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plate test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초

초음파 열 영상 검사를 이용한 브레이징 접합 결함 검출 (A Brazing Defect Detection Using an Ultrasonic Infrared Imaging Inspection)

  • 조재완;최영수;정승호;정현규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26-431
    • /
    • 2007
  • 고에너지 초음파 여기 탄성파가 물체의 균열, 박리 등의 결함 부위를 통과할 때 서로 맞닿은 결함면은 균일하게 진동하지 않는다. 초음파 입사에 따른 결함 면 사이의 마찰(friction), 문지름 (rubbing) 또는 부딪침(clapping) 에 의해 진동 에너지가 결함 부위에서 국부적인 열로 변환된다. 이를 적외선 열 영상 카메라로 관측하면 구조물의 결함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열 영상 검사를 이용한 인코넬 합금 박판의 브레이징 접합 결함 검출에 대해 기술한다. 2 kW 의 전력과 23 kHz 대역의 가진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펄스를 280 ms 기간 동안 인코넬 합금의 브레이징 접합 박판에 입사시켰다. 브레이징 접합부의 결함위치 부근의 인코넬 합금 박판의 양면이 맞닿은 경계선에서 아주 밝은 국부적인 발열(핫 스팟)이 적외선 열 영상 카메라에 의해 관측되었으며 브레이징 접합 결함 위치에서도 미약한 열이 관측되었다. 배경 감산 평균 및 히스토그램 평활화 처리 등의 영상처리를 통해 브레이징 접합의 결함을 확인하였다.

전침자극이 척수 N-methy1-D-aspartate receptor외 NR-2B Subunit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Involvement of Serine Phosphorylation of Spinal Cord NR-2B Subunit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Following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 강별님;최병태;윤현민;민영광;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63-71
    • /
    • 2007
  • 목적 : 저주파에 해당하는 2Hz 전침 자극이 척수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의 NR-2B subunit의 발현 및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를 Storkson등의 방법에 의해 척수막의 지주막하강에 catheter를 삽입하는 수술을 행한 후 마비등의 척수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N-methyl-D-aspartate (NMDA) antagonist인 D-2-amino-5- phosphonopentanoic acid (AP-5)를 투여한 후 족삼리와 삼음교에 해당하는 부위에 30분간 전침 자극하였다. 무통각 여부는 hot plate test를 시행하였으며 NMDAR NR-2 subunit 발현과 인산화 여부는 Western blot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 전침 무통각은 전침 자극 후 180분 후까지 지속되었으며 NMDA antagonist인 AP-5를 투여하였을 때 전침 무통각이 저하되었으나 유의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Western blot 분석으로 보아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의 발현은 전침자극에 의해 미약한 증가를 보이나 AP-5투여에 의해 현저한 저해를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에 의한 척수배각 구역별 발현을 보면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는 전 배각에 걸쳐 관찰되나 경부(층판 V-VI)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전침 자극에 의한 각 군별 NR-2B 발현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는 천층(층판I-II) 및 고유핵 층판(III-IV)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전침 자극시 AP-5 투여는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 발현을 저해하였다. 결론: 저주파 2Hz 전침에 의한 무통각은 NMDA antagonist인 AP-5 투여에 의해 저해될 뿐 아니라 NMDAR NR-2B subunit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전침 무통각의 과정에 NMDAR 및 NMDAR NR-2B의 인산화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 PDF

판형 웨이브가이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소듐냉각고속로 원격주사 검사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Ranging Inspection Technique in a Sodium-cooled Fast Reactor Using a Plate-type Ultrasonic Waveguide Sensor)

  • 김회웅;김상활;한재원;주영상;박창규;김종범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48-57
    • /
    • 2015
  • 제 4세대 원자로로 개발되고 있는 소듐냉각고속로는 냉각재로 사용되는 소듐의 물과 공기에 의한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자로 헤드의 개방 없이 회전 구동만을 이용하여 핵연료 교환을 수행한다. 따라서 핵연료 교환을 위해서는 노심과 상부내부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원자로 헤드의 회전 구동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데, 소듐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통상적인 광학 장비를 사용한 검사방법으로는 장애물의 확인이 어렵고, 초음파를 이용한 검사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불투명한 소듐 중에서 노심과 상부내부구조물 사이의 장애물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판형 웨이브가이드 초음파 센서를 적용한 원격주사 검사기법을 개발하였다. 웨이브가이드 센서는 원자로헤드 상부의 저온 구간에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설치하고 길이가 긴 웨이브가이드를 사용하여 노심 상부의 고온 고방사능 소듐 내부로 초음파를 전파시키기 때문에, 고온 고방사능에 의한 손상 없이 장시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수평 방향으로 초음파를 방사시킬 수 있는 10 m 길이의 수평 빔 웨이브가이드 센서를 설계 제작하였고, 제작된 센서의 특성 분석을 위한 빔 프로파일 측정 및 기초 실험을 수행하여 방사되는 초음파의 빔 폭과 전파 거리를 평가하였다. 또한, 실제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부품들의 형상인 원형 목표물에 대한 원격탐지 성능시험을 수행하여 개발된 원격주사 기술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