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b Network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초

Prediction of hub genes of Alzheimer's disease using a protein interaction network and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 Wee, Jia Jin;Kumar, Suresh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8권4호
    • /
    • pp.39.1-39.8
    • /
    • 2020
  • Alzheimer's disease (AD) is a chronic, progressive brain disorder that slowly destroys affected individuals' memory and reasoning faculties, and consequently, their ability to perform the simplest task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ub genes of AD. Proteins interact with other proteins and non-protein molecules, and these interac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protein function. Computational methods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biological problems, in particular, network analyses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s. Through a protein network analysis, we identified the following top 10 hub genes associated with AD: PTGER3, C3AR1, NPY, ADCY2, CXCL12, CCR5, MTNR1A, CNR2, GRM2, and CXCL8. Through gene enrichment, it was identified that most gene functions could be classified as integral to the plasma membrane, G-protein coupled receptor activity, and cell communication under gene ontology, as well as involvement in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Based on the convergent functional genomics ranking, the prioritized genes were NPY, CXCL12, CCR5, and CNR2.

단일연결 제약하의 설비입지를 고려한 망설계 문제의 쌍대기반 해법 (A dual based heuristic for the hub location and network design problem with single assignment constraint)

  • 윤문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7-84
    • /
    • 2000
  • In this paper, we address a network design problem including the decision of hub facility locatiions which is typically found in a communicatio and a transportation network design studies. Due to the administrative and the geographical restrictions, it is common to assume that each user should be assigned to only one hub facility. To construct such a network, three types of network costs should be considered: the fixed costs of establishing the hubs and the arcs in the network, and the variable costs associated with transversing the network. The complex problem is formulated as a mixed IP embedding a multicommodity flow problem. Exploiting its special structure, a dual-based heuristic is then developed, which yields near-optimal design plans.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heuristic is an effective way to solve this computationally complex problem.

  • PDF

Hub-and-spoke 운송전략을 고려한 철도화물서비스 네트워크디자인모형의 개발 (A Service Network Design Model for Rail Freight Transportation with Hub-and-spoke Strategy)

  • 정승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7-177
    • /
    • 2004
  • Hub-and-spoke운송은 교통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운송전략의 대표적 개념이다. 화물의 컨테이너화와 환적기술의 발달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철도화물운송부문에서도 이 운송전략의 적용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Hub-and-spoke운송전략을 구현하는 철도화물서비스네트워크 디자인모형을 제시하고, 대규모 운송망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율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되는 모형이 전략적 수준의 계획모형임에도 불구하고 모형에서는 일반화된 운영비용 외에 열차속도, 서비스빈도, 터미널에서의 화물처리속도 등에 따른 시간지체비용도 고려되었다. 시간지체비용의 고려에 따라 야기되는 목적함수의 비선형성은 빈도별 서비스결정변수의 설정을 통해 선형최적화문제로 표현되었다. 규모가 큰 네트워크의 경우 해도출의 어려움 때문에 본 논문은 전체문제의 분할(decomposition)에 기초한 휴리스틱방법((heuristic method)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해도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빈도개선과 관련하여 3개의 알고리즘이 개발되었고, 개발된 알고리즘은 유럽의 실제네트워크를 기초로 도출한 4개의 테스트문제를 대상으로 해의 정확도와 해 도출의 효율성이 비교 평가되었다.

한국의 동북아 물류중심로드맵 투자우선순위와 개선방안 (Investment Priority and ImProvements in the Northeast Asia Logostics Hub Road Map)

  • 최석범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7-216
    • /
    • 2004
  • Northeast Asia logistics hub strategy was undertaken by Korean Government to gain a 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in Northeast Asia. Current Government has Northeast Asian Economic Hub Strategy including construction of SOC in Northeast Asia for promoting peace, promotion of formation of Northeast Asia Community, logistics hub, Financial hub and national innovation for R&D Cluster. To realize Northeast Asian logistics hub, the Northeast Asia logistics hub road map has undertaken as follows: expansion of logistics infra in Incheon Airport, Busan Port and Gwangyang Port, systematic improvements such as adjustment of investment distribution, special logistics companies, transparent customs in logistics transactions, logistics manpower, improvement of system supporting global logistics and attraction of international logistics companies to the logistics center, construction of seamless and paperless logistics information network, Northeast Asia railway infr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investment priority and improvements in the Northeast Asia Logistics Hub Road Map and to contribute to gain the 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as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

  • PDF

인천국제공항의 허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효율적 비행편 서비스망 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ight Service Network fo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o be a Successful Hub Airport in Northeast Asia)

  • 유광의;이영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43-156
    • /
    • 1998
  • 인천국제공항이 동북아 허브 공항으로서 성공하려면 동 공항을 중심으로 한 비행편 구성이 경쟁 공항보다 효율적이어야 한다. 본 논문은 항공여행자의 비행편 선택 행위를 분석하여 인천국제공항 허브화 성공을 위한 비행편 구성 계획에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규제가 완화된 시장에서는 소비자의 선호 파악에 기초한 사업 계획이 유효하므로 비집계형 선택모델에서 산출할 수 있는 여행시간가치, 운항빈도와 여행시간의 대체율 등을 이용하여 비행편 구성 계획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Mediterranean Cruise Ports' Network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Polasek, Adriana Estefania Valero;Yang, Tae-Hyeon;Park, Sung-Hoon;Yeo, Gi-Tae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3-78
    • /
    • 2020
  • The cruise industry in the Mediterranean region increased from 2000-2018, being the second most important region after the Caribb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tworks and hub ports of the Mediterranean. This paper used the SN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which includes Hub and Authority Combined Centrality (HACC) that has been used to analyze cruise port centrality, as well as degree centrality such as In-Degree, Out-Degree, and Betweenness. This empirical study suggests that the top three ports of the Mediterranean ports' network in terms of hub index are Barcelona, Civitavecchia, and Palma de Mallorca.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the suggestion for data integration based on real itineraries and numbers of POC (Port of Calls), as well as the selection of the hubs of the targeted areas.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such as a clear requirement for cruise industry, as a way to widen the scope for the Mediterranean region and a valuable reference for cruise ship companies to select the best fit home ports.

관계네트워크의 정보 확산에서 혁신자와 허브가 Early Takeoff와 확산크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Influence of Innovator or Hub in Relational Network to Early Takeoff and Diffusion Size at Takeoff)

  • 옥경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48-356
    • /
    • 2012
  • 본 연구는 SNS와 같은 관계네트워크의 구성원 중에서 혁신자와 허브가 정보 확산 초기 발생하는 이른 도약(early takeoff)과 도약시점의 확산크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가설 1은 네트워크에서 혁신자 와 허브는 이른 도약(early takeoff)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는 네트워크에서 혁신자와 허브는 도약시점의 확산크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우리나라 SNS중에서 C사이트를 대상으로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혁신자와 허브를 추출하고 이들의 정보 수용행동을 다항로짓분석 및 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네트워크에서 허브는 이른 도약과 도약시점의 확산크기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혁신자는 확산크기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허브는 혁신자 보다 이른 도약과 도약시점의 확산크기에 있어 상대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네트워크에서 허브는 높은 연결성을 통해 자신의 정보수용행동을 빠른 시간에 관계네트워크내 구성원들에게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과 한계점을 토의하였다.

지역 거점도시 식별 및 상호작용에 따른 영향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hub cities and delineation of their catchment areas based on regional interactions)

  • 김도형;우명제
    • 국토계획
    • /
    • 제53권7호
    • /
    • pp.5-22
    • /
    • 2018
  • Whil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has become important for balanced development at the national scale, they have experienced continuous decline in population and employment, particularly those in non-capital regions. In addition, some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have been classified into shrinking cities that have declined due to their long-term structural reasons. To address these issues, a regional approach, by which a hub city and its surrounding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can collaborate has been suggested. Give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delineate hub cities and their impact areas by using travel data as a functional network index. This study uses a centrality index to identify the hub citie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Markov-chain model and cluster analysis to delineate regional boundaries. The mean first passage time (MFPT) generated from the Markov-chain model can be interpreted as functional distance of each region. The study suggests a methodological approach delineating the boundaries of regions incorporating functional relationships of hub cities and their impact areas, and provides 59 hub cities and their impact areas. The results als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gional spatial planning that addresses appropriate planning boundaries of regions for enhancing the economic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ensuring services for shrinking cities.

수송 규모의 경제 효과를 고려한 단일 할당 허브 네트워크 설계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 Single Allocation Hub Network Design Model with Transportation Economies of Scale)

  • 김동규;박창호;이진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D호
    • /
    • pp.917-926
    • /
    • 2006
  • 수송 규모의 경제 효과는 허브 네트워크의 특수한 현상이다. 허브 네트워크의 중요한 특성은 규모의 경제 효과로 인한 비용 절감과 허브 시설 운영 및 수송량 집화에 따른 지체와 관련한 비용들을 정량화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허브 입지 문제의 NP-complete 특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기존 연구자들은 근사해 도출을 위한 휴리스틱 알고리즘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규모의 경제 효과를 반영하는 허브 네트워크 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모형은 허브 네트워크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다양한 비용요소들을 결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개발된 모형식을 반영하는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개발되며 모형의 결과들은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근 발표된 연구결과들과 비교된다. 분석 결과, 제안된 모형은 수송량 집화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를 잘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네트워크 설계의 이론적 기반을 구성함과 동시에 현재 및 계획 중인 물류시스템의 평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