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b Network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2초

기업의 수익 구조 변화와 기업 형태의 네트워크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Company Revenue Structure And The Networking Between Corporate Structures)

  • 최원영;이춘열;전성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309-322
    • /
    • 2002
  • 본 연구는 증권사와 중대형 병원, 그리고 제조 및 유통 기업의 기능상의 해체와 재결합 과정을 통하여 수익 구조가 변화하고 있음을 살펴 본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가상사회, 정보중개업자로 거듭나는과정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를 슈프라 헙(Supra Hub) 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러한 세가지 기업군(금응, 의료, 제조 및 유통)에 대하여 현재의 수익 구조가 갖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고 바람직한 수익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버트(1992)의 네트워크 조직 이론을 원용하여 미래의 기업 형태인 슈프라 헙(Supra Hub)을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미래의 기업 네트워크는 중첩되지 않는 커뮤니티와의 접촉 기회를 최대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따라서 각 업종을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들을 다시 연결하는, 즉 업종별 헙(hub) 형태의 네트워크를 다시 연결하는 헙(hub)의 헙(hub) 형태의 커뮤니티의 태동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공급사슬 통합을 위한 웹기반 물류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A Web-based DSS for Logistics of Supply Chain Integration)

  • 이호창;김민용
    • 경영과학
    • /
    • 제18권2호
    • /
    • pp.39-60
    • /
    • 2001
  • This Paper deals with a collaborative decision making procedure of web-based DSS for supply chain management (SCM). The seemingly autonomous DSS dedicated to each of mutually exclusive prob1em domains forms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operates each other for better SCM decision making. We a1so propose a hub-spoke information sharing model for the DSS network. In the hub-spoke model, an information hub at the center facilitat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DSS\\`s and controls the conversations defined by the series of XML messages between agents of DSS. A product ordering scenario where supply decision is triggered upon customer order is used to demonstrate the SCM decision procedure through a collaboration of the web-based DSS.

  • PDF

척도 없는 네트워크를 위한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 (A Graph Layout Algorithm for Scale-free Network)

  • 조용만;강태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4권5_6호
    • /
    • pp.202-213
    • /
    • 2007
  • 네트워크는 공학이나 자연과학은 물론이고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를 연구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되는 모델이다. 이런 네트워크를 좀 더 쉽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각적으로 네트워크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그래프 레이아웃 연구는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 요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척도 없는(Scale-free) 네트워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복잡한 현상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이 네트워크의 특징은 링크의 수(Degree)가 멱함수(power law) 분포를 보이고, 다수의 링크를 가지는 허브가 존재함이 알려졌다. 따라서 척도 없는 네트워크에서는 허브를 시각적으로 잘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기존의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은 클러스터를 잘 표현하는 정도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를 잘 표현하는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에서 허브들 간에 작용하는 허브성 척력이 거리에 반비례하고, 허브들의 degree가 a배 증가하면, 허브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의 크기는 ${\alpha}^{\gamma}({\gamma}$는 연결선 지수)배가 된다. 또한, 전체 노드수와 전체 링크수에 따라 적용되는 힘의 크기를 조정하는 계수를 두어서 네트워크의 규모에 관계없이 허브성 척력이 적용되는 특성이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이 허브를 잘 표현하는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인지를 기존의 방식과 실험을 통해서 비교하였다. 실험의 절차는 먼저 네트워크에 허브가 존재하는지를 식별한다. 허브의 존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은 연결선 지수를 확인하고, 연결선 지수의 값이 2와 3사이에 있으면 허브가 존재하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로 판단한다. 다음은 이 네트워크의 레이아웃 작성에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 결과, 제안한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이 기존의 Noack등의 클러스터중심의 알고리즘에 비해서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허브를 확실히 잘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otential biomarkers and signaling pathways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primary salivary gland carcinoma: a bioinformatics study

  • Bayat, Zeynab;Ahmadi-Motamayel, Fatemeh;Salimi Parsa, Mohadeseh;Taherkhani, Amir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9권4호
    • /
    • pp.42.1-42.17
    • /
    • 2021
  • Salivary gland carcinoma (SGC) is rare cancer, constituting 6% of neoplasms in the head and neck area. The most responsible genes and pathways involved in the pathology of this disorder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We aimed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the most critical hub genes, transcription factors, signaling pathways, and biological processes (BPs)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primary SGC. The mRNA dataset GSE153283 in the Gene Expression Omnibus database was re-analyzed for determining DEGs in cancer tissue of patients with primary SGC compared to the adjacent normal tissue (adjusted p-value < 0.001; |Log2 fold change| > 1). A protein interaction map (PIM) was built, and the main modules within the network were identified and focused on the different pathways and BP analyses. The hub genes of PIM were discovered, and their associated gene regulatory network was built to determine the master regulator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primary SGC. A total of 137 genes were found to b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primary SGC. The most significant pathways and BPs that were deregulated in the primary disease condi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cell cycle and fibroblast proliferation procedures. TP53, EGF, FN1, NOTCH1, EZH2, COL1A1, SPP1, CDKN2A, WNT5A, PDGFRB, CCNB1, and H2AFX were demonstrated to be the most critical genes linked with the primary SGC. SPIB, FOXM1, and POLR2A significantly regulate all the hub genes. This study illustrated several hub genes and their master regulators that might be appropriate targets for the therapeutic aims of primary SGC.

Mechanism of Wenshen Xuanbi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based on network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 Hankun You;Siyuan Song;Deren Liu;Tongsen Ren;Song Jiang Yin;Peng Wu;Jun Ma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8권1호
    • /
    • pp.59-72
    • /
    • 2024
  •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Wenshen Xuanbi Decoction (WSXB) in treating osteoarthritis (OA) via network pharmacology, bioinformatics analysis,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The active components and prediction targets of WSXB were obtained from the TCMSP database and Swiss Target Prediction website, respectively. OA-related genes were retrieved from GeneCards and OMIM databases. Protein-protein interaction and functional enrichment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ing in the construction of the Herb-Component-Target network. In addition, differential genes of OA were obtained from the GEO database to verify the potential mechanism of WSXB in OA treatment. Subsequently, potential active components were subjected to molecular verification with the hub targets. Finally, we selected the most crucial hub targets and pathways for experimental verification in vitro. The active components in the study included quercetin, linolenic acid, methyl linoleate, isobergapten, and beta-sitosterol. AKT1, tumor necrosis factor (TNF), interleukin (IL)-6, GAPDH, and CTNNB1 were identified as the most crucial hub targets. Molecular docking revealed that the active components and hub targets exhibited strong binding energy. Experimental verification demonstrated that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IL-6, IL-17, and TNF in the WSXB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KOA group (p < 0.05). WSXB exhibits a chondroprotective effect on OA and delays disease progression. The mechanism is potentially related to the suppression of IL-17 and TNF signaling pathways and the down-regulation of IL-6.

허브 네트워크에서의 장거리 공중 전술 통신을 위한 반복 정렬 기반의 자원 스케줄링 기법 (A Resource Scheduling Based on Iterative Sorting for Long-Distance Airborne Tactical Communication in Hub Network)

  • 이경훈;이동훈;이대홍;정성진;최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12호
    • /
    • pp.1250-126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허브 네트워크 기반의 장거리 공중 전술 통신을 위한 새로운 자원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는 네트워크 중심전 (NCW,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변화하는 현대전의 흐름에 맞추어 공용데이터링크 (CDL, Common Data Link)의 전송속도 및 네트워킹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우리 군도 자립적인 차세대 대용량 CDL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CDL의 대표적 운용 구조인 허브 네트워크에서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다수의 UAV (Unmanned Aerial Vehicle)들과 대용량의 영상 전술 정보를 동시 다발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hybrid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UAV 별 상이한 왕복 시간 지연 (RTT, Round-Trip Time) 및 트래픽 크기로 인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는 UAV 간 유휴 시간 자원이 발생하거나 불필요한 패킷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장거리 운용 시 허브 네트워크의 자원 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AV 별 발생하는 RTT와 트래픽 크기를 기반으로 하는 반복적 정렬 알고리즘을 통해 UAV의 시간/주파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 기법이 낮은 복잡도로 데이터 처리율과 패킷 지연 측면의 성능 향상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한중간 해상화물의 내륙 운송 네트워크 분석(중국 동부연안지역 항만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Inland Transport Network of Marine Cargo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Eastern Coastal Ports in China)

  • 이윤미;유재균;한지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9-1595
    • /
    • 2010
  • China has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and burgeoning trade since it began economic reforms and an opening policy. With this the amount of marine cargoes between Korea and China had been increased Recently this increasing rate of cargoes, the development of the Yellow Sea Sub-Region and the change of the Northeast Asian logistics network have acted as important factors of Korea's strategy to be the Northeast Asian logistics hub. This paper analyzes China's inland transport network to offer basic understanding on transport and logistics network in China. Therefore, the outcomes of this paper c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further transport and logistics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and to developing a more realistic plan to complete Korea's Northeast Asia logistics hub strategy.

  • PDF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 분석 방법론 (A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Network Connectivity Improvement for Transport Hubs)

  • 박준식;강성철;김거중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67-17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노드의 연계성 산출 모형을 사용하여 공급 연계성과 체감 연계성을 정의하였고,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범위와 분석 대상 노드 설정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 분석 과정을 체계화하였으며, 연계성 개선사업의 효과평가 방법 및 기준을 제시하였다. 방법론을 사례 연구에 적용한 결과 적절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전국 도로 네트워크에 실제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결과 값들이 어느 정도 축적된 이후에는 네트워크 연계성의 서비스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다단 미세 치형 허브기어의 프레스 성형기술개발 (Development of Press Forming Technology for the Multistage Fine Tooth Hub Gear)

  • 김동환;고대철;이상호;변현상;김병민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4-51
    • /
    • 2006
  • This paper deals with the aspects of die design for the multistage fine tooth hub gear in the cold forging process. In order to manufacture the cold forged product for the precision hub gear used as the ARD 370 system of bicycle, it examines the influences of different designs on the metal flow through experiments and FE-simulation. To find the combination of design parameters which minimize the damage value, the low gear length, upper gear length and inner diameter as design parameters are considered. An orthogonal fraction factorial experiment is employed to study the influence of each parameter on the objective function or characteristics. The optimal punch shape of fine tooth hub gear is designed using the results of FE-simulation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verify the optimal punch shape, the experiments of the cold forging of the hub gear are executed.

다단 미세 치형 허브 기어의 프레스 성형기술개발 (Development of Press Forming Technology for the Multistage Fine Tooth Hub Gear)

  • 김동환;이정민;이상호;변현상;김병민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9-772
    • /
    • 2005
  • This paper deals with the aspects of die design for the multistage fine tooth hub gear in the cold forging process. In order to manufacture the cold forged product fur the precision hub gear used as the ARD 370 system of bicycle, it examines the influences of different designs on the metal flow through experiments and FE-simulation. To find the combination of design parameters which minimize the damage value, the low gear length, upper gear length and inner diameter as design parameters are considered. An orthogonal fraction factorial experiment is employed to study the influence of each parameter on the objective function or characteristics. The optimal punch shape of fine tooth hub gear is designed using the results of FE-simulation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verify the optimal punch shape, the experiments of the cold forging of the hub gear are execu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