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re are three purposes to this study: first,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meaning of Haewon-sangsaeng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Thought, which can be taken as representative thought regarding peace in Korean new religions. Next, Haewon-sangsaeng Thought and the works for Haewon (resolving grievances) will be examined as principles and practical mechanisms for building the paradise of the Later World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is system of thought. Lastly, logical inferences will be made regarding the future of humanity and the world through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mplied by Haewon-sangsaeng Thought. Haewon-sangsaeng Thought contains the complicated concepts of Haewon and Sangsaeng. Haewon is the resolution of the enmity and grievances that have accumulated in the realms of humanity and deities. Sangsaeng indicates the action of mutually benefiting one another or a state wherein people live in prosperity and peace. In Daesoon Jinrihoe, the concept of Haewon-sangsaeng is expressed explicitly and has broad applications. It can be expanded for the global peace and the harmony of all humanity. As the result of an integrate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t can be stated that Haewon-sangsaeng has values and meanings in terms of principles, laws, ethics, and ideology all of which are commonly connected to Injon (Human Nobility), Sangsaeng, peace, harmony, the Later World, and paradise. This indicates that its valuable for the future of humanity and world is deeper and wider than its mere etymological meaning. The common factor among paired ideas such as human nobility and Sangsaeng, peace and harmony, and Later World and paradise is the realization of humanity's greatest wish. This is the reason why the value and meaning of Haewon-sangsaeng can be expanded globally. The works of Haewon were a religious act of Kang Jeungsan who resolved the grievances of the Former World which was under the rule of mutual conflict and built a Later World that will operate according to mutual beneficence. Therefore, the principle of Haewon-sangsaeng has a motivative power, through the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which can transform the future of humanity and the world. In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as Haewon-sangsaeng 'fulfills human desires' and forms a 'harmonious relations of Sangsaeng' between humans and world, humans will be transformed into Injon (Human Nobility) while the world turns into a paradise, and the future turns into period of peace. Therefore, Haewon-sangsaeng Thought works as a principle that changes society, the world, and the universe. The social actualization of Haewon-sangsaeng is tantamount to bringing the future of Injon, paradise, and peace into objective reality. Previous studies on Haewon-sangsaeng Thought had been carried out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by a small number of scholars. For all the above reasons, I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more and more studies made on the topic of Haewon-sangsaeng Thought, which seeks the realization of Haewon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human nobility, paradise, and peace. I hope it will emerge as a main subject in global religious thought.

키워드

참고문헌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포덕교화기본원리1』,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75.
  5. 『포덕교화기본원리2』,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03.
  6. 『說文解字』
  7. 『周易』
  8. 『春秋繁露』
  9.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신원의 의미-전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1, 1996.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6.1..004
  10. 금교영, 「대순진리 해원상생의 현세 실현과 그 실천수행 연구」, 『대순사상논총』 25, 2015. http://doi.org/10.25050/jdaos.2015.25.2.71
  11. 김대현, 「대순사상에 나타난 인간 주체에 관한 연구-인존 개념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doi.org/10.25050/jdaos.2016.26.0.111
  12. 김방룡, 「해원상생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13. 김방룡,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해원상생의 재해석과 지평」, 『대순사상논총』 29, 2017. http://doi.org/10.25050/jdaos.2017.29.0.37
  14. 김상준, 「중층근대성- 대안적 근대성 이론의 개요」, 『한국사회학』 41-4, 2007. http://uci.or.kr/G704-000205.2007.41.4.007
  15. 김정태, 「종지에 관한 이해」, 『대순사상논총』 6,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6..003
  16. 김 탁, 「증산교 상생사상의 특성과 전개과정」, 『신종교연구』 13, 2005.
  17. 김홍철, 『한국 신종교 사상의 연구』, 서울: 집문당, 1989.
  18. 니혼지츠교풀판사 편집부, 『보통의 교양』, 모기 겐이치로 감수, 김영택 옮김, 서울: 청림출판, 2017.
  19. 대순종교문화연구소, 『대순사상의 현대적 이해』,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8.
  20. 류성민, 「'천지공사'의 종교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doi.org/10.25050/jdaos.2014.23.0.1
  21. 미르체아 엘리아데, 『성과 속』, 이은봉 옮김, 서울: 한길사, 1998.
  22. 배규한, 「대순사상과 인류의 미래」, 『대순사상논총』 1, 1996.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6.1..013
  23. 변찬린, 「증산의 해원사상」, 『증산사상연구』 1, 1975.
  24. 박용철, 「전경에 나타난 원의 본질과 구조」, 『대순사상논총』 1, 1996.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6.1..012
  25. 박용철, 「해원상생의 실현에 대한 고찰」,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3
  26. 박용철, 「해원시대를 전제하는 인존시대에 대한 이해」, 『대순사상논총』 27, 2016. http://doi.org/10.25050/jdaos.2016.27.0.135
  27. 볼파르트 파넨베르크, 『인간학I: 인간본성론』, 박일영 옮김, 칠곡: 분도출판사, 2003.
  28. 신철균, 「해원상생 보은상생의 의미와 실천에 관한 연구」,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29. 안종운, 「윤리학 측면에서 본 해원상생론」,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5
  30. 양무목, 「대순사상과 한국정치-해원상생 사상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1, 1996.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6.1..003
  31. 앨런 라이언, 『정치사상사 헤로도토스에서 현재까지』, 남경태. 이광일 옮김, 파주: 문학동네, 2017.
  32. 에드문트 야코비, 『클라시커 50 철학가』, 안성찬 옮김, 서울: 해냄출판사, 2003.
  33. 유승종, 「해원상생에 내포된 사상적 특성」,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1
  34. 윤용복, 「대순진리회의 후천개벽 세계관」, 『대순사상논총』 27, 2016. http://doi.org/10.25050/jdaos.2016.27.0.1
  35.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권1: 종교사관, 역사적 연구, 정책』, 서울: 집문당, 1991.
  36. 윤기봉, 「종지론의 종교학적 이해」, 『대순사상논총』 6,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6..017
  37. 윤재근, 「대순진리회 종지의 개별적 특성」, 『대순사상논총』 6,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6..012
  38. 윤재근, 「인존사상에 대한 인간학적 접근」, 『대순사상논총』 7, 1999.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9.7..006
  39. 이경원, 「해원상생의 의미와 천지공사」,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4
  40. 이경원, 「대순진리회의 '상생'이념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13, 2005.
  41. 이경원, 「대순진리회의 해원이념에 관한 연구」,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42.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43. 이경원, 「대순진리회 사회복지의 현황과 과제」, 『신종교연구』 25, 2011. http://doi.org/10.22245/jkanr.2011.25.25.231
  44. 이락의, 『한자정해 2』, 박기봉 옮김, 서울: 비봉출판사, 1994.
  45. 이우평, 『고교생을 위한 지리 용어사전』, 서울: 신원문화사, 2002.
  46. 이정우, 『문명이 낳은 철학 철학이 바꾼 역사 1 - 네오르네상스를 위하여』, 서울: 도서출판 길, 2015.
  47. 이항녕, 「대순사상의 우주사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1, 1996.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6.1..014.
  48. 이항녕, 「해원상생사상의 현대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06
  49. 장자크 루소, 『인간 불평등 기원론』, 홍지화 옮김, 서울: 부북스, 2013.
  50. 잔스촹, 「대순사상의 인문정신과 인류평안의 이념」,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doi.org/10.25050/jdaos.2013.21.0.199
  51. 잔스촹, 「대순 『전경』의 '공사(公事)'개념에 대한 고찰」,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doi.org/10.25050/jdaos.2014.23.0.37
  52.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서울: 휴머니스트, 2011.
  53. 정대진, 「대순사상 연구를 위한 제언」, 『대순사상논총』 1, 1996.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6.1..005
  54. 정대진, 「해원상생의 이해」,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01
  55. 정대진, 「대순진리회와 대순종지」, 『대순진리학술논총』 1, 2007.
  56. 정재서, 「강증산의 중국신화 수용과 그 의미」, 『대순사상논총』 25, 2015. http://doi.org/10.25050/jdaos.2015.25.1.1
  57. 조태룡, 「대순진리회의 종지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6,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6..016
  58. 주현철, 「원의 본질적 의미에 관한 연구-고(苦) 의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03
  59. 차선근, 「증산계 신종교 일괄기술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 방향」, 『신종교연구』 30, 2014. http://doi.org/10.22245/jkanr.2014.30.30.57
  60. 차선근, 「중국 초기 민간도교와 대순진리회의 종교윤리 비교연구」, 『종교연구』 75, 2016. http://doi.org/10.21457/kars.75.4.201512.117
  61. 차선근, 「대순진리회 마음관 연구 서설」, 『신종교연구』 36, 2017. http://doi.org/10.22245/jkanr.2017.36.36.111
  62. 최동희, 「해원의 윤리적 의미」, 『증산사상연구』 11, 1985.
  63. 최동희, 「해원상생의 새로운 이해」,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0
  64. 최동희, 「해원상생과 우리 일상언어」,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65. 피터 버거, 『종교와 사회』, 이양구 옮김, 서울: 종로서적, 1992.
  66. 한국도교문화학회 편, 『증산사상의 다층적 분석』, 서울: 청홍, 2015.
  67.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이진우 옮김, 파주: 도서출판 한길사, 2017.
  68. 하영선, 『21세기 평화학』, 서울: 도서출판 풀빛, 2002.
  69. 《대순진리회 홈페이지》http://www.idaesoon.or.kr
  7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