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cancer

검색결과 5,672건 처리시간 0.045초

성별 특이 소 혈청이 세포 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nder-specific Bovine Serum Supplemented Medium on Cell Culture)

  • 이동목;최문석;우경일;신유미;이기호;전용필;전태훈;최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413-420
    • /
    • 2009
  • 본 연구는 성체우의 FS, MS, C-MS를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증식과 난포의 성장과 배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세포증식은 세포수와 MTT assay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세포증식은 혈청첨가 배양액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근육위성세포의 세포증식은 MS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높은 반면 면역세포의 증식은 FBS에서 배양한 세포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난포의 성장 및 배란을 관찰한 결과 난포의 성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군간 차이를 보였으며 배란율과 비례적이었고, 배란율은 FBS와 C-MS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FBS군과 C-MS 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T3-L1 세포에서 창상치유는 FS에서 배양한 세포에서 빠른 회복을 나타냈으며, 증식은 MS에서 높게 나타났다(p<0.001). 따라서 본 결과는 세포배양 과정에서 세포에 따른 혈청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는 근거자료를 제시 하였으며, 분리 된 성별 특이 한우 혈청은 FBS의 대체 물질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Biological Activities of Licorice F1 Lines and Content Analysis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 Park, Chun-Geon;Lee, Ah Young;Lee, Jeong Hoon;Lee, Jeong Min;Park, Jun Yeon;Lee, Sang-Hoon;Choi, Ae Jin;Park, Chung Berm;Cho, Eun Ju;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137-145
    • /
    • 2014
  •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licorice F1 (Glycyrrhiza glabra ${\times}$ G. uralensis) lines (G) were investigated, revealing str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arget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cdot}OH$) radicals.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most of the licorice F1 lines scavenged DPPH and ${\cdot}OH$ by more than 80%. Gs-1, -2, and -6 can be considered good scavengers of DPPH radical and G-7 h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gainst ${\cdot}OH$ radical. In addition, licorice F1 lines exerted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scherichia coli (Gs-12, -17, and -18) and Staphylococcus aureus (Gs-3, -4, -5, -21, and -26). Moreover, Gs-2, - 20, -31, and -32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Among licorice F1 lines, Gs-25 exhibited high anti-inflammatory effects on nitric oxide produced by lipopolysaccharide- and interferon-${\gamma}$-activated RAW 264.7 cells. Furthermore, Gs-1, -12, and -20 inhibited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by more than 60%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and Gs-5, -11, -19, and -32 showed inhibitory effects against rat lens aldose reductase ($IC_{50}$ values, 1.69, 6.07, 6.12, and $4.54{\mu}g/mL$, respectively). The total content of glycyrrhizin (1), glycyrrhetinic acid (2), glabridin (3), and isoliquiritigenin (4) in licorice F1 lines was high in Gs-11, -15, and -30. The present study therefore indicated that Gs-2, -26, -31, and -32 of licorice F1 possessing strong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aldose reductase inhibitory effects may be used as a possible source material for natural health supplements in the future.

MRI 검사 시 체온상승 효과: 1.5 T vs 3.0 T (Effective of Body Temperature Increasing during Brain MRI scan)

  • 김명성;이종웅;정재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9-54
    • /
    • 2017
  • MRI장비에서 자장의 세기가 증가 하게 되면 사용하는 RF(Radiofrequency) pulse 또한 증가 하게 되고 이는 MRI 장비 안에 놓인 인체의 체온 상승을 증가 시키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국소부위에서의 열 발생을 알아보고자 젤라틴과 pork sample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12월 21일부터 2015년 8월 14일까지 1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3대의 MRI(1.5T- 1대, 3.0T- 2대)장비를 사용하여 뇌 또는 간 부위에서 일상적으로 쓰이는 sequence 프로토콜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검사하였다. 검사 전 후 체온 측정은 적외선 타입의 귀 체온계(Braun社)를 사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심리적 상태는 직접 설문을 통하여 파악했다. 임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체온 상승 결과를 보면 3.0T가 1.5T에서보다 평균 $0.15^{\circ}C$정도 높았고(p<0.012) 3.0T내 에서도 Philips제조회사에서 보다 GE社 MRI장비에서 $0.14^{\circ}C$정도 더 높았다. 심인성 상태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MRI검사 진행 중 나는 소리에 대한 민감성 정도와 체온상승과의 관계는 무관하였고, 폐쇄성에 대한 응답이 긴장감으로 느꼈다고 대답하는 사람일수록 체온이 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장의 세기가 높은 MRI장비일수록 RF 반응물질(물, 금속물질)에 의한 화상이나 체온상승으로 인한 위험한 상황발생(체온조절 장해 환자의 경우 고온 손상, 과다 땀 발생으로 인한 탈진)이 나타나지 않도록 환자의 상태를 좀 더 예의 주시하며 MRI검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겠다. 높은 자기장을 기반으로 한 MRI장비는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 흡수율인 SAR를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므로 앞으로는 RF 코일 성능을 향상하거나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미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자기장 이외의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모쥐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에 미치는 커큐민의 보호 효과 (Beneficial Effect of Curcumin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in Hairless Rat)

  • 전희영;김정기;김완기;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86-690
    • /
    • 2008
  • In vivo에서 8주간의 UVB 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대한 커큐민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 결과, UVB에 의해 유도되는 경표피 수분손실량의 증가와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의 증식이 커큐민의 섭취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여 커큐민이 피부 장벽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장벽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큐민의 피부 장벽기능 보호 작용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주를 이용하여 피부 장벽 조절인자에 대한 커큐민의 작용을 평가한 결과 커큐민은 filaggrin과 SPT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커큐민이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하고 세라마이드 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커큐민이 피부 장벽 보호 또는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식품 소재로써 커큐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간 보고된 커큐민의 낮은 bioavailability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임상에서 유효한 용량을 설정하기 위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구절초에서 분리한 Flavonoids의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 Flavonoids from the Whole Plan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Kitamura)

  • 권현숙;하태정;황선우;진영민;남상해;박기훈;양민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46-749
    • /
    • 2006
  • 구절초 전초의 chloroform 분획물로부터 2종의 flavonoid화합물을 분리하여 NMR을 통해서 구조를 확인한 결과, luteolin (1)과 acacetin (2)으로 구조 동정되었다. 이들의 화합물 중에서 luteolin (1)은 구절초에서 처음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sulforhodamine B (SRB) assay법에 따라 인체암세포주인, HCT116 (결장암) , UO-31 (신장암), PC-3 (전립선암) 와 A549 (폐암)등에 대한 in vitro에서의 세포독성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acacetin (2)이 HCT116 $(IC_{50}\;2.44\;{\mu}g/ml)$과 UO-31 $(IC_{50}\;2.89\;{\mu}g/ml)$에서 유의할만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대장암과 선종 병변에서 mTOR 신호 단백질의 면역조직화학 염색성 평가 (Evaluation of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Pattern of the mTOR Signaling Proteins in Colorectal Cancers and Adenoma Lesions)

  • 김진목;이현욱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70-476
    • /
    • 2017
  • mTOR 신호전달 단백질의 변화는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 관찰 되었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은 최근에 암 치료제에 대한 새롭고 흥미로운 표적이 되고 있다. 우리는 대장암과 선종 환자의 mTOR 세포신호의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대장암과 선종의 세포신호 단백질 성분인 mTOR, p70-S6K, S6, 4EBP1 발현을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는 모두 100개의 예를 악성(Colorectal Adenocarcinoma, CRAC) 40건, 고등급 선종(Adenoma with High grade intraepithelial neoplasms, HIN) 30건, 저등급 선종(Adenoma with Low-grade intraepithelial neoplasms, LIN) 30건으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p-mTOR의 발현률은 LIN 7%, HIN 30%, CRAC 75%였고 p-S6의 발현률 또한 LIN 10%, HIN 27%, CRAC 55%였다. p-mTOR, p-S6의 발현과 선종-선암 연속성은 중요한 상관관계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흥미롭게도 p-S6 발현률은 진행암보다 초기암에서 더 높았다.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성옥소($^{131}I$) 치료로 인한 림프구의 자매염색분체교환(SCE) 빈도증가 (Increased Frequency of Sister Chromatid Exchanges After $^{131}I$ Therapy in Lymphocytes of Thyroid Cancer Patients)

  • 최근희;범희승;김광윤;김지열;윤정한;제갈영종;김재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8-122
    • /
    • 1993
  • 전이성 분화갑상선암을 치료할 목적으로 사용된 $^{131}I$에 의한 염색체 손상여부를 검정하기 위하여 치료 전후의 자매염색분체교환(SCE)의 빈도 및 말초혈액의 백혈구수를 정상대조군과 환자군에서 조사하였다. 1) 정상인으로 설정한 대조군에 있어서의 자매염색분체교환 빈도수가 $3.8{\pm}0.4$인데 비하여 $^{131}I$ 투여전의 SCE 빈도가 $4.2{\pm}0.7$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7). 2) $^{131}I$ 투여후 2일째 SCE 빈도는 $7.9{\pm}0.8$으로 치료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001), 9일째에는 $6.4{\pm}0.6$으로 2일째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02), 치료전에 비해서는 아직도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3) 같은 기간동안 백혈구의 수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131}I$ 치료후 염색분체의 손상은 일어나며, 서서히 회복되나 1주일 이내에는 완전한 회복을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이온화 방사선 및 염화수은(II)에 의한 자궁경부암 세포의 DNA 손상 평가 (Evaluation of DNA Damage by Mercury Chloride (II) and Ionizing Radiation in HeLa Cells)

  • 우현정;김지향;안토니나 체불스카바실레프스카;김진규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46-52
    • /
    • 2006
  • 세포에 미치는 염화수은(II)과 이온화 방사선의 영향과 수은 처리 전 후 방사선 조사 시 그 상호 작용에 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염화수은(II)의 독성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의 자궁암 세포에 농도별로 염화수은(II)을 처리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3가지 농도(1,0. 1,0. $0.01\;{\mu}M$)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미 $0.1\;{\mu}M$에서 약 73%의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화수은(II)과 방사선의 단독처리 시 DNA의 손상 정도에 비해 복합처리 시의 DNA손상 정도가 $2\sim4$배 정도 확연히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방사선 후 수은 처리군은 DNA손상의 정도가 다른 처리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이미 기존의 보문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수은의 DNA수복에 관련되어 있는 Fpg protein에 미치는 영향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미 방사선에 의해 산화적 손상을 입은 DNA의 수복 기작을 수은이 방해하여 좀 더 높은 손상을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감염되지 않은 자궁 경부 이형성증에서 p53 및 Ki-67의 발현 (Expression of p53 and Ki-67 in Cervical Dysplasia with Human Papilloma Virus Infection or Non-infection)

  • 최숙경;김태전;홍승복;이훈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8-184
    • /
    • 2004
  •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overall evaluation of tumor protein (p53) and cell growth marker (Ki-67) in their functions as carcinogenic factors in both a HPV-infected group and in a HPV-noninfected group with the precancerous dysplasia of uterine cervix. Histological grades were determined by the H&E staining and the expression level of p53 and Ki-67 were tested by the immunohistochemistry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the total of 66 cases, p53 (+) was observed in 19 cases (29.0%) from the mild grade group, 22 cases (33.0%) from the moderate grade group, and 19 cases (29.0%) from the severe grade group. The values correlate with the increase of dysplasia intensity in HPV-noninfected group an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HPV-infected group. Among a total of 66 cases, the mitotic index of Ki-67 (+) were observed in 19 cases (29.0%) from the mild grade group, 22 cases (33.0%) from the moderate grade group, and 19 cases (29.0%) from the severe grade group. The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gainst dysplasia intensity (p<0.05),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HPV infection. After cross comparing the statistical parameters of p53 and ki-67 in their significance, p53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Ki-67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Ki-67 (p<0.05). Taken together, tumor protein (p53) and an index of Ki-67 observed in cervical dysplasia and in HPV related dysplasia of cervix uterine did not have any notable significance with HPV infection. The incidence rate of p53, however, had som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ysplasia while Ki-67 had no particular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p53 and Ki-67 can be considered as effective diagnostic markers in predicting the disease progression of dysplasia to cervical cancer.

  • PDF

시멘트 수화에 따른 6가 크롬의 고정화 특성 (Binding of the Hexavalent Chromium Ions in the Process of Cement Hydration)

  • 정민선;황준필;홍성인;안기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88-94
    • /
    • 2013
  • 시멘트 내 6가 크롬은 피부질환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한 인체에 유해한 이온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시멘트 내 6가 크롬의 정량적 분석을 하고자 시멘트 및 시멘트 경화체 내 6가 크롬의 고정화에 대해 평가하였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3종과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퓸을 사용하여 수용성 및 산가용성 6가 크롬을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시멘트 내 수용성 6가 크롬의 농도는 10.5-18.9 mg/kg-cement 범위였으며 혼화재료 내 수용성 6가 크롬의 양은 매우 적게 측정되었다. 시멘트 내 산가용성 6가 크롬의 농도는 172.4-318.2 mg/kg-cement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수용성 6가 크롬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러나 크롬의 pH에 의존적인 용해 특성에 따라 용매의 pH가 저감된다고 하여 산가용성 6가 크롬의 농도가 항상 크게 측정되지는 않았다. 시멘트 수화 후 수용성 6가 크롬은 2.0 mg/kg-cement 정도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크롬산-에트링게이트 생성에 의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