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b Port 경쟁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19초

부산항의 Hub-Port화와 "한.일해협 경제권" (A Study on Developing Bussn Port into A Northeast Asian Hub-Port & "the Korea-Japan Strait Economic Zone")

  • 박창식;김청열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1-292
    • /
    • 2009
  • 1990년대 이후 세계경제흐름의 한 가지 특징으로 개방화 및 지역경제통합의 확대를 꼽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세계경제권은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하는 유럽경제권,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아메리카 경제권, 그리고 최근에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을 중심으로한 동북아 경제권이라는 삼극체제로 재편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경제의 조류와 동북아의 현실 그리고 사상 최대의 항만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중국과 자국항만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 획기적인 항만정책을 도입하고 있는 일본의 움직임 상황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선도적, 능동적 대책마련이 절실하고 시급한 과제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의 방법을 통해서 먼저 Hub-Port의 개념과 조건을 제시하고, 동북아 경쟁국의 Hub-Port 발전전략을 논술하며, 이를 위해서 부산항과 일본의 혼슈(시모노세키항)와 규수(키타규수항) 사이에 위치하는 한 일해협경제권의 발전 잠재력과 전략적 협력을 통한 한 일 공동 발전을 모색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 PDF

물류중심지 광양항의 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Gwangyang Port as Logistics Hub)

  • 이광배;모수원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3-91
    • /
    • 2005
  • The goal of the project on developing Korea as the logistics hub of Northeast Asia is to develop Busan Port and Gwangyang Port as international logistics centers by promoting and attracting more warehouses. As is well known, there is intense competition among ports located in major economic blocs to become the regional logistics hub. Gwangyang is second to none in terms of being favorably located at the center of Northeast Asia. Gwangyang Port, however, lacked in SOC construction and faced the poor government support politics hub of Northeast Asia. They are i) expanding the logistics infrastructuressuch as expressway and railroads between Yeosu Airport and Gwangyang Port, ii) Setting up new port hinterland and industrial complex in the vicinity of Gwangyang Port iii) securing high value-added fixed cargo traffic, and iv) improving laws and institutions.

  • PDF

오일허브 항만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ompetitiveness of Oil Hub Port)

  • 백인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195-204
    • /
    • 2010
  • As the throughout of transshipment oil cargo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the importance and competition of the oil hub port has also been increas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he factors influe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oil hub port based on the specialists' opinions. For doing this, the evaluating factors were obtained from both previous studies and brainstorming of the professionals from the oil hub port. These were divided into groups by the ‘KJ method' according to 5 criteria and were made into a 3 level hierarchy structure. The ‘AHP method' identifi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and trends from the preferences of the specialists. This study present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oil hub port.

IPA분석을 통한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 경쟁요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etitive Factor of Global Logistics Hub Cities Using 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Focusing on the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 이명화;신미나;김운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05-219
    • /
    • 2024
  • 2000년대 이후 심화된 글로벌 물류허브 선점 경쟁에서 인천광역시가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로 성장하기 위한 차별화된 경쟁요인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사례연구를 통해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의 경쟁요인을 도출한 뒤, IPA분석을 통해 인천광역시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로 성장하기 위한 개선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글로벌 수준의 물류 인프라 구축과 세계 도시 간의 물류 네트워크 구축은 주요 경쟁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인천광역시는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중심으로 수도권역을 배후지로 둔 물류 허브도시이나, 콜드체인, 전자상거래 화물 등 특수 화물을 위한 전용 인프라를 통한 신규 화물 창출과 복합운송 시스템 구축으로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은 주요 개선할 점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스마트화, 친환경화와 관련하여 인천광역시의 준비가 미흡하여 향후 물류 서비스 지원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물류 관련 정보 플랫폼의 구축, 물류산업 전반적인 탈탄소화 대응 등의 노력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의 경쟁력 요인과 인천광역시의 현 위치를 IPA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향후 인천광역시의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동북아 중심항만 구축을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발 및 운영전략 (Strategies for Container Terminal Development and Operation for the Hub port in Northeast Asia)

  • 이철영;양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21세기에 대비한 지능형 통합항만관리
    • /
    • pp.271-285
    • /
    • 1998
  •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Korea port, especially Busan to develope into a viable transhipment center and/or Hub port as the articulation points between mainline and feeder nets. To tackle this goal, the authors clarify the requirements for Korea port which will be critical in determining its position as Hub through the careful analysis on competitiveness, environmental impact, port policy and capacity, transhipment traffic and inherent ablity to generate traffic.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Coping with increasing container volumes, new investment is sustainedly necessary to increase the capacity and inherent ability of container port and create economies of scale. Moreover, increasing port capacity will increase the potential for the Korea port's inclusion into mainline rather than feeder networks. (2) Considering an increasing awareness of need for customer-oriented option s and service quality rather than simply a reliance on infrastructure-led efficiency, privatization of one sort or another and corporation of port have been key strategies in achieving greater efficiency in Korea containerport.

  • PDF

동북아 중심항만 구축을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발 및 운영전략 (Strategies for Container Terminal Development and Operation for the Hub Port in Northeast Asia)

  • 이철영;최재수;박진수;채양범;신창훈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1-176
    • /
    • 1998
  •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Korea port, especially Busan to develope into a viable transhipment center and/or Hub port as the articulation points between mainline and feeder nets. To tackle this goal, the authors clarify the requirements for Korea port which will be critical in determining its position as Hub trough the careful analysis on competitiveness, environmental impact, port policy and capacity, transhipment traffic and inherent ability to generate traffic.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Coping with increasing container volumes, new investment is sustainedly necessary to increase the capacity and inherent ability of container port and create economies of scale. Moreover, increasing port capacity will increase the potential for the Korea port's inclusion into mainline rather than feeder networks. (2) Considering an increasing awareness of need for customer-oriented operations and service quality rather than simply a reliance on infrastructure-led efficiency, privatization of one sort or another and corporation of port have been key strategies in achieving greater efficiency in Korea containerport.

  • PDF

중국 물류거점도시의 경쟁력 분석 (A Competitiveness Analysis of the Logistic Hub Cities in China)

  • 이명헌;이준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79
    • /
    • 2006
  • 본 논문은 중국의 주요 물류거점도시들의 경쟁력을 공급측면의 기술적 효율성과 교통인프라의 암묵가격, 수요측면에서는 지역총생산 또는 수출입총액을 각각 가중치로 사용하여 비교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공급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대형도시이며 시장지향적인 도시들이 기술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반면에 교통인프라 투자의 기회비용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청도, 영파는 기존의 물류도시임에도 불구하고 물류인프라의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경제학적 비용으로 추가적인 물류인프라 건설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향후의 발전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수요요인까지 동시에 고려하여 수요요인에 대한 가중치별 종합경쟁력을 측정한 결과 상해, 심천, 광주 등의 도시가 물류거점도시로서의 종합적인 경쟁력에 있어서 상당히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 PDF

부산국제금융센터 해양특성화 개발방안 연구 (A Study on Maritime-Specialized Development of Busan International Finance Center)

  • 조재호;이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45-454
    • /
    • 2011
  • 정부의 금융중심지 조성과 발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산문현혁신지구에 새롭게 조성될 금융중심지는 기존 금융중심지와 차별화되어 해양특성을 반영한 금융집적지로서 비즈니스 중심지와 연계될 때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금융중심지 개념, 유형 성립여건, 경쟁력 및 해외 사례고찰의 시사점을 통해 개발여건과 관련계획을 분석하여 부산국제금융센터의 국제적 경쟁력은 시민공원 및 북항재개발지구가 연계된 해양특성화에 있음을 제시하고, 관련된 육성 프로그램의 보완방향, 물리적 개발방향, 전략 및 지침을 포함한 개발방안을 제시한다.

중심항만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ub Port Development Strategy)

  • 한철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1-178
    • /
    • 2003
  • 세계적으로 항만간 경쟁이 전방위로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국은 자국 항만을 중심항만으로 육성하려고 대대적인 항만개발에 나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중심항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i) 대형항만에 물동량이 집중되는 항만집중화 현상이 일어나는가 ii) 과연 대형항만은 소형항만에 비해 물동량 증가속도가 빠른가를 검토함으로써 중심항만 개발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허쉬만-허핀달지수를 적용하여 아시아 항만의 항만집중도를 분석하였고, 또한 글로벌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컨테이너 항만규모와 성장간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항만집중도에 있어서 아시아 특히 동북아지역은 항만물동량의 분산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항만규모와 성장간 관계의 경우 글로벌 차원에서는 대형항만일수록 물동랑 증가율이 소형항만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아시아지역은 소형항만일수록 물동량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