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Library Management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1초

공공도서관 지식경영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Management Model in Public Libraries)

  • 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9-240
    • /
    • 2002
  • 도서관은 인류문화 유산을 집대성하여 계승하고 현재의 모든 지식정보자원을 기반으로 미래사회를 개척할 수 있는 전략과 전술,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모든 분야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곳이다. 더군다나 공공도서관은 공중의 지식정보와 이용 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을 증진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를 도서관기능과 환경의 변화 측면에서 다루었고 디지털 도서관의 등장과 그 의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새로운 공공도서관문화 및 조직구조 창출, 도서관 정보조직구조의 변화를 다루었다. 공공도서관의 현황분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공공도서관에서 지식경영의 필요성과 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지식경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지식경영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성과와 한계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Library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4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도서관경영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성과와 한계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문헌정보학분야의 5개 학술지를 대상으로 2001에서 2010까지 발표된 총 2,56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경영논문의 비중은 전체의 21.8%(560편)로 나타났다. 도서관경영분야의 하위영역 중에서 연구성과가 높은 분야는 경영일반, 정책과 제도, 인사관리, 측정과 평가인 반면에 조직 및 예산관리, 건물과 시설, 마케팅과 홍보분야의 연구성과는 매우 미약하였다.

국내외 공공도서관 직원배치기준의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Staffing Standards for Public Library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3-95
    • /
    • 2011
  •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성공과 실패는 인적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에 달려 있다. 그것은 공공도서관의 직원이 운영과 서비스 제공에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보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우수한 직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국제기구, 주요 선진국, 한국의 공공도서관 직원기준과 지침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은 후속연구인 최적 배치기준 제시의 중요한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동향과 과제 - 2014~2020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Trends and Tasks of Library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Focused on Academic Papers 2014 ~ 2020)

  • 이용재;김지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09-23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서관경영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14년에 수행된 선행연구를 이은 후속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 등재 4종의 학회지에 2014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문헌정보학 논문 중 도서관경영 분야 논문 323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선행연구에서 도서관경영 논문 편수가 연간 36건으로 나타난 것에 비해, 연간 46건으로 조사되어 양적인 증가를 보였다. 세부영역별 연구동향 분석에서, '경영일반', '인사관리', '측정과 평가'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어진 반면,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것처럼 '도서관마케팅', '조직관리', '예산관리' 분야 연구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정책 추진을 위한 행정체계 조직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Public Administration System for Library Policy Implementation)

  • 조현양;이재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5-132
    • /
    • 2005
  • 도서관의 기능은 단순히 문화유산의 보고 및 문화발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평생학습과 인적자원개발이라는 종합적 기능을 포괄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과거의 교육부와는 달리 인적자원과 지적자원을 종합 개발$\cdot$관리하는 법적인 기반과 리더쉽을 확보하고 있다. 도서관이 인적자원개발과 평생학습의 거점으로 발전하려면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인적자원부로 도서관정책을 일원화할 필요성이 있다. 국가인적자원개발 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도서관업무를 직접 관장함으로써 체계적인 도서관정책 집행이 가능하며, 도서관 간 협력이 용이할 뿐 아니라. 국가 및 지역 인적자원개발 정책과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 PDF

KSLA 연구논문 - 박물관내 도서관 운영 현황 및 전문도서관으로의 발전 전략 (Analysis on the Library Management in Museum and Development Strategy toward Special Library)

  • 이미영
    • KSLA Bulletin
    • /
    • 통권2호
    • /
    • pp.28-42
    • /
    • 2010
  • 박물관내 도서관은 인력, 예산, 조직내 인식 부족 등으로 본연의 기능을 전문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였다. 박물관내 도서관이 전문도서관으로서 보다 발전하기 위한 전략을 해외사례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관리자에서 수집가로서 사서의 역할 변화, 특성화된 컬렉션 확대, 기관 아카이브의 기능 수행, 도서관간 협력 네트워킹 구축 등을 발전전략으로 제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지표와 성과의 인과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ause and Effect of Assessment Index of Intellectual Capital and Performance of the Public Library)

  • 박성우;장우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9-307
    • /
    • 2011
  • 공공도서관의 경쟁우위와 지속성 유지를 위한 내적 원동력은 지적자본이다. 지적자본은 내부구성원의 역량, 구성원들이 형성하는 조직구조, 이용자 및 이해관계자의 협력으로 맺어지는 인적자본, 구조자본, 사회자본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자본 구성요소인 인적자본, 구조자본, 사회자본에 관한 배경이론을 토대로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동시에 실험적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적자본의 배경이론을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지적자본의 해석과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지적자본 구성요소와 성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최적화된 지적자본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시민과 함께 하는 기록화 사업 :파주중앙도서관 사례 (Collaborative Archiving Project with Citizens: A Case Study on the Paju Central Library)

  • 윤명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5-173
    • /
    • 2023
  • 파주중앙도서관은 2017년부터 '시민채록단'을 구성하여 파주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사람들의 생애를 구술 채록하는 '휴먼 in Paju'를 실시하였다. 이 성과를 토대로 전국 최초로 도서관에 '기록관리팀'을 신설하였고 이후 조례를 제정하고 민·관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면서, 기록화 사업의 지속적 조건을 갖추었다. 또한, 모든 단계에서 공론화와 협업을 중시하여 파주시 전체에 기록화 사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시민 스스로 기록화 사업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를 만들었다. 이 같은 기초자치단체 도서관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 운영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립세종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a Policy Information Mentoring Management Model: Focusing on National Sejong Library)

  • 노영희;곽승진;강정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47-27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각종 정책정보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와 노하우, 아이디어 등을 공유하고 상담할 수 있는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 운영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문헌분석, 국내외 멘토링프로그램 운영사례분석, 그리고 정책정보 수요자 및 현 정책정보멘토들로부터의 전문가 자문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 운영모형을 인적 구성요소와 내용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제안하고 있다. 인적구성요소로는 멘토, 멘티, 결연관리자, 슈퍼바이저를 제안하고 있고, 내용적 구성요소로는 정책정보멘토링 주제분야, 프로그램, 세부활동내용 등을 제안하고 있다.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 Special Library of Local Autonomous Entity Research Institution)

  • 이세라;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3-94
    • /
    • 2019
  • 이 연구는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하여 실제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을 파악하고 전문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연구원 소속 6개의 전문도서관 이용자 111명을 대상으로 LibQUAL+을 기반으로 수정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력품질이 공간품질과 정보품질 보다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서비스 품질 하위변수 중에서는 인력품질의 서비스 태도, 공간품질의 공간 편의성, 정보품질의 정보 유용성이 이용자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결과로 자료부족, 디지털 자료의 비활성화, 도서관 공간개념의 환경, 타 기관과의 자료공유 비활성화, 인력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