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box 시험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온실용 다겹보온자재의 보온성 비교 -Hot box 시험 결과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rmal Insulation of Multi-Layer Thermal Screens for Greenhouse: Results of Hot-Box Test)

  • 윤성욱;이시영;강동현;손진관;박민정;김희태;최덕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5-26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온실농가에서 수명이 다하여 교체작업이 이루어진 총 4종의 다겹보온자재를 채취하여 해당 사용기간별 보온성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여기서 고안된 Hot box 시험이 실시되었다. 4종의 다겹보온자재는 마트지, 부직포, PE폼 및 화학솜 등이 주요 재료로서 다겹보온자재별로 이 재료들이 서로 다르게 조합된 형태였다. 이 4종의 다겹보온자재를 시편($70{\times}70cm$)으로 제작하여 Hot box 시험을 통해서 대상시편별로 온도 하강률, 열관류율 및 열전도저항 등이 측정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겹보온자재들에 대하여 적절한 보온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사용기간은 약 5년 정도로 예상되었다. 다겹보온자재의 재료조합에 대하여 다겹의 PE폼을 적용하여 상대적으로 보온성을 높일 수 있으나 다겹보온자재 내에서 공기 단열층을 형성하는 화학솜에 비해 보온성능에 대한 기여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겹보온자재에 대하여 적절한 보온성능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화학솜과 같은 공기 단열층을 형성하는 기능이 있는 재료가 다겹보온자재에 포함되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Hot box 시험을 통해 다겹보온 자재의 온도 하강률, 열관류율 및 열전도저항 등이 적절하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용이 완료된 다겹보온자재의 채취 어려움으로 총 4종의 다겹보온자재만 고려되었으며, 이는 비교적 적은 사례로 통해 얻어진 결과라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한계이다. 향후 관련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사례들이 조사 및 보완되어야 될 것이다.

수직으로 설치된 비균질 평판 단열재용 성능시험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ermal Performance Tester for Non-Homogeneous Insulation Pannels Installed Vertically)

  • 오홍영;송기오;전현익;조선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153-157
    • /
    • 2016
  • In case of metal insulation, which is produced by stacking stainless steel sheets and air layers in a multi-stack manner at a specific thickness, insulation performance will be evaluated based on thermal transmittance rather than the intrinsic physical properties of each material such as thermal conductivity.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for measuring thermal transmittance targeted for non-homogeneous insulation which is used in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a power station. In this stud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homogeneous insulation acquired by the standardized guard hot plate method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homogeneous insulation measured by the newly developed performance tester were compared to verify the confidence level of the tester. As a result, thermal conductivity acquired by the newly developed thermal transmittance tester was about 6% high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measured by the existing guard hot plate method under the anticipated service temperature conditions.

SOFC를 이용한 가정용 열병합 발전시스템 개발 및 성능시험 (Development and Performance Test of SOFC Co-generation System for RPG)

  • 이태희;최진혁;박태성;최호윤;유영성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1-364
    • /
    • 2009
  • KEPRI has studied planar type SOFC stacks using anode-supported single cells and kW class co-generation systems for residential power generation. A 1kW class SOFC system consisted of a hot box part, a cold BOP part and a water reservoir. A hot box part contains a SOFC stack made up of 48 cells with $10{\times}10cm^2$ area and ferritic stainless steel interconnectors, a fuel reformer, a catalytic combustor and heat exchangers. Thermal management and insulation system were especially designed for self-sustainable operation. A cold BOP part was composed of blowers, pumps, a water trap and system control units. When a 1kW class SOFC system was operated at $750^{\circ}C$ with hydrogen, the stack power was 1.2kW at 30 A and 1.6kW at 50A. Turning off an electric furnace, the SOFC system was operated using hydrogen and city gas without any external heat source. Under self-sustainable operation conditions, the stack power was about 1.3kW with hydrogen and 1.2kW with city gas respectively. The system also recuperated heat of about 1.1kW by making hot water. Recently KEPRI developed stacks using $15{\times}15cm^2$ cells and tested them. KEPRI will develop a 5 kW class CHP system using $15{\times}15cm^2$ stacks by 2010.

  • PDF

Axle Counter System 국산화 개발을 위한 현장시험 결과분석 (A Result Analysis on Field Test for Localization Development of Axle Counter System)

  • 고준영;박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214-6220
    • /
    • 2015
  • 열차위치 검지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궤도회로장치가 거의 100여년을 안정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일반철도 구간의 역 구내, 측선, 해안선 구간 및 열차운행 빈도가 적은 지선 구간의 건널목 등에서는 녹 발생으로 궤도회로 단락불능에 따라 해소방안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고속철도의 차축온도검지시스템과 통신기반열차제어시스템 분기부 일부에 차축카운터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해외의 경우 많은 국가에서 차축카운터 시스템이 없는 간선 및 지방 철도를 상상하는 것은 이제 불가능하고 지하철, 전차, 그리고 산업철도에서 상당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철도 구간의 역 구내 측선의 본선 및 분기부에 시험적용을 위해 기존 설치되어 있는 궤도회로와 병렬로 설치하여 로그분석을 하여 차축카운터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오봉기지역 및 청주역 운행선 상 설치하여 연동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시험 및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시험결과를 분석하고, 시스템 안전측 설계, 제작 및 시스템 요구조건 등을 정립하였다.

굴삭기 냉각팬 성능해석 및 슈라우드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Cooling Fan Performance Analysis and Shroud Characteristics for an Excavator)

  • 이재석;정경남;김진영;이태경;강정원;심재구;손득균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B
    • /
    • pp.2597-2602
    • /
    • 2007
  •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analysis is experimentally carried out in order to select the best cooling fan and shroud considering both cooling performance and noise reduction. 4 cooling fans have been tested in the fan tester and the real excavator. In order to obtain the performance of the cooling fans, flow capacity has been estimated by measuring flow velocity using a hot wire anemometer, and noise radiation has been also measured to estimate the fan noise. Characteristics of a box-type and a streamlined shroud have been examined by changing the immersion depth of cooling fans. Based upon the results, the best cooling fan is selected. Finally, the criterion to select the best cooling fan has been set up.

  • PDF

차체 구조용 샌드위치 복합소재 단열 특성 평가 (Evaluation on Adiabatic Property for Vehicular Sandwich Composite Structure)

  • 이상진;오경원;정종철;공창덕;김정석;조세현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9-14
    • /
    • 2006
  • 본 연구는 KS F 2278 2003 (창호의 단열성 시험 방법)에 의하여 철도차량 및 버스의 내/외장재로 적용 가능한 카본/에폭시 스킨-알루미늄 하니콤 & 발사코어 샌드위치 판넬(두께 : 37mm), 카본/에폭시 스킨-알루미늄 하니콤 코어 샌드위치 판넬(두께 : 57mm, 단열재 포함) 및 카본/에폭시 스킨-알루미늄 하니콤 코어 샌드위치 판넬(두께 : 37mm)에 대한 열관류율 시험을 하였다. 또한 KS F2277 . 2002 (건축용 구성재의 단열성 측정방법-교정열상자법 및 보호열상자법)에 의하여 추가로 알루미늄 스킨-알류미늄 하니콤 샌드위치 판넬들 (두께 : 27mm, 35n1m)과 알루미늄 스킨-포밍 알루미늄 샌드위치 판넬 (두께27mm)에 대한 열관류율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면제와 심재사이에 열전달은 실제 단면적이 넓을수록 열관류율이 높았으며, 하이브리드형 복합재 일수록 단열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단열성 시험 방법을 통한 진공유리의 구성 및 필러 배치에 따른 열 성능 평가 (The Evaluation of Thermal Performance of Vacuum Glazing by Composition and the Pillar Arrangement through Test Method of Thermal Resistance)

  • 조수;김석현;엄재용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61-68
    • /
    • 2015
  • The advanced counties effort to the supplement of the zero energy buildings for the global building energy saving. In the middle of the development of passive technology, the government has to effort to the energy saving of buildings by enhanced performance of the window thermal insulation. By the method of enhanced performance of window thermal insulation, the use of vacuum double glazing saves the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This glazing has low U-value(heat transmission coefficient) than normal double glazing. The vacuum glazing enhance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y vacuum space of between the glass and glass. For this vacuum glazing, pillar maintain the space between glass and glass. But this structure cause the raising the heat transmission coefficient in pillar approaching glass. This study confirmed the U-value by the test method of thermal resistance for windows and doors. Also this study confirmed the variation of heat transmission coefficient by the structure of vacuum glazing. And this study measure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vacuum glazing about pillar approaching glass and vacuum space in cool chamber and hot box. That result, this study confirmed U-value of $0.422W/m^2{\cdot}K$ of vacuum glazing. Also this study confirmed U-value of $0.300{\sim}0.422W/m^2{\cdot}K$ by various the structure of vacuum glazing. And this study confirmed the heat flow in pillar approaching glass.

신선 멜론의 수출포장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Export Packaging for Fresh Melon)

  • 이명훈;정준재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3-91
    • /
    • 2009
  • 미국과의 FTA 체결이 가시화되면서 우리 농산물에 대한 경쟁력과 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해 멜론수출사업이 시작되는 단계에서 장거리 운송에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출 포장기술의 개발과 포장표준화에 의한 물류비 절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출포장의 1단계라고 할 수 있는 적정포장 설계 부분, 즉 포장강도 및 치수규격 그리고 포장원가 관리 부분에 목적이 있다. 수출대상국인 미국과 일본의 국가표준 파렛트는 각각 T12형($1,200{\times}1,000$ mm)과 T11형($1,100{\times}1,100$ mm)이다. 기존 멜론상자 치수는 $366{\times}275{\times}160$ mm으로 T11형에는 정합하지만, T12형에는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포장모듈치수에 의거하여 멜론상자를 재설계하여, $366{\times}275{\times}165$ mm와 $333{\times}300{\times}200$ mm의 두 가지 규격으로 개선 멜론상자를 설계하였다. $366{\times}275{\times}165$ mm로 개선된 상자는 T11형 파렛트에 적재효율 92.7%, 공간효율 99.8%를 나타내며 일본수출용 멜론상자로 사용할 수 있었고, $333{\times}300{\times}200$ mm로 개선된 상자는 T12형 파렛트에 적재효율 91.7%, 공간효율 95.9%를 나타내며 미국수출용 멜론상자로 사용할 수 있었다. 기존 멜론상자의 포장재질은 SC240/B150/K180/B150/WK180이며, 압축강도 는 559 kgf, 관리강도는 475 kgf이었지만, 개선 멜론상자의 포장재질은 SC240/K180/K180/K180/WK180로써, 압축강도는 597 kgf, 관리강도는 5.7 kgf으로 증가하도록 강도를 높였다. 멜론상자의 1개당 단가는 기존 438원이었으나, 실제로 1,000에 거래하여 개선하도록 요구하였다. $366{\times}275{\times}165$ mm와 $333{\times}300{\times}200$ mm의 치수규격의 개선 멜론상자의 1개당 단가는 각각 484원과 470원으로 나타났다. 기존 포장재의 진동시험 결과 기존 멜론상자는 멜론의 상품화가 되지 않을 정도의 멜론 파손정도가 심했지만, 개선 멜론 상자는 처음 포장형태 그대로 멜론의 상태가 유지되어 상품화에 문제가 없었다.

  • PDF

벼 키다리병 방제에 관한 황토유황의 종자소독 효과 (Effect of Rice Seed Disinfection of Loess-sulfur on the Suppression of Bakanae disease caused by Fusarium fujikuroi)

  • 소현규;김용기;홍성준;한은정;박종호;심창기;김민정;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45-355
    • /
    • 2017
  • 본 연구는 황토유황을 활용하여 벼 키다리병 발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종자소독조건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키다리병에 이병된 '신동진' 품종 벼 종자를 공시하였고 황토유황 농도, 침지온도, 시간, 온탕여부를 구분하여 실내 및 온실검정을 통해 침지시간은 48시간, 침지농도는 1%로 최적 소독조건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모판과 포장시험을 수행하여 온탕처리 후 $20^{\circ}C$, 1% 황토유황에 48시간 침지 처리구와 $30^{\circ}C$, 1% 황토유황에 48시간 단독 침지할 때 가장 효과가 높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위 처리조건으로 소독한 종자가 육묘, 이앙, 출수기를 거치면서도 100%의 높은 방제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circ}C$에서 1% 황토유황으로 침지한 처리구에서는 포장에서 78.2%의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또한, 온탕소독만 수행한 처리구에서도 $60^{\circ}C$, 10분간 충실히 수행될 경우 효과적인 벼 키다리병 방제가 가능함을 보여주었지만 온탕처리 후 황토유황으로 추가 침지함으로서 많은 양의 종자를 소독할 때 좀 더 나은 키다리병 방제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농가에서 온탕소독기와 종자소독기 둘 중 한가지만 구비하더라도 황토유황을 이용하여 충분한 소독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보다 쉽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제조방법이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황토유황의 특성상 농가의 경영비 절감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가속노화 시험을 통한 진공단열패널(VIP)의 장기성능 평가 연구 (The Study of Long-Term Performance Evaluation of Vacuum Insulation Panel(VIP) with Accelerated Aging Test)

  • 김진희;김준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35-47
    • /
    • 2017
  • Energy efficiency solutions are being pursued as a sustainable approach to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related gas emissions across various sectors of the economy. Vacuum Insulation Panel (VIP) is an energy efficient advanced insulation system that facilitates slim but high-performance insulation, based on a porous core material evacuated and encapsulated in a barrier envelope. Although VIP has been applied in buildings for over a decade, it wasn't until recently that efforts have been initiated to propose and adopt a global standard on characterization and testing of VIP. One of the issues regarding VIP is its durability and aging due to pressure and moisture dependent increase of the initial low thermal conductivity with time; more so in building applications. In this paper, the aging of commercially available VIP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rmal conductivity was tested in accordance with ISO 8302 standard (guarded hot box method) and long-term durability was estimated based on a non-linear pressure-humidity dependent equation based on study of IEA/ECBCS Annex 39, with the aim of assessing durability of VIP for use in buildings. The center-of-panel thermal conductivity after 25 years based on initial 90% fractile with a confidence level of 90 % for the thermal conductivity (${\lambda}90/90$) ranged from 0.00726-0.00814 (W/m K) for silica core VIP.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nufacturer-provided data and measurements of thermal conductivity and internal pressure were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