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Air Form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과공정 Al-25Si-X 내마모 합금의 분무 성형 및 특성 평가 (Spray forming the wear resistant hypereutectic Al-25Si-X alloy and property evaluation)

  • 이재철;석현광;신돈수;이호인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9년도 압출 및 인발 심포지엄
    • /
    • pp.24-37
    • /
    • 1999
  • A comprehensive methodology to consolidate the hypereutectic Al-27Si-X alloy via spray forming was investigated in an attempt to judge the feasiblilty of this alloy in applying wear resistant components. Billets having desired shape and microstructures were fabricated using forming parameters obtained from numerical calculations. Prior to tube extrusion of the spray formed billets, effects of various extrusion conditions, such as extrusion ratio, die temperature, and die configuration, on microstructures of the billet were studied. Based on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liminary extrusion tests, the formed billets were then hot extruded into a tubular shape. Various material properties of the extruded billet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other candidate materials for anti-wear applications.

  • PDF

수평 원주형 환형내에서의 정상상태의 공기의 자연대류에 대한 이중해 (Dual Solutions for Steady Natural Convection of Air in Horizontal Cylindrical Annulus)

  • 유주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9호
    • /
    • pp.2981-2990
    • /
    • 1996
  • Dual solutions for steady natural convection of air between two horizontal concentric cylinders are numerically investigated in the range of $D_i$/TEX>/L(=diameter of inner cylinder/gap width)$\leq$10. It is found that, when the Rayleigh number based on the gap width exceeds a certain critical value, a new flow pattern forming two counter-rotating eddies in the half of the annulus can be realize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rescent-shaped flow commonly observed. In the new flow pattern, the fluid near the top of the hot inner cylinder moves downward. This solution is found for D$_{i}$/L.geq.0.3, but not for$D_i$/TEX>/L$\leq$0.2. As $D_i$/TEX>/L increase, the critical Rayleigh number is decreased, and tends to a finite limit.t.

The Characteristics of Cr-Free Coating Hot Dip Galvanized Sheet Steel

  • Kim, Jong-Gi;Moon, Man-Been;Yun, Jeong-Mo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4-29
    • /
    • 2011
  • The greatest purpose of chromate treatment is to improve anti-corrosion by stabilizing a metal surface. Because metal surface forms a compound by absorbing oxygen or water in the air by being generally unstable,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ti-corrosion of the metal by forming the metal surface with a stable film. When consider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requirements together because the film of the metal surface treated with chromate has good anti-corrosion and the stability also in the air by being compact and strong, Chromate treatment has been used most up to the electronics industry from the auto industry. However, these days, because hexavalent chromium is both a toxic agent to be able to cause cancers and deadly poisonous environmental pollutant, the strong legal controls on its use is being imposed all over the world. Because of this reason, a new anti-corrosion method is being required. Also, by users' various demands, the passivations that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require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conductivity, chemical resistance, alkali cleaning resistance as well as anti-corrosion. We could confirm the results such as excellent anti-corrosion compared to chromate, conductivity, chemical resistance and detergent resistance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galvannealed sheet steels coated with Cr-Free solution developed in this research.

온실용 다겹보온자재의 보온성 비교 -Hot box 시험 결과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rmal Insulation of Multi-Layer Thermal Screens for Greenhouse: Results of Hot-Box Test)

  • 윤성욱;이시영;강동현;손진관;박민정;김희태;최덕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5-26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온실농가에서 수명이 다하여 교체작업이 이루어진 총 4종의 다겹보온자재를 채취하여 해당 사용기간별 보온성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여기서 고안된 Hot box 시험이 실시되었다. 4종의 다겹보온자재는 마트지, 부직포, PE폼 및 화학솜 등이 주요 재료로서 다겹보온자재별로 이 재료들이 서로 다르게 조합된 형태였다. 이 4종의 다겹보온자재를 시편($70{\times}70cm$)으로 제작하여 Hot box 시험을 통해서 대상시편별로 온도 하강률, 열관류율 및 열전도저항 등이 측정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겹보온자재들에 대하여 적절한 보온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사용기간은 약 5년 정도로 예상되었다. 다겹보온자재의 재료조합에 대하여 다겹의 PE폼을 적용하여 상대적으로 보온성을 높일 수 있으나 다겹보온자재 내에서 공기 단열층을 형성하는 화학솜에 비해 보온성능에 대한 기여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겹보온자재에 대하여 적절한 보온성능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화학솜과 같은 공기 단열층을 형성하는 기능이 있는 재료가 다겹보온자재에 포함되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Hot box 시험을 통해 다겹보온 자재의 온도 하강률, 열관류율 및 열전도저항 등이 적절하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용이 완료된 다겹보온자재의 채취 어려움으로 총 4종의 다겹보온자재만 고려되었으며, 이는 비교적 적은 사례로 통해 얻어진 결과라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한계이다. 향후 관련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사례들이 조사 및 보완되어야 될 것이다.

산업 설비 재료에 CCO박막의 적용을 위한 부식성 분석 (Corrosion analysis for application of CCO thin films to industrial equipment materials)

  • 백민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98-103
    • /
    • 2018
  • 산업의 발전에 따라 설비 및 재료 등 따라서 재료 표면의 특성을 내식성 및 고강도, 내마모성 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코팅 기술들이 발전해 왔다. 그 중 CCO(CaCoO, 이후 CCO) 박막 형성은 전자재료 영역에서 연구, 사용이 되어오고 있는데, 이 CCO 박막의 특징 중 하나가 고온의 열에 강하다는 것이 있다. 특히 CCO 박막을 형성 시키는 방법 또한 비교적 간단하여 고온의 산화 분위기에 도입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CCO 박막의 코팅이 용융 아연 도금 설비에 적용을 하기 전에, 고온 및 Zn fume에 대한 부식성을 파악하여 용융 아연 도금 설비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 및 분석을 실시 하였다. 우선 기본 소재 STS304 표면에 CCO 박막을 형성 시키고, 650도의 대기로에서 Zn fume의 분위기 내에서 산화 시킨 후 CCO 박막의 부식 정도를 확인 및 측정 하였다. 산화는 30일간 진행되었고, 30일 후 SEM을 이용하여 CCO박막의 형상을 확인 하였으며 동전위분극 실험을 통하여 부식성을 분석하였다.

합성수지 메탈시트와 3면겹침용 채움재가 공법화된 합성고분자계 시트를 이용한 건식화 방수기술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Dry Waterproofing Technology Using Synthetic Polymer Sheet Comprised of Synthetic Resin Metal Sheets and Tri-Layered Filler)

  • 구자응;김범수;이정훈;송제영;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9-140
    • /
    • 2017
  • This technology employs a method of forming a single-ply PLUS waterproofing sheet layer comprised of applying a single-ply synthetic polymer layer on a vibrating structure (steel frame, RC) or an inclined surface by using a T joint lap-filling coil and an embedded metal coated sheet. The T - joint reinforcing lap-filling coil was used to block the ingress channel of the rainwater by applying the material in the vulnerable area where the three sides of the waterproof sheet overlapped. Conventional waterproofing techniqu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waterproof sheet is pierced because the end portion of the waterproof sheet applied to the vertical portion is fixed by a nail, and the sealant appli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heet cannot easily secure long-term waterproof durabilit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the developed technology secured the waterproof durability against the vertical part by using the embedded metal sheet. In addition, automatic hot-air fusing is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waterproof construction and point fixation method using fixed hardware. This is a technology that is not significantly restricted in the high degradation level regions of domestic waterproof construction environments in Korea such as low-temperature environment, wet floor.

  • PDF

어패류의 Trypsin활성 저해물질의 분포와 가공중의 변화 2. 자건멸치 가공저장중의 Trypsin활성 저해물질과 In Vitro Apparent Digestibility의 변화 (Distribution of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TI) in Seafoods and Its Changes during Processing 2. Changes in TI and In Vitro Apparent Digestibility of Boiled and Dried Anchovy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 이강호;조진호;유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08
    • /
    • 1984
  • 소화율이 우수한 자건멸치의 가공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숙시간과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멸치를 저온($9{\pm}1^{\circ}C$) 및 고온($26{\pm}1^{\circ}C$)에서 저장했을 때의 trypsin 활성저해물질(TI)과 시험관적 단백질 개산소화율의 변화를 측정하고, 동시에 이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지방의 산패 및 갈변도의 변화를 분석 검토하였다. 자숙시간에 따른 TI의 생성정도는 5분간 자숙한 시료가 가장 적었고, 건조방법을 달리 했을 때는 열풍 건조시료가 일건 및 동결건조시료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저온($9{\pm}1^{\circ}C$)에서 저장한 시료는 고온($26{\pm}1^{\circ}C$) 저장시료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5분간 자숙 후 천일건조한 시료의 경우는 저온저장 56일에 0.173mg/g의 TI를 나타내어 전 시료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소화율은 0.5분간 자숙하여 천일건조한 경우는 $85.3\%$, 1분간 자숙 후 동결건조했을 때 $85.9\%$로 가장 높았으며, 저온저장($9{\pm}1^{\circ}C$)한 것이 고온저장($26{\pm}1^{\circ}C$)한 것 보다 감소정도가 적어 저장 56일 후에도 $2.5\%$ 밖에 감소하지 않았다. 지방의 산패는 자숙조건별로 볼 때 5분간 자숙한 시료에서, 건조방법별로는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촉진되었고, 갈변은 생시료 또는 0.5분간 자숙하여 일건한 뒤 고온($26{\pm}1^{\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가장 촉진되 었다. 소화율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하하는 반면, TI의 생성정도 지방의 산패정도 및 비효소적 갈변도도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지방의 산패 및 비효소적 갈변반응이 TI의 생성 및 소화율적 저하에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페놀수지 및 에틸렌 글리콜을 첨가한 유리질 카본 코팅층의 물성 제어 (Morphology control of glassy carbon coating layer to additive ethylene glycol and phenolic resin)

  • 주상현;주영준;이혁준;심영진;박동진;조광연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89-9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페놀수지를 사용하여 흑연표면에 유리질 카본 코팅을 진행하였다. 코팅액은 균일한 표면을 가지는 유리질 카본 코팅층 형성을 위해 페놀수지와 경화제, 희석제, 첨가제 등을 혼합하였다. 코팅된 페놀수지는 25~60℃에서 건조 100~200℃에서 경화 500~1,500℃에서 열처리하여 유리질 카본으로 전환하였다. 유리질 카본의 특성 분석을 위해 FTIR, XRD, SEM 분석, 밀도/기공율/접촉각 측정을 진행하였다. 유리질 카본 형성에 있어 최적 온도는 약 1,000℃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첨가제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코팅 표면의 결함감소, 기공율 감소, 접촉각 증가, 밀도 증가 등의 효과를 보였다. 첨가제를 통한 유리질 카본 코팅층 형성 방법은 흑연 코팅 및 다른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섬유판(纖維板)의 증강(增强)사이즈제(齊)가 재질(材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trength Increasing Sizes on the Quality of Fiberboard)

  • 신동소;이화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9
    • /
    • 1976
  • 습식(濕式)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 제조(製造)를 위(爲)한 보강용(補强用) 사이징제(劑)로서 실험실(實驗室) 제조(製造)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 요소수지(尿素樹脂)(음(陰)이온 형(型), 양(陽)이온 형(型)),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와 일본(日本) M사(社)의 변성(變性)메라민수지(樹脂)(P-6100)와 변성(變性) 양(陽)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P-1500)등을 사용(使用)하여 섬유판(纖維板) 재질(材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공시재(供試材)는 라왕(20%)+소나무(80%)로 사용(使用)하였고 침착제(沈着劑)는 황산알미늄을 사용(使用)하였으며 열압조건(熱壓條件)은 전기가열(電氣加熱) 푸레스로 $180^{\circ}C$, $50-6-50kg/cm^2$, 시간(時間)은 1-2-7분(分)으로 S-1-S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을 제조(製造)하여 일주일 기건(氣乾)시킨 후(後) 그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섬유판(纖維板)의 비중(比重)은 각(各) 보강제(補强劑)의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비중(比重)의 차(差)는 없으나 보강제(補强劑) 간(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어 변성(變性)메라민수지(樹脂)가 제일 높고 양(陽)이온형(型), 음(陰)이온형(型) 및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가 중간(中間)이며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가 제일 낮았다. 2. 섬유판(纖維板)의 함수율(含水率)은 보강제(補强劑) 간(間)의 차(差)와 보강제(補强劑)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함수율(含水率)의 차(差)가 전부(全部)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 전체적(全體的)으로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 수록 함수율(含水率)은 떨어지나 2%와 3% 처리(處理) 간(間)의 함수율(含水率) 차(差)는 없었다. 3. 섬유판(纖維板)의 흡수율(吸水率)은 보강제(補强劑) 간(間) 및 파라핀 왁스유탁액(乳濁液) 처리량(處理量) 간(間) 모두 다 유의차(有意差)를 보이고 있다. 파라핀 왁스유탁액(乳濁液) 처리량(處理量)을 늘일수록 흡수율(吸水率)은 떨어져 내수성(耐水性)이 증가(增加)함을 보이고 있으며 P-6100 및 P-1500은 무처리(無處理)에도 표준규격(標準規格)을 만족시켜 주며 음(陰)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 양(陽)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의 산(酸)콜로이드는 내수제(耐水劑)를 1% 요구하고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는 2%에 합격(合格)되고 있었다. 4. 섬유판(纖維板)의 곡강도(曲强度)는 보강제(補强劑) 간(間) 및 보강제(補强劑) 처리량(處理量) 간(間)에 모두 유의차(有意差)가 있으며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 수록 곡강도(曲强度)는 증가(增加)하였다. P-6100이 가장 곡강도(曲强度)가 높고 P-1500, 양(陽)이온형(型) 및 음(陰)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의 산(酸)콜로이드등(等)이 중간(中間)이며,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가 곡강도(曲强度)는 제일 낮았다. 5. 섬유판(纖維板)의 품질(品質)과 경제적(經濟的)인 면(面)을 고려한다면 석탄산수지(石炭酸樹指)의 대체(代替)로서 산(酸)콜로이드 방법(方法)에 의한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와 양(陽)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들 변성수지(變性樹脂)에 대(對)한 개선(改善) 연구(硏究)가 계속 필요(必要)하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