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Expecta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2초

통일한반도 국토인프라 Grand Plan 연구 구상 (The Strategic Research Approach for the Grand Plan of the Korean Peninsula Infrastructure)

  • 이복남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2호
    • /
    • pp.43-48
    • /
    • 2015
  • 2014년 3월 박근혜대통령의 독일 드레스덴 선언을 계기로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기대와 회의가 동시에 증폭되고 있다. 한반도 통일을 긍정적으로 보는 관점에선 대박이지만 회의적인 시각에서 보면 막대한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쪽박으로 부정하는 시각이 공존한다. 통일에 대한 기대 충만과 달리 준비는 분산 되었거나 중복, 혹은 산만하기 까지 하다. 정치와 정책, 산업과 기술 등에 대한 사전 준비가 전혀 체계적이지 않거나 불연속성 이벤트 중심이다. 개별 분석 혹은 연구 건수와 자료 등은 많게 보이지만 종합적인 틀이 보이지 않는다. 우리보다 먼저 통일을 이룬 서독의 경험에 따르면 통독 이전에 동독을 너무 몰랐다는 얘기가 나온다. 가까운 이웃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동독의 실제 상황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는 얘기는 남북 간에도 그대로 적용 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통일한반도에 대한 국토인프라를 남과 북이 아닌 한반도 국토이용과 국가기반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거대계획(grand plan) 구상이 필요하다. 국토인프라에 대한 거대계획을 수립과 동시에 추진 할 수 있는 과제로 아시안 교통 네트웍 개발 시나리오와 통독 20년 국토인프라 재구축 경험 자료 분석 과제도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분산된 자료와 중복된 자료 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분석을 통해 재정립 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연구 결과는 수시로 국민들에게 공개하여 공감대를 넓혀가는 전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한반도 통일 문제는 특정 연구자나 정치인의 전유물이 아닌 한반도 전 국민이 주인이고 관심사항이기 때문이다.

폐폴리올레핀 폼과 탄성 포장재로 구성된 어린이 놀이터 바닥의 안전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Study on the Safety of Playground Flooring Made of Polyolefin Foam Waste and Rubber Paving)

  • 최수경;전명훈;이도헌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246-2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폐폴리올레핀 폼을 완충재로 이용한 어린이 놀이터 바닥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계하강높이, 보행적합성 및 장기피로예측, 미끄럼저항성에 대하여 시험하고 평가하였다. 시험체는 두께 30mm, 50mm, 70mm의 폐폴리올레핀 폼에 각각 탄성 포장재를 12mm, 15mm 두께로 포설한 6종류로 하였다. 한계하강높이 시험은 KS G 5758:2009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보행적합성 및 장기피로예측 시험에는 바닥 경도 시험장치(O-Y HMA)를 이용하였으며, 미끄럼저항성 시험에는 휴대형 미끄럼 시험기(ONO PPSM)을 이용하였다. 시험결과, 폐폴리올레핀 폼과 탄성 포장재로 구성된 바닥은 충격저감성 관점에서 상당히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닥의 경도는 남성에게는 보행감이나 피로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지만, 여성에게는 구두(미들 힐)를 신고 보행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오래 사용할 경우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끄럼저항성은 표면에 물기 등의 이물질이 있더라도 일상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복개하천의 복원사업 이후 인접 주거지의 물리적 특성 변화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Covered Urban Streams)

  • 김준영;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33-14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covered urban streams in seoul.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restoration were analyzed by changes of land using, urban structure, individual lot of land and architecture to investigate relationship of the urban stream and residential change. The result as follows: the first one is the change of land use and urban structure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This change of infrastructure through stream restoration has transformed land use and urban structure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Secondly, there is the changes of the individual lot of land. It seemed that new development by combined lots would be concentrated in stream-side blocks. But, the changes of lots such as combining or dividing lots tend to be concentrated in stream-side, main road and main streets. In stream-side, commercial function of land use has changed to residential one which has restored streams landscape by transformation of lots use without changes of ownership-lots. Finally, there is the change of architecture. It turned out new building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is similar to general development. However, new building in streamside is related to direction of stream. In addition, remodeling and expansion tend to change in commercial buildings on stream-side bridges of corner lots intensively. As a result, it is related to expectation of architectural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sidewalk environment by stream restoration.

어린이집 건물, 실외놀이터 및 설비 특성에 관한 실태조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uilding, Outdoor Playground & Equipment in Child Care Center)

  • 변혜령;최목화;소갑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9-18
    • /
    • 2013
  • Recently, interest and social expectation for children's environment are on the rise. The needs for construction of safe and pleasant child care environment has bees agreed with. Especially, as the number of children who are wanted to go center jumped with additional support the government for child care business, centers have also seen a boost. But as number of child care centers increases rapidly in short period, the quality of centers is more inferior to before. and the space and facility level of many centers don't reach in legal minimum standard. In addition to, when child care centers are reviewed, it tend to be judged by one standard without considering connection with sense of values about child care or philosophy, child's traits, surrounding environment etc.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environment that can consider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 as well as basic element such thing as protection and support activity for current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presupposes that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makes important effect on teacher's motion and child's development, then it is to investigate it's characteristics in physically space, facilities, outdoor playground. And It is to identify space and accommodations, outdoors facilities which can support activity smoothly inside and outside. As a result, it is try to offer appliabl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hild-friendly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공동주택 하자접수 유형변화 및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fects in Apartment House)

  • 원준연;남경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3-345
    • /
    • 2021
  • 공동주택 입주자들의 생활 수준 향상 및 고품질 기대로 인해 공동주택 하자와 관련된 민원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하자발생 유형 또한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 12개 단지 100개 동(9,748 세대)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세대 당 하자 접수 건은 하자 종류의 변화 없이 10년 전보다 대략 1.6배 증가하였다. 기계설비 하자 접수 건의 경우는 10년 전보다 1.4배 증가하였지만 하자 종류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그중 일반 부분(급수, 배수, 수압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10년 전보다 25% 가량 감소하였다. 이는 실내 환경과 관련된 아이템들이 대부분의 신규 공동주택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 이와 관련된 하자 종류가 늘어난 까닭이다. 공동주택에 새롭게 적용되는 특화 아이템들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로 향후 이와 관련된 하자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남성패션지 광고분석을 통해 본 남성의 소비트렌드 변화 - GQ를 중심으로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of Men As Conveyed in Advertisements in 'Gentlemen's Quarterly', a Men's Magazine)

  • 유현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9-313
    • /
    • 2006
  • Male consumers, who had largely been overlooked in comparison to their female counterparts, are recently emerging as a major target of marketing. The five-day workweek system and shifts in the expectation of traditional sex roles have brought about this change.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consumption pattems of men and analyzed relevant trends and meanings. Advertisements were chosen as data for analyses in this study because they are the most fundamental tool to stimulate consumption and also because they are the media that convey the culture of the times in the most compressed form. One thousand four hundred and seven advertisements appeared in the 19 volumes of 'Gentlemen's Quarterly,' a men's magazine, that were published between March 2001 and October 2005. These advertisements were analyz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rom the analyses of this study, six different kinds of trends were found. In each trend, important values sought after by men through consumption, and the meanings of consumption for male consumers were explained.

21세기 신소비자주권시대를 위한 탐색과 고찰: 소비자정보격차의 실태 (An Exploration and Consideration for New Consumer Sovereignty Era in the 21th Century -Focused on the Consumers' Information Gap-)

  • 유현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79-292
    • /
    • 2008
  • The concept of "new consumer sovereignty" i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having the initiativ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echnology and culture trend. Today the 'new consumers' positively use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purchasing. To understand these consumers' new purchase tendency, the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1) of consumers' use of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2) of digital devide between consumers, and 3) the consumer's attitude to changes of their lifestyle which digital convergence could result in. The subjects were thousand male and female adul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conducted by Embrain, a research firm in Seoul, in the period of June 1st, 2007 ${\sim}$ June 10th, 2007. The results show: 1. Most subjects have computers, their Internet use is their general life, and they have lots of exposure opportunities to digital information. They positively and actively use information technology. 2.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and between old and young genera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gital gap. But the gap between regional areas i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3. The subject's attitude to digital convergence society shows both positive expectation and negative concerns. Concludingly, to embody a desirable digital convergence society, it is necessary to be searched the ways which can decrease the digital gap and policy to share benefit that information technology can give to consumers.

FUTURE STRATEGY FOR KOREAN FIRMS INVOLVED IN OVERSEAS MARKETS

  • Rak-Keun Jeon;Jin-Woo Park;Jun-Youl Choi;Jae-Jun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89-396
    • /
    • 2005
  • Despite very good reputation that Korean construction industrial firms had enjoyed until early 1990's in overseas markets, their participation abroad drastically declined after the delivery of two(2) million unit-housing project in the early 1990's and the foreign currency crisis that took place in the late 1990's. The revival of booming construction industry in domestic market is far beyond the expectation due to the long recession of the construction economy and government's severe restriction against real estate development. Under such crucial circumstances, the construction industrial firms' strategy to survive is the more active business promotion in overseas markets. However,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ial firms have to abandon the labor intensive strategy, through that they have enjoyed until the early 1990's, and turn to management oriented strategy which may be a new prosperous horizon and a new challenge as well, because the labor cost of newly developing countries is much more competi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cope with current market situations through a chronological survey based on the cost data prevailed during four decades from the 1960's until the 1990's in overseas markets.

  • PDF

도심지 유형별 공동구 설치 타당성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easibility assessment system for utility tunnel by urban patterns)

  • 이성원;심영종;나귀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1-27
    • /
    • 2017
  • 서울시 등의 국내 주요 도심은 지역적 팽창에 따라 도로망 체계가 급격하게 발전하였고 도시민이 안락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전력, 통신, 상수도, 하수도, 냉 난방관로, 가스관 등이 무분별하게 개별 매설되었으며 비효율적으로 개별 관리되고 있다. 국토계획법에서는 Life-Line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로의 반복 굴착을 줄이고 도시 미관의 개선, 포장 내구성 향상에 따른 주행성능 향상 그리고 원활한 교통소통 등을 기대하는 도시계획 시설물로 공동구를 정의하고 있다. 최근 기존 도심지의 재정비 측면에서 쾌적한 도시공간 조성, 지하공간 이용 효율과 도로관리 효율 향상, 지진 및 도로함몰에 대한 재난안전성, 스마트 그리드와 전기자동차 보급과 같은 미래 생활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등을 기대할 수 있는 기존 도심지의 공동구 설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 설치된 모든 공동구는 신도시 개발에 따라 계획된 Life-Line을 모두 수용하도록 설치한 개착식 공동구 형태이다. 기존 도심지에서는 현재 가동중인 모든 Life-line을 모두 수용할 수 없으므로 도심지 유형별 공동구 설치 타당성 평가시스템을 활용한 설계용량 최적화 등의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신도시 공동구를 탈피하고 기존 도심지를 대상으로 평가지표에 의한 정량적 평가모델을 제시 하는 등 유형별 타당성 평가시스템을 세분화하며 정량적 평가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궁극적으로 도심지 공동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of the Middle and Old-Aged and Their Determinants)

  • 박창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275-29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 준비와 그 결정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2007년 사회통계조사자료로서 이 조사에 포함되어 있는 45세에서 59세 사이의 중 고령자 18,354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개념체계는 Andersen 모형에 기반했으며,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요인을 logistic 분석을 이용하여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노후준비가 전혀 안된 중 고령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나이가 들수록 오히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지 않은 비율은 높다. 둘째, 남성,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 현재소득인식, 주택소유, 거주지역, 전반적 생활여건은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남성, 연령, 경제활동은 사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교육수준, 현재소득인식, 전반적 생활여건향상은 사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남성,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 현재소득인식, 주택소유, 거주지역, 전반적 생활여건향상, 장래소득기대는 부수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연령은 부수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