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driving data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2초

자동차의 블랙박스를 이용한 실시간 포렌식 자료 생성 연구 (A Study of Using the Car's Black Box to generate Real-time Forensic Data)

  • 박대우;서정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53-260
    • /
    • 2008
  •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텔레매틱스 기술을 기반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블랙박스에 IPv6에 의한 고유한 주소를 부여한다. 블랙박스는 시동 시에 운전자의 인증을 받아 작동하며 자동차의 주행기록을 영상신호 처리부와 센서신호 처리부회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기록한다. 기록된 자료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암호화되어 전송되며 도로변의 기지국 센서들을 통해 끊김 없는 위치 추적과 이동성 자료를 생성한다. 이 자료는 교통운영관리센터의 교통기록 데이터베이스에 IPv6 고유주소로 저장된다. 블랙박스를 장착한 자동차가 교통사고나 범죄에 사용된 경우에, 자동차용 블랙박스에서 회수된 코드와 IPv6주소, 교통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비교하여 검증과 인증을 통해 무결성을 확보한다. 이 포렌식 자료는 법정에서 책임소재와 판단의 증거자료로 인정받아 고도지식정보화사회에 편리하고 안전한 인간생활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채용경향: 자율주행자동차산업 관련 기업의 채용경향성 분석 (Employment Trend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Analysis of Hiring Trends of Autonomous Automobile Industry Related Companies)

  • 허성호;장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직종군에 주목하여 기업의 채용경향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직업 군 중 하나인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채용 경향을 분석하였다. 기업의 채용공고 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채용경향성을 기술 분야와 업무분야로 나누어 확인한 결과, 기술분야가 하드웨어분야의 기업이라면 인성특질과 혁신특질이 두드러지는 인재상을 요구하였다. 다음으로 업무분야가 생산직이라면 인성특질이 두드러진 인재상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분야가 관리직이라면 소통특질이 두드러진 인재상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채용준비를 하는 구직자의 입장에서 자신의 인재상 특성을 확인하고 채용경향의 적합도를 고려하여 지원하면 효율적인 취업전략을 도모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교통사고 데이터의 마이닝을 위한 연관규칙 학습기법과 서브그룹 발견기법의 비교 (Comparison of Association Rule Learning and Subgroup Discovery for Mining Traffic Accident Data)

  • 김정민;류광렬
    • 지능정보연구
    • /
    • 제21권4호
    • /
    • pp.1-16
    • /
    • 2015
  • 교통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 미래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교통 데이터 분석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교통 데이터를 이용한 마이닝 연구들은 학습된 결과를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워 분석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속성들로 표현된 교통사고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패턴을 발견하기 위해 규칙 학습 기반의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연관규칙 학습기법과 서브그룹 발견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관규칙 학습기법은 비지도 학습 기법의 하나로 데이터 내에서 동시에 많이 등장하는 아이템(item)들을 찾아 규칙의 형태로 가공해 주며, 서브그룹 발견기법은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 속성이 결론부에 나타나는 규칙을 학습하는 지도학습 기반 기법으로 일반성과 흥미도가 높은 규칙을 학습한다. 규칙 학습 시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관심 속성들을 조합한 합성 속성을 만들어 규칙을 학습할 수 있다. 규칙이 도출되고 나면 후처리 과정을 통해 중복된 규칙을 제거하고 유사한 규칙을 일반화하여 규칙들을 더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가공한다. 교통사고 데이터를 대상으로 두 기법을 적용한 결과 대상 속성을 지정하지 않고 연관규칙 학습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쉽게 알기 어려운 속성 사이의 숨겨진 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대상 속성을 지정하여 연관규칙 학습기법과 서브그룹 발견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파라미터 조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연관규칙 학습기법에 비해 서브그룹 발견기법이 흥미로운 규칙들을 더 쉽게 찾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활동기반 교통수요 모델링을 위한 투어기반 통행분석 및 보정방안 (Tour-based Personalized Trip Analysis and Calibration Method for Activity-based Traffic Demand Modelling)

  • 유예지;강희찬;유승모;오태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2-48
    • /
    • 2023
  • 자율주행기술의 발달은 점차 개인화된 통행을 유도하며, 자율주행차량으로의 전환으로 인한 도로운영 측면에서 교통 영향력은 개인차량을 이용한 수요에 의해 가장 큰 영향력을 받는다. 따라서, 교통 영향력 검토를 위해서는 개인통행특성 이해를 기반한 통행발생량 산정이 필요하다. 개인 통행특성 반영이 가능한 Activity-based model(ABM)은 개인의 모든 이동을 다루므로 통행과 통행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ABM은 실제 수요예측에서 데이터 구득문제와 같이 많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기반으로 통행간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Tour-based 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샘플조사 자료의 전수화를 위해 차량등록대수 및 인구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차량발생량 보정방안을 제시하였다. 통행발생량 분석결과, KTDB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전체통행발생량은 약 13% 높았으며, 업무통행의 경우 약 9% 차이로 합리적인 오차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인 도로운영 측면의 자율주행차량 도입에 따른 수요예측을 위해 Activity-based 모형 구축에 앞서 개인통행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Tour를 기반으로 발생량 보정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ign of Miniaturized Telemetry Module for Bi-Directional Wireless Endoscopy

  • Park, H. J.;H. W. Nam;B. S. Song;J. H. Cho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1
    • /
    • pp.494-496
    • /
    • 2002
  • A bi-directional and multi-channel wireless telemetry capsule, 11mm in diameter, is presented that can transmit video images from inside the human body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an external control unit. The proposed telemetry capsule includes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a demodulator, decoder, four LEDs, and CMOS image sensor, along with their driving circuits. The receiver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radiated from the external control unit. Next, the decoder receives the stream of control signals and interprets five of the binary digits as an address code. Thereafter, the remaining signal is interpreted as four bits of binary data. Consequently, the proposed telemetry module can demodulate external signals so as to control the behavior of the camera and four LEDs during the transmission of video images. The proposed telemetry capsule can simultaneously transmit a video signal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determining the behavior of the capsule itself. As a result,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telemetry capsule can be reduced by turning off the camera power during dead time and separately controlling the LEDs for proper illumination of the intestine.

  • PDF

무인 전기자동차의 신경회로망 조향 제어기 개발 (Development of the Neural Network Steering Controller for Unmanned electric Vehicle)

  • 손석준;김태곤;김정희;류영재;김의선;임영철;이주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81-286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a lateral guidance system of an unmanned vehicle,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of magneto-resistive sensor and magnetic fields. The model equation w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sensing data. We found that the experimental result has a negligible difference from the modeling equation result. We verified that the modeling equation can be used in the unmanned vehicle simulations. As the neural network controller acquires magnetic field values(B$\_$x/, B$\_$y/, B$\_$z/) from the three-axis, the controller outputs a steering angle. The controller uses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s of neural network. The learning pattern acquisition was obtained using computer simulation, which is more exact than human driving. The simul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order to verify the acquisition of the learning pattern, learning itself, and the adequacy of the design controller. A computer simulation of the vehicle (including vehicle dynamics and steering) was used to verify the steer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controller using the neural network. Good results were obtained. Also, the real unmanned electrical vehicle using neural network controller verified good results.

  • PDF

차량의 실내소음에 대한 음질평가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of Sound Quality of a Vehicle Interior Noise)

  • 이종규;채장범;장한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8호
    • /
    • pp.945-95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linear regression model for the sound quality index of vehicle Interior noise. For this, objective measurement data of the vehicles driving in acceleration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analysis, psychoacoustic parameters were extracted and subjec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noise and vibration expert evaluators. For the subjective evaluation, the paired comparisons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sound quality of vehicle interior noise. By the paired comparison which evaluate two pairs of vehicle interior noise, the preference was estimated. With the semantic differential and the factor analysis, it was evaluated words of two pairs which expressed appropriately the sense of evaluator about noise sourc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qualify for the vehicle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results of bot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factor regression analysis, the sound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the sense of human hearing was derived and indexed.

미래형 자율주행 자동차의 정책수립을 위한 연구 -운전자의 신뢰와 요구사항분석 중심으로- (Driver's Trust and Requirements Study for Autonomous Vehicle Policy)

  • 최남호;김효창;최종규;지용구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0-58
    • /
    • 2015
  • The research on autonomous vehicle that expected to greatly reduce accidents by driver's mistakes is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factor that affect trust in autonomous vehicles and analyze the requirements of the driver in autonomous vehicles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information and functions provided by the autonomous vehicle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prior studie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focused group interview (FGI). The results show that competency, error management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rust in autonomous vehicles and identified that driver took safety related information as high priority in autonomous vehicle. Also, it was identified that driver prefer to perform the multimedia function in autonomous vehicle environment. The study is looking forward to be the reference data for design of advanced autonomous vehicle.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drivers.

중련편성 열차를 위한 효율적인 사건기록기 운영방안 (Effective event recorder operation method for multi-coupled trainset)

  • 최권희;정병호;민평오;오용석;이종우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28-1432
    • /
    • 2007
  • One of the most important targets of transportation is to transport human and commodities to the destination safely. Railway has low risk, compared with land, ocean and flight route and it assures high security as well as high speed driving, since it runs on regular track. However, train accident may result in tragic accident due to small carelessness, so special event recorder is preferably used in order for clarity of responsibility in case of accident, maintenance of signal device and defect analysis. JRU(Juridical Recorder Unit) for ATC/ATS/ATP can be more advanced event recorder. Event recorder of KTX-I which is running now is installed one by one on each leading car and last car, and operation plan of event recorder in case of single trainset is suggested. But regarding train operation of multi-coupled trainset operation such as KTX-II, more detailed study is required for event recorder revitalization and record data process method.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operation plan used in existing event recorder, and suggests effective operation and management plan of event recorder in multi-coupled trainset such as new High Speed Train.

  • PDF

현대 패션에 표현된 Trompe l′Oeil 기법 연구 -199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rompe l′Oeil Expressed in Modern Fashion -Focused on 1990s-)

  • 조진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5호
    • /
    • pp.880-896
    • /
    • 2004
  • Trompe l'Oeil technique strategically conceived with a view to effectively realize creative ideas among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fine arts style has provided the driving force in development of fine arts and has continuously influenced development of the modem fashion pursuing unique individuality. The study is focused first on finding out how Trompe l'Oeil technique originated in connection with researching the fashion of Trompe l'Oeil and on analysing the technique of expression. The author referred to fashion magazines for designing ideas of Trompe l'Oeil represented in modem fashion in practical applications used by designers in Paris, Italy, London and New York during the 10 year period(1990-1999). The collections of data were analyzed as following: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method of Trompe l'Oeil I. Effectiveness of Layering: when two clothing are over lapped or coordinated with one another in color or style. 2. Effectiveness of Detailing: when pictures, stitch, tape, cutting, quilting and etc are used to create collar, pocket, yoke, zipper, string, shadow and etc. 3. Effectiveness of Accessories: when the image of necklace, belt, tie, tassel, badges and stars are represented by illustration or embroidery on clothing to substitute the actual existence. 4. Effectiveness of Nudity: when human body is realistically drawn and printed on cloth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