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head model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6초

Rat의 방사선 조사성 구내염에 대한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의 효과 (Effects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 on Experimental Radiation-Induced Oral Mucositis in Rats)

  • 정권일;김선희;문수영;김연화;홍준표;김현숙;이상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67-76
    • /
    • 2006
  • 목적 : 구내염은 두경부종양이 있는 암환자에게 방사선 및 항암제 치료 시술 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본 연구는 Rat 의 방사선성 구내염 모델에서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 Gy의 방사선량으로 두부에 단회 조사한 Rat를 무작위로 7마리씩 무처치군, 부형제 처치군,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으로 나누었으며,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7 마리의 Rat를 정상시험군으로 나누었다 rhEGF 시료 및 부형제는 1일 3회 Rat 의 구강점막에 매일 도포하였다. Rat의 생존율, 체중변화 및 사료섭취량을 18일 동안 관찰하였으며, 방사선 조사 후 7 일 및 18 일째에 Rat의 구강점막을 조직학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실험종료 시점에서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이 모두 33%의 생존율을 보인 것에 비하여, 무처치군 및 부형제 처치군은 모두 0%의 생존율을 보였다. 체중변화에서도 rhEGF 처치군은 방사선 조사 후 2일부터 7일까지 부형제 처치군에 비하여 Rat 의 평균체중이 통계적으로 더욱 무거웠다 사료섭취율은 모든 시험군에서 방사선 조사 후 4 일까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에서 14일째에 뚜렷한 사료섭취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방사선 조사 후 7 일째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의 Rat 에서는 점막 표피층의 각질세포의 종창 및 변성만이 관찰되었던 것에 비하여, 무처치군 및 부형제 처치군에서는 심한 위막성 또는 궤양성 구내염이 관찰되었다. 결론;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 처치에서 방사선 조사로 유발시킨 Rat의 구내염 모델에서 유의성 있는 치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본 시험결과로 rhEGF가 방사선에 의해 유발된 구내염을 치료할 수 있는 임상 제제로써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몰입형 가상현실의 착용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Mixture-of-Experts 기반 제스처 인식 (Gesture Recognition based on Mixture-of-Experts for Wearable User Interface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 윤종원;민준기;조성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8
    • /
    • 2011
  • 최근 가상현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몰입형 상호작용을 위한 제스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환경 내 사용자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제스처 인식 기반 착용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적외선 LED가 부착되어 있는 헬멧과 적외선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인식하며, 양 손에 착용한 데이터 글로브로부터 사용자의 손 제스처를 인식한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MD)를 이용하여 직접 사용자의 시점 변화와 가상환경의 시점 변화를 일치시킨다. 손 제스처의 경우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져 있는 손의 특성상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며 손 크기나 손동작이 사람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할 때, 일반적인 모델로는 정확한 인식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정확히 손 제스처를 인식하기 위해 Mixture-of-Experts 기반 인식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상 오케스트라 지휘 환경을 구현하여 인터페이스의 동작 성능을 분석하고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이 쉽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흥미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 PDF

구강보호장치의 재료적인 특성이 하악골 충격 시악골 및 두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유한요소분석 (FEM Analysis of the Effects of Mouth guard material properties on the Head and Brain under Mandibular Impact)

  • 강남현;김형섭;우이형;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5-334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골 충격 시 구강보호장치의 재료적 성질에 따른 악골과 두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경질과 연질의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구강보호장치를 두부외상이나 뇌질환 병력이 없고 정상교합과 자연치열을 가진 한국 성인 여성에게 제작하고, CT를 이용하여 악골과 두부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이 유한요소모델은 두개골, 뇌, 상악골, 하악골, 관절원판, 치아와 구강보호장치를 포함하며 407,825개의 elements와 82,138개의 node로 구성되어 있다. 0.1초동안 하악골 3부위에서 800 N으로 사선 방향의 힘을 가하였을 때 두 가지 재료에 따른 상악 치아, 상악골 및 두개골의 응력분포를 평가하였고 동일한 조건하에서 두 재료에 따른 뇌의 변위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치아에서 유효응력 값을 비교하였을 때 연질의 구강보호장치가 경질의 구강보호 장치보다 응력값이 유의차 있게 작게 나타났다 (P < .05). 2. 상악골과 두개골에서 응력값을 비교하였을 때 연질의 구강보호장치가 경질의 구강보호장치보다 응력값이 유의차 있게 작게 나타났다 (P < .05). 3. 경질의 구강보호장치에서 연질의 구강보호장치보다 상악치아 및 상악골과 두개골에 더 많은 응력집중부위를 보였다. 4. 경질의 구강보호장치와 연질의 구강보호장치 간에 하악 충격 시 뇌의 변위량은 연질의 구강보호장치 쪽이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악골 충격 시에 경질 및 연질 구강보호장치가 상악골과 두개골에서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양상을 알 수 있었지만, 아직도 이의 상관관계를 모두 파악하기에는 불충분한 점이 많으리라 생각되며, 스포츠 외상에 따른 구강보호장치의 재료에 따른 상관관계에 대하여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Genetical and Pathological Studies on the Mutant Mice as an Animal Model for Deafness Disease

  • Lee, Jeong-Woong;Lee, Eun-Ju;Lee, Hoon-Taek;Chung, Kil-Saeng;Ryoo, Zae-Young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48
    • /
    • 2001
  • A new neurological mutant has been found in the ICR outbred strain mouse. Affected mice display profound deafness and a head-tossing and bidirectional circling behavior, showing an autosomal recessive mode of inheritance. It was, therefore, named cir/Kr with the gene symbol cir. The auditory tests identified clearly the hearing loss of the cir mice when compared to wild type mice. Pathological studies confirmed the developmental defects in the middle ear, cochlea, cochlear nerve, and semicircular canal areas, which were correlated to the abnormal behavior observed in the cir mice. Thus, cir mice may be useful as a model for studying inner ear abnormalities and deafness. We have constructed a genetic linkage map by positioning 14 microsatellite markers across the (cir) region and intraspecific backcross between cir and C57BL/6J mice. The cir mouse harbors an autosomal recessive mutation on mouse chromosome 9. The cir gene was mapped to a region between D9Mit116 and D9Mit38 Estimated distances between cir and D9Mit116, and between cir and D9Mit38 are 0.7 and 0.2 cM, respectively. The gene in order was defines : centromere-D9Mit182-D9Mit51/D9Mit79/D9Mit310-D9Mit212/D9Mit184-D9Mit116-cir-D9Mit38-D9Mit20-D9Mit243-D9Mit16-D9Mit55/D9Mit125-D9Mit281. The mouse map location of the cir locus appears to be in a region homologous to human 3q21. Our present date suggest that the nearest flanking marker D9Mit38 provides a useful anchor for the isolation of the cir gene in a yeast artificial chromosome contig.

  • PDF

대퇴골 주요축의 3차원 모델링에 의한 전염각의 측정 (The Measurement of Femoral Neck Anteversion by 3D Modeling of Femoral Major Axes)

  • 김준식;김선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1-350
    • /
    • 1998
  • 대퇴 전염각의 정확한 측정은 뼈를 절개하여 각을 조절하는 시술(derotation osteotomy)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대퇴 전염각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퇴골 장축과 목축, 관절구축의 정확한 선정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2차원 영상에 의한 대퇴 전염각의 측정 방법은 간단하지만 3차원 공간상에서 축들을 결정하기 모호한 단점을 가지고 있고, 3차원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뼈를 밖에서 직접 측정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2차원 방법보다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나 처리과정이 복잡하고 정량적이고 객관화된 결과를 얻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퇴골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대퇴 전염각의 측정법을 제시한다. 이것은 먼저 촬영된 슬라이스 영상들을 3차원상에서 재구성한 뒤, 대퇴골두와 목 모델로부터 대퇴골 목축을 정하고, 대퇴 관절구 모델로부터 대퇴 관절구축을 결정한다. 또한, 대퇴골 주축을 원통으로 모델링하여 장축을 결정한다. 대퇴 전염각은 대퇴관절구의 접평면에 대한 대퇴골축의 기울어진 정도로 정의되며, 이 정의를 이용하여 대퇴 전염각을 구한다. 결과에서 20명 CT영상으로부터 대퇴골 샘플을 측정하여 기존의 2차원 및 3차원 영상법의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한 방법이 객관적이고 정확한 측정방법임을 검증한다.

  • PDF

Genomic characterization of clonal evolution during oropharyngeal carcinogenesis driven by human papillomavirus 16

  • Chae, Jeesoo;Park, Weon Seo;Kim, Min Jung;Jang, Se Song;Hong, Dongwan;Ryu, Junsun;Ryu, Chang Hwan;Kim, Ji-Hyun;Choi, Moon-Kyung;Cho, Kwan Ho;Moon, Sung Ho;Yun, Tak;Kim, Jong-Il;Jung, Yuh-Seog
    • BMB Reports
    • /
    • 제51권11호
    • /
    • pp.584-589
    • /
    • 2018
  • Secondary prevention via earlier detection would afford the greatest chance for a cure in premalignant lesions. We investigated the exomic profiles of non-malignant and malignant change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and the genomic blueprint of human papillomavirus (HPV)-driven carcinogenesis in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OPSCC). Whole-exome (WES) and whole-genome (WGS) sequencing were performed on peripheral blood and adjacent non-tumor and tumor specimens obtained from eight Korean HNSCC patients from 2013 to 2015. Next-generation sequencing yielded an average coverage of $94.3{\times}$ for WES and $35.3{\times}$ for WGS. In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non-tumor and tumor tissue pairs, we were unable to identify common cancer-associated early mutations and copy number alterations (CNA) except in one pair. Interestingly, in this case, we observed that non-tumor tonsillar crypts adjacent to HPV-positive OPSCC appeared normal under a microscope; however, this tissue also showed weak p16 expression. WGS revealed the infection and integration of high-risk type HPV16 in this tissue as well as in the matched tumor. Furthermore, WES identified shared and tumor-specific genomic alterations for this pair. Clonal analysis enabled us to infer the process by which this transitional crypt epithelium (TrCE) evolved into a tumor; this evolution was accompanied by the subsequent accumulation of genomic alterations, including an ERBB3 mutation and large-scale CNAs, such as 3q27-qter amplification and 9p deletion. We suggest that HPV16-driven OPSCC carcinogenesis is a stepwise evolutionary process that is consistent with a multistep carcinogenesis model. Our results highlight the carcinogenic changes driven by HPV16 infection and provide a basis for the secondary prevention of OPSCC.

산처리(酸處理)된 Enamel표면(表面)에 대(對)한 Composite resin의 인장접착강도(引張接着强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F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S RESINS APPLIED TO ACID-ECHED ENAMEL)

  • 이영근;민병순;최호영;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2권2호
    • /
    • pp.45-53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composite resin and the human enamel. Three composite resin systems, two chemical (Clearfil Posterior, and Clearfil Posterior-3) and one light cure (Photo Clearfil-A), used with and without an intermediate resin (clearfil bonding agent), were evaluated under different amounts of load (10g, 200g and 200g for a moment) for in vitro tensile bond strength to acid-eched human enamel. Clinically intact buccal or lingual surfaces of 144 freshly extracted human permanent molars, embedded in acrylic were flattened with No #600 carborundum discs. Samp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different materials and treatments using a table of random numbers. Eight samples were thus prepared for each group(Table 2) these surfaces were etched with an acid etchant (Kurarey Co. Japan) in a mode of etching for 30 seconds, washing for 15 seconds, and drying for 30-seconds.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 on the acid-etched enamel surfaces with and without bonding agent 10-gram, 200 gram and temporary 200 gram of load were applied.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50% relation humidity at $37^{\circ}C$ for 24 hours before testing.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Intesco model No. 2010, Tokyo, Japan) was used to apply tensile loads in the vertical directed (fig 5), and the force required for separation was recorded with a cross head speed of 0.25 mm/min and 20 kg in full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much greater in applying a bonding agent than in not doing that. 2.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chemical cure composite resin was higher than that of light cure composite resin with applying on bonding agent on the acid-etched enamel. 3. In case of not applying a bonding agents on the acid-etching enamel, the highest tensile bond strength under 200 gram of load was measured in light cure composite resin. 4. The tensile bond strength under 200-gram of load has no relation with applying the bonding agent. 5. Under the load of 10-gram,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nsile bond strength as applying the bonding agent.

  • PDF

기본 주시눈 위치의 패턴을 이용한 영상멀미의 민감도 예측 (Predicting Sensitivity of Motion Sickness using by Pattern of Cardinal Gaze Position)

  • 박상인;이동원;문성철;황민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27-235
    • /
    • 2018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콘텐츠 경험 이전에 기본 주시눈 위치의 패턴을 이용해 영상멀미의 민감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실험에는 20명 (여자 10명, 평균 나이: $28.42{\pm}3.17$세)의 피험자가 참여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5분 동안 기본 주시눈 위치의 패턴을 측정하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15분 동안 시청하였다. VR 콘텐츠 시청 후에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SSQ)' 설문을 통해 영상멀미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을 실험 참가들로부터 보고 받았다. 기본 주시눈 패턴과 SSQ 점수는 피어슨 상관분석 및 독립성분 t검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예측모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기본 주시눈 위치의 패턴 (PCPA & PCPR)은 SSQ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강한 혹은 중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출된 예측모델은 새로운 실험참가자 10명을 대상으로 정확도를 검증하였고 설문과 예측모델에 의한 SSQ 점수 사이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와 낮은 편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Modified Protraction Headgear를 이용한 상악골 전방 견인시 악안면골의 초기반응에 관한 Holographic Interferometry 연구 (A STUDY OF HOLOGRAPHIC INTERFEROMETRY ON THE INITIAL REACTION OF MAXILLOFACIAL COMPLEX TO THE MAXILLARY PROTRACTION USING THE ANTENNA TYPE MODIFIED PROTRACTION HEAD GEAR)

  • 이공근;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31-556
    • /
    • 1992
  • The majority of the commonly used protraction headgears for the protraction of small and/or retropositioned maxilla not allow a change in the point of force application or direction of the force delivery to attain predictable results because of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lips to avoid discomfort to the pat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itial reaction of maxillofacial complex according to the change of force variables such as direction and point of force application with designing an antenna type-modified protraction head gear. A macerated human skull with well aligned upper teeth was used to experimental model and the investigation was done by double exposure holographic interferometry. Fringe patterns of each protraction conditions were compared and ana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rontal view) 1.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xilla was showed by parallel protraction to occlusal plane and the fringe was decreased in number as higher point of force application. 2. Generally, the number of fringe was increased in 500gm of protraction force than in 300gm. 3. When apply the protraction force to the maxilla with rapid palatal expansion, the direction of fringe patterns was differed from the protraction without expansion. 4. In most of cases,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was decreased in case of the direction of the force is $20^{\circ}$ downward to occlusal plane compared to the parallel direction. 5. At the point of force application is 15mm above and the direction of force is 20 downward to occlusal plane , the translation of the maxillary complex was showed. (Lateral view) 6. The direction of fringe patterns of the facial bones were differed each other by the sutures, and showed almost parallel when apply the 300gm and 500gm of protraction force. 7. In case of rapid palatal expansion with protraction of the maxilla, the fringe patterns between the maxillary area and the area from the posterior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to the pterygomaxillary fissure were differed. In case without rapid palatal expansion, the changes of direction and point of the force application did not affect to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the fringe patterns.

  • PDF

The activation of NLRP3 inflammasome potentiates the immunomodulatory abilities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urine colitis model

  • Ahn, Ji-Su;Seo, Yoojin;Oh, Su-Jeong;Yang, Ji Won;Shin, Ye Young;Lee, Byung-Chul;Kang, Kyung-Sun;Sung, Eui-Suk;Lee, Byung-Joo;Mohammadpour, Hemn;Hur, Jin;Shin, Tae-Hoon;Kim, Hyung-Sik
    • BMB Reports
    • /
    • 제53권6호
    • /
    • pp.329-334
    • /
    • 2020
  • Inflammasomes are cytosolic, multiprotein complexes that act at the frontline of the immune responses by recognizing pathogen- or danger-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or abnormal host molecule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multipotency to differentiate into various cell types and immunoregulatory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and functional regulation of NLR Family Pyrin Domain Containing 3 (NLRP3) inflammasome in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SCs (hUCB-MSCs). hUCB-MSCs expressed inflammasome components that are necessary for its complex assembly. Interestingly,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suppressed the differentiation of hUCB-MSCs into osteoblasts, which was restored when the expression of adaptor proteins for inflammasome assembly was inhibited. Moreover, the suppressive effects of MSCs on T cell responses and the macrophage activation were augmented in response to NLRP3 activation. In vivo studies using colitic mice revealed that the protective abilities of hUCB-MSCs increased after NLRP3 stimulation.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NLRP3 inflammasome components are expressed in hUCB-MSCs and its activation can regulate the differentiation capability and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hUCB-MS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