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tal epidemiology

검색결과 755건 처리시간 0.025초

최근 10년간 Mycoplasma pneumoniae 폐염의 임상양상에 대한 고찰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in Children during Recent 10 Years)

  • 이강우;류호준;김일경;성호;최창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1호
    • /
    • pp.86-92
    • /
    • 1999
  • 목 적 : Mycoplasma pneumoniae 폐염은 소아 및 학동기 폐염의 주된 원인이고 영아기 또 는 유아기 호흡감염으로 차차 증가하고 있는 비세균성 폐염으로 경한 침범으로부터 늑막삼 출을 동반한 심한 폐염등의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데 흉부방사선 소견과 함께 냉응집소 및 Mycoplasma 항체가의 측정으로 초기에 진단이 가능하다. 저자들은 흉부방사선 소견과 냉응 집소 및 Mycoplasma 항체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의 환자의 연도별 분포양상과 폐내 혹은 폐외 합병증 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86년 7월 1일부터 1996년 6월 30일까지 만 10년간 서울위생병원 소아과에 폐염으로 입원한 2세이상의 환아중 냉응집소 또는 Mycoplasma 항체가 양성으로 보인 환아 및 추적관찰에서 4배이상의 증감을 보인 환아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연도별로 1987년 67례(2.8%), 1990년 78례(3.5%), 1993년 121례(3.4%), 1994년에 57 례(2.73%)가 보여 대체로 3년 주기로 호발하였고 뚜렷한 계절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분포는 2~4세가 217례(43.4%)로 가장 많았고 남녀 비는 1:1로 차이가 없었다. 흉부방사선 소견에서 폐염의 양상은 간질성이 213례(43%)로 가장 많았고 폐염 병소의 위치는 일측성이 417례(83%)였으며 일측성중 우측하엽이 183례(37%)로 가장 많았다. 폐외의 합병증은 간기능 수치의 증가가 109례(21.8%), 현미경적 혈뇨가 16례(3.2%), 단백뇨가 20례(4%), 피부병변이 29례(5.8%)였고, 폐내의 합병증은 무기폐가 11례(2.2%), 폐기종이 5례(1%), 늑막삼출이 27례(5.4%) 보였다. 늑막삼출은 대엽성 및 소엽성 폐염에서 16례(59%)로 가장 많았고 늑막 삼출의 정도는 대개 경미하였으며 삼출액은 전부 장액성이었으며, 냉응집소치에 대한 Mycoplasma 항체검사의 민감도는 53.3%였다. 결 론 : Mycoplasma pneumoniae 폐염은 대체로 3년의 유해주기를 보였고 계절별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령분포에서 2~4세가 대상환아의 43.4%을 차지하여 M. pneumoniae 폐염이 어린 소아에서 드물다는 일반적인 학설과 상반되는 것으로 향후 그 추이를 관찰을 요하며 간기능 수치가 대상환아의 21.8%로 증가되어 간기능검사등을 포함한 최소한의 검사의 필요성이 있고 냉응집소치와 Mycoplasma 항체가의 상관성이 낮아 향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Mycoplasma pneumoniae의 DNA을 측정하는 등 진단의 정밀도를 높이는 방법이 강구되어야겠다.

  • PDF

포항지역에서 발생한 무균성 뇌막염 환아의 역학적 양상 연구 : 1997~2002 (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f Aseptic Meningitis Occurred in Pohang City : 1997~2002)

  • 김석헌;배순호;정해관;정철;이선주;고준태;김문규;정은영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193-199
    • /
    • 2003
  • 목 적 : 1997년부터 2002년까지 6년 동안 포항지역에서 발생한 무균성 뇌막염의 역학적 양상을 연도별로 비교하고 누적발생률을 확인하여 추후 무균성 뇌막염의 전파양상 규명과 예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부터 2002년까지 포항지역 3개 종합병원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1일 이상 입원한 15세미만 환아 중 소아과 전문의와 전공의의 의무기록지 검토를 통해 확인된 1,750명을 대상으로 역학적 발생양상을 조사하고, 누적발생률을 산출하였다. 결 과 : 전산기록으로 확인한 환아의 95.2%(1,750명 : 남아 1,078명, 여아 672명)를 무균성 뇌막염으로 확인하였다. 6개년도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많았으며(1.6 : 1), 1997년에 464명이 발생한 이후 발생수가 감소하였다가 2000년 이후 다시 증가하여 2002년 648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발생월별 분포는 6월이 31.3%로 가장 많았으며,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간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전체 발생의 84.2%를 차지하였다. 증상 발현일부터 입원까지 걸린 기간은 0일에서 35일까지 다양하였으며, 평균 $4.19{\pm}2.96$(중앙값 3일)일이 소요되었다. 5일 이내가 1,417명(81.0%)을 차지하였다. 증상발현 당일 입원한 경우는 3명(0.2%)에 불과하여 증상이 진행된 후에 병원을 방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아의 연령을 3단계로 구분하여 각 연도별로 인구 10만명당 누적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각 연도마다 다발 연령군이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며, 매년 특정 연령군 대에 환아가 집중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 론 : 1997년부터 2002년까지 포항지역 3개 종합병원에서 입원 치료받은 무균성 뇌막염 환아의 역학적 양상을 조사하였다. 포항지역의 무균성 뇌막염 환아가 매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원인을 규명하고 장기적인 예방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Cancer Incidence in Zhejiang Cancer Registry in China during 2000 to 2009

  • Du, Ling-Bin;Li, Hui-Zhang;Wang, Xiang-Hui;Zhu, Chen;Liu, Qing-Min;Li, Qi-Long;Li, Xue-Qin;Shen, Yong-Zhou;Zhang, Xin-Pei;Ying, Jiang-Wei;Yu, Chuan-Ding;Mao, Wei-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839-5843
    • /
    • 2014
  • Objective: The Zhejiang Provincial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Office collected cancer registration data during 2000 to 2009 from 6 cancer registries in Zhejiang province of China in order to analyze the cancer incidence. Methods: Descriptive analysis included cancer incidence stratified by sex, age and cancer site group. The proportions and cumulative rates of 10 common cancers in different groups were also calculated. Chinese population census in 1982 and Segi's population were used for calculating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s. The log-linear model was used for fitting to calculate the incidence trends. Results: The 6 cancer registries in Zhejiang province in China covered a total of 60,087,888 person-years during 2000 to 2009 (males 30,445,904, females 29,641,984). The total number of new cancer cases were 163,104 (males 92,982, females 70,122). The morphology verified cases accounted for 69.7%, and the new cases verified only by information from death certification accounted for 1.23%. The crude incidence rate in Zhejiang cancer registration areas was $271.5/10^5$ during 2000 to 2009 (male $305.41/10^5$, female $236.58/10^5$),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s by Chinese standard population (ASIRC) and by world standard population (ASIRW) were $147.1/10^5$ and $188.2/10^5$, the cumulative incidence rate (aged from 0 to 74) being 21.7%. The crude incidence rate was $209.6/10^5$ in 2000, and it increased to $320.20/10^5$ in 2009 (52.8%), with an annual percent change (APC) of 4.51% (95% confidence interval, 3.25%-5.79%). Age-specific incidence rate of 80-84 age group was achieved at the highest point of the incidence curve. Overall with different age groups, the cancer incidences differed, the incidence of liver cancer being highest in 15-44 age group in males;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was the highest in 15-64 age group in females; the incidences of lung cancer were the highest in both males and females over the age of 65 years. Conclusions: Lung cancer, digestive system malignancies and breast cancer are the most common cancers in Zhejiang province in China requiring an especial focus. The incidences of thyroid cancer, prostate cancer, cervical cancer and lymphoma have increased rapidly.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se cancers.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분자 유전학적 방법에 의한 Human Astrovirus 감염의 유병률 (Molecular Epidemiology of Human Astrovirus Infection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 정주영;허경;김상우;신보문;한태희;이재인;송미옥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2호
    • /
    • pp.139-146
    • /
    • 2006
  • 목 적: Human astrovirus (HAstV)는 전세계적으로 영아 연령에서 중요한 위장관염의 중요 병원체로 알려지고 있지만 국내에서 HAtV 감염의 유병률에 대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이에 저자들은 분자 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5세 이하의 소아에서 HAstV의 유병률과 유전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12개월간 인제의대 상계백병원 소아과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5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수집된 대변 검체 812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변 검체에 대해서 enzymeimmunoassay(EIA) 또는 RT-PCR을 이용하여 rotavirus, enteric adenovirus와 norovirus 감염여부를 진단하였다. HAstV 특이적인 시발체를 이용하여 RTPCR을 시행한 다음 염기서열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총 812건의 검체에서 rotavirus 양성률은 16.9% (138/812), norovirus 양성률은 11.5% (94/812), adenovirus 양성률은 4.0% (33/812)였다. HAstV의 유병률은 RT-PCR 방법에 의해 4.0% (33/812)였다. HAstV 양성인 환아의 연령은 생후 12개월 미만 82.0%, 1~2세 미만 6.0%, 2~3세 미만 6.0%, 3~5세 이하가 6.0%였다. HAstV의 월별 분포는 각각 4월 3건, 5월 5건, 6월 4건, 8월 12건, 9월 4건, 10월 2건, 11월 2건, 12월 1건으로 8월에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염기서열 분석이 가능하였던 HAstV 양성 검체 22건 중에서 유전형-1이 20건, 유전형-8이 2건이었다. 결 론: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12개월간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HAstV 감염 유병률은 4.0%였으며, 영아기 연령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국내 HAstV 감염의 정확한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유행 시기에 따른 Palivizumab 예방요법시기의 적정성 평가: 22년간 단일기관 연구 (Evaluation of Timeliness of Palivizumab Immunoprophylaxis Based on the Epidemic Period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22 Year Experience in a Single Center)

  • 김승연;이고은;강수영;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3호
    • /
    • pp.172-177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유행 시기에 따른 palivizumab 투여 시기의 적절성을 분석함으로써 palivizumab 예방요법을 시작하는 시기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1년 1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호흡기 증상이 있는 소아의 호흡기 검체를 채취하여 RSV 항원 검사, 배양 검사 및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RSV 양성건수와 RSV 검출률을 2주 단위로 조사하였으며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가 도입되기 전, 1991년 1월부터 2007년 10월까지는 RSV 항원 및 배양 검사로 바이러스를 검출하였고 이후에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 방법으로 검출하였다. RSV 유행 시기의 시작은 2주 동안 4건 이상의 검체에서 양성을 보이면서 RSV의 검출률이 10% 이상을 동시에 만족하는 시기로 정의하였다. 또한 2007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2세 미만의 RSV 감염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palivizumab의 예방요법 시작시기를 분석하였다. 결과: 22년간 RSV 검출률은 2,013/21,698 (9.69%)였으며 RSV 평균 유행기간은 10월 2-3주에서 2월 1-2주로 확인되었다. 가장 빨리 유행이 시작되었던 시기는 7월 셋째 주(2001년)이었고 가장 늦게 유행 시기가 끝났던 시기는 5월 셋째 주(1990년)였다. 가장 많이 palivizumab을 시작한 시기는 10월 셋째 주(18.7%)였으며, 9월 15일 이전에 palivizumab 예방요법을 시작하는 비율이 2007년 3.8%에서 2013년에는 14%로 증가하였다. 결론: RSV 유행 시기에는 해마다 차이가 있으며, palivizumab의 비용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매해 RSV 유행이 시작하는 시점에 따라 palivizumab 투여 시작 시기와 투여 기간을 조절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의 분자 아형 분석 (Molecular Subtyp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Nasal Cavity)

  • 김상하;박성배;박희철;김준성;김정호;이지영;임재원;김영권;김성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8-13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총 39건의 MRSA 분리 배양 균주를 이용해 mecA 유전자 검출,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임상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MRSA 총 39주 중 SCCmec type-II가 24건, type-II/IVa가 2건, type-II/V가 1건, type-IVa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분석되었으며, mec complex type A가 29건, not-typeable이 10건이었으며, type B는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된 MRSA 분리 배양 균주 중 SCCmec type-II와 mec complex type A 아형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결과는 의료기관 획득 MRSA에 관한 다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후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not-typeable 아형의 MRSA 균주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MRSA 아형 규명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MRSA 분리 배양 균주의 아형을 분석함으로써 그 분자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것으로 사료된다.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symptoms of ill health

  • Cho, Yong Min;Lim, Hee Jin;Jang, Hoon;Kim, Kyunghee;Choi, Jae Wook;Shin, Chol;Lee, Seung Ku;Kwon, Jong Hwa;Kim, Nam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1권
    • /
    • pp.22.1-22.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s between mobile phone call frequency and duration with non-specific symptom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population group including 532 non-patient adults established by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The pattern of phone call using a mobile phone was investiga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Structured methods applied to quantitatively assess health effects are Headache Impact Test-6 (HIT-6),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ceived Stress Scale (PS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d 12-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where a higher score represents a higher greater health effect. Results The average daily phone call frequenc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SS score in female subjects. Increases in the average duration of one phone cal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creases in the severity of headaches in both sexe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HIT-6 score in the subgroup of subjects whose average duration of one phone call was five minutes or longer was 45.98 (8.15), as compared with 42.48 (7.20) in those whose average duration of one phone call was <5 minutes. The severity of headaches was divided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 HIT-6 score (little or no impact/moderate impact/substantial or severe impact),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n increased phone call duration and the headache severity. When the average duration of one phone call was five minutes or longer, the odds ratio (ORs)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moderate impact group were 2.22 and 1.18 to 4.19, respectively. The OR and 95% CI for the substantial or severe impact group were 4.44 and 2.11 to 8.90, respectively. Conclusions Mobile phone call durat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ress, sleep, cognitive function, or depression, but wa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headaches.

국내 급성 dichlorvos 중독 현황과 임상상 분석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Dichlorvos Poisoning in Korea)

  • 이미진;박준석;권운용;어은경;오범진;이성우;서주현;노형근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15
    • /
    • 2008
  • Purpose: Dichlorvos has been in widespread use as an organophosphate (OP) insecticide comp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ess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dichlorvos in Korea. Methods: This was a 38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of dichlorvos poisoning using surveys, a structural reporting system and review of hospital records from August 2005 to July 2006. A total of 54 patients with acute dichlorvos poisoning on a national basis were enrolled. We analyzed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dichlorvos poisoning. In addition, the clinical features of dichlorvos poisoning were compared with others OP compounds.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compounds involving pure OP poisoning were dichlorvos (22.7%), methidathion (8.4%), and phosphamidon (6.7%). In acute dichlorvos poisoning, all ingestion routes were oral. Intentional poisoning involved 74.1% of cases. The common initial complaints involved gastrointestinal (64.8%), systemic (61.1%), central or peripheral nervous system (53.7%), and respiratory symptoms (50.0%). The median arrival time to hospital after dichlorvos poisoning was 2.6 hours and mean hospitalization duration was 7.1 days. 2-PAM was administered in 35 patients in mean doses of 6.3 g/day intravenously. Atropine was administered in 30 patients with a mean dose of 62.8 mg/day (maximal 240 mg/day). Overall mortality rate for dichlorvos poisonings were 14.8% (8/54). Immediate causes for death included sudden cardiac arrest or ventricular dysrhythmias (50%), multi-organ failure (25%), acute renal failure (12.5%), and unknown causes (12.5%). Conclusion: When compared to previous reports, dichlorvos poisoning displayed relatively moderate severity. The presence of a lower GCS score, altered mental status, serious dysrhythmias, systemic shock, acute renal failure, and respiratory complications upon presentation were associated with a more serious and fatal poisoning.

  • PDF

소아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증의 역학적 특징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Human Bocavirus-Associated Respiratory Infection in Children)

  • 최재홍;백지연;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61-67
    • /
    • 2011
  •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에서 보카바이러스와 연관된 하기도 감염증의 역학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과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에 하기도 감염증으로 입원한 658명의 소아에게서 비인두 흡입 검체를 채취하였다.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11종의 바이러스를 조사하였고,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전체 호흡기바이러스는 658명의 환아 중 325명(49.4%)에서 검출되었다. 보카바이러스는 62명(9.4%)에서 검출되었으며, 3개월 이상 5세 미만에서 많았다. 보카바이러스가 중복감염이 확인된 것은 37.1%로, 전체 바이러스 양성 환자들의 중복감염률(12.3%)보다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 =0.000). 또한 늦은 봄부터 이른 여름인 5월부터 7월에 많이 검출되었다. 결 론 : 보카바이러스는 국내에서 소아의 하기도 감염증에서 유병률이 높았고, 특히 늦은 봄부터 초여름에 유행하였다.

Gender and Intentionality Disparities in the Epidemiology and Outcomes of Falls from Height in Korean Adults

  • Han, Seung Uk;Kim, Sun Pyo;Kim, Sun Hyu;Cho, Gyu Chong;Kim, Min Joung;Lee, Ji Sook;Han, Chul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2권4호
    • /
    • pp.226-23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patients who had fallen from a height and presented to an emergency room (ER) according to gender and intentionality, with the goal of reducing the harm caused by these injuri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fall-from-height patients aged ≥19 years from the in-depth surveillance study of injured patients visiting ERs conduct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2011 to 2016. Patter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intentionality. Results: There were 29,838 men (68.5%) and 13,734 women (31.5%), with mean ages of 50.3±15.7 years and 57.2±19.9 years,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height of the fall was ≥1 m to 4 m in men (n=15,863; 53.2%) and <1 m in women (n=7,293; 53.1%). The most common location where the fall occurred was the workplace for men (n=10,500 male; 35.2%)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r women (n=7,755; 56.5%). Most falls from height were unintentional (n=41,765; 97.1% vs. n=1,264; 2.9% for intentional falls). Suicide was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intentional falls, and the age group of 19-30 years predominated in this category (n=377; 29.9%). For intentional falls, the most common interval before presentation to the ER was 0-6 hours (n=370; 29.3%) and the most common height was ≥4 m (n=872; 69.0%). Conclusions: Among men, falls from height most often occurred from ≥1 m to 4 m, at the workplace, and during the course of paid work, whereas among women, they were most common from <1 m,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during daily activities. Intentional falls most often occurred with the purpose of suicide, in the age group of 19-30 years, with an interval of 0-6 hours until treatment, from ≥4 m, and in residential facilities. Alcohol consumption was more common in intentional fa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