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tal Workers

검색결과 1,064건 처리시간 0.027초

요실금환자의 골반근육운동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배뇨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Esteem and Urinary Symptoms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 이영희;김선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60-369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Self-esteem, urinary symptoms, peak pressure and duration in seconds for vaginal contraction after pelvic muscles exercise were examined. Metho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participants were 27 married women from G city.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ere :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the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 a subjective measur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developed by Jackson et al.(1996) and the Perineometer used as an objective measurement of peak pressure and duration in seconds. Result: 1.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exercise (t=-3.832, p= .001). 2. Comparison of results before the pelvic muscles exercise and after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several urinary symptoms including enuresis (t=2.833, p=.009), frequency of incontinence (t=2.964, p= .006), incontinence volume (t=2.280, p= .031), incontinence before getting to the restroom (t=3.035, p= .006), incontinence with no reason or feeling (t= 3.051, p= 005) burning sensation (t= 2.132, p=.043), and a sense of residual urine (t=2.267 p=.032). The mean scores showed improvement in the urinary symptoms of management of incontinence (M=$0.04{\pm}0.22$), daily frequency of incontinence management (M=$0.13{\pm}0.85$), urinary control (M=$0.15{\pm}0.86$), running to the restroom (M=$0.15{\pm}0.60$) incontinence caused by coughing or physical activities (M=$0.19{\pm}0.57$) and hesitancy (M=$0.07{\pm}0.55$). Overall urinary symptoms decreased significantly (t =3.073. p= .007). 3. Peak pressure showed an increase from a mean of $24.26{\pm}16.20mmHg$ before the exercise to a mean of $28.63{\pm} 17.79mmHg$ after (t=-2.399, p=.024). Duration in seconds also increased from a mean of $6.00{\pm}4.95sec$ to $9.15{\pm}5.83sec$ (t=-4.400, p= 000).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lvic muscle exercise serves to decrease urinary problems, improve self-esteem and increase peak pressure and duration in seconds.

  • PDF

AEC 사용 유무에 따른 영상의 화질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김광호;유관주;강지원;고봉주;김경란;김민희;윤영우;예수영;최석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6-89
    • /
    • 2015
  • 자동노출제어장치 (AEC : Auto Exposure Control)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관전압과 관전류 설정에 따른 영상의 정량적인 평가를 통하여 최적의 영상을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 AEC 사용유무 및 촬영조건의 조절과 영상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DR의 올바른 사용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흉부팬텀으로 조건변화에 따른 Chest PA 영상을 획득한 뒤 영상평가인자인 신호 대 잡음비 (SNR), 대조도 대 잡음비 (CNR), 최대신호 대 잡음비 (PSNR), 평균 제곱근 (RMS)을 이용하여 영상평가를 실시한다. 관전압이 감소, 관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SNR, CNR, PSNR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RMS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고관전압, 저관전류 영역에서는 AEC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가 AEC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SNR, PSNR이 높게 나타났으며, RMS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저관전압, 고관전류영역에서는 AEC가 SNR, PSNR이 높게 나타났으며, RMS는 낮게 나타났다. 촬영조건의 변화와 AEC의 사용유무에 따라 영상의 질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상황과 방사선 종사자의 효율적인 업무를 위해 AEC 사용이 더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종사자의 무조건적인 AEC의 사용보다는 환자의 상태 및 촬영 자세 등 여러 조건을 고려한 능동적인 AEC 사용자세로 최적의 영상의 질을 얻도록 권장한다.

  • PDF

C지역 치과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A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Psychosocial Factors of Dental Professionals in C Region)

  • 한지형;김진;남수현;김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9-28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 치과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 3월 9일부터 3월 28일까지 충청도에 소재한 치과종사자 20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정부위별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 정도는 신체부위 모두에서 상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2.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근골격계 질환 관심도가 높았으며(p=.000), 연령별로는 26-30세 이하가 관심도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 3. 업무만족은 요부군과 하지군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업무스트레스에 있어서는 요부군과 하지군에서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동료만족에서는 상지군과 하지군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병원만족은 상지군과 요부군, 하지군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근무환경과 만족에서는 목군과 어깨군, 상지군, 하지군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각 신체부위에서 사회심리적 특성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사회심리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남자 성인을 대상으로 한 방사성옥소($^{131}I$)의 갑상선 및 각 장기별 잔류율과 소변 일일배설률 측정 (Measurement of Uptake Rates of Internal Organs Including Thyroid Gland and Daily Urinary Excretion Rates for Adult Korean Males)

  • 김정훈;김희근;황주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45-50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인 특성에 대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방사성핵종의 체내 흡수선량 평가를 위한 일환으로 $^{131}I$을 선정하여 체내 각 장기별 잔류율 및 소변 일일배설률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성인남성 28명을 대상으로 $^{131}I$을 경구 투여한 후, 시간대별(2, 4, 6, 24시간) 갑상선, 간, 위, 소장, 신장, 소변의 방사능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장기별 잔류율 및 소변 일일배설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131}I$ 투여 24시간 후 갑상선이 평균 19.70%의 잔류율과 71.12%의 소변 일일배설률을 나타냈으며, 갑상선을 제외한 각 장기는 투여 2시간 후 최고 잔류율 및 최고 소변 일일배설률을 보이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잔류율이 높은 장기 순서는 갑상선을 제외하고 위, 왼쪽 신장, 간, 소장, 오른쪽 신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방사성옥소의 섭취 24시간 후 갑상선 잔류율 변화는 기존 30%로 보고된 ICRP-54/67 및 25% 잔류율로 보고된 ICRP-78의 자료와 차이를 나타냈다.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체내 흡수선량 평가의 올바른 접근과 그에 따른 기초 자료의 확보는 향후 원자력 발전소의 작업 종사자 내부피폭 및 임상에서 발생 가능한 체내 피폭의 정량적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A Preliminary Survey of Attitude Towards IVF Surrogacy)

  • 박준철;김종인;이정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2호
    • /
    • pp.75-85
    • /
    • 2007
  • 목 적: 뮬러관 기형과 같이 자궁이 없는 환자들에 있어 시행되어지는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본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불임 환자 및 본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사무직 여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배포된 설문지 중 회수된 211명, 즉 불임 환자 60명을 포함하여 기혼 여성이 152명, 미혼 여성이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리모에 찬성한 군과 반대한 군으로 나누어 윈도우용 SPSS 10.0을 이용하여 Pearson x$^2$ test, Fisher's exact test 등으로 비교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의 판정은 p-value<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 과: 전체 응답자 중 17명 (8.1%)만이 자궁이 없는 불임여성의 대리모 시술에 찬성하였으며, 125명 (59.2%)에서는 입양을 선택하였다. 대리모에 찬성하는 군은 반대한 군에 비하여 나이, 결혼 여부, 교육 정도, 수입 정도뿐만 아니라 불임 여부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종교에 따라서는 기독교인에게서 찬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23). 대리모의 대상으로는 혈연관계가 아닌 제 3자를 선택한 경우가 66.5%로 가장 많았고 친구가 0.6%로 나타났으며, 혈연관계로는 자매 24.5%, 시누이 3.9%이었으며 어머니를 선택한 경우도 4.5% 있었다. 결 론: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로 출산은 뮬러관 기형과 같은 자궁이 없는 불임 부부에게는 분명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 보듯이 한국 사회에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더 많다고 하겠다. 앞으로 광범위 의식 조사가 이루어진 뒤, 이 시술에 대한 의사의 역할 및 여러 문제에 관한 법적, 윤리적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신체장애평가법에 관한 비교연구 - 신체장해등급법, McBride법, 미국의학협회 (AMA)기준법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Evaluation Methods of Permanent Impairment in Korea)

  • 이창옥;최정근;손미아;문옥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3호
    • /
    • pp.627-651
    • /
    • 1994
  • In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 examine and compar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ifferent evaluation approaches toward permanent impairment in Korea. Alternatives and improvements in the current approaches in Korea were suggested. Series of cases were also examined to compare different approaches applied to the real cases, using 105 cases from a hospital data and another 207 cases from a insurance company data. The main findings of the literature review are as follows; 1. The current evaluation methods of permanent impairment in Korea are grouped into two categories, grading and rating. Gradings of impairments are expressly specified in 17 various statutes. 2. In Grading methods, the rigid system of 74 different grades has been adopted uniformally for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which may not be, appropriate or valid from medical and scientifical aspect. 3. The adventage of McBride method is assessment of occupational disability rate. However the classified compensable occupations are only 280 and limited to manufacturing industries in 1960s'of U.S.A., which is not appropriate to current Korean circumstances. Especially, the job list does not include managerial officers or mental workers. 4. AMA Guides is the scientific and reasonab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physical impairment rate. However compensation and reparation of impairment case is difficult because this method cannot assess the disability rate according to occupation, age, etc. The results of cases comparative study are as follows: 5. The physical Impairment could be compared in 167 out of total 312 cases, and for the cases of complex impairment, McBride method underestimate physical impairment rate compared with AM A method. 6. When disability late was assessed, occupation was considered the compensation of only 85 cases, and age was used in only 21 cases. This was because occupation and age compensation in McBride method are unreasonable. 7. The most Ideal alternative is to assess physical impairment according to AMA method and then to develop a compensation method appropriate for the circumstances of Korea society.

  • PDF

개인 건강행태 및 지역보건의료 수준이 고혈압 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Patient Behavior and Medical Care Level on Doctor's Diagnosis of Hypertension)

  • 박창수;김영란;이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19-130
    • /
    • 2016
  • 본 연구는 의사로부터 고혈압으로 진단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개인 건강행태 및 지역 보건의료수준이 고혈압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2010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대상 만 19세 이상 성인 229,229명을 대상으로 개인특성에 따른 고혈압 의사진단의 차이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개인 및 지역수준 변수를 고려한 고혈압 의사진단의 관련지표의 지역 간 변이 파악은 다수준 로지스틱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건강행태수준에서 연령수준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기초생활수급이 무일 때,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일회음주량이 많을수록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률이 높았다. 또한 보건의료기관을 이용한 사람이, 한 달 동안 혈압측정횟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 경험이 있을 때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률이 높았다. 반면에 고용형태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고용주 및 자영업자에서, 걷기일수가 많을수록, 현재 흡연여부 경험이 적을수록,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사람에서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률이 낮았다. 건강행태 및 지역의 보건의료수준에 따라, 고혈압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많은 연구에서 지역수준을 고려한 다수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탄광부 진폐증환자의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활성치 (Serum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Levels in Coal Worker's Pneumoconiosis)

  • 김경동;최명숙;이채훈;김정숙;배은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1호
    • /
    • pp.109-119
    • /
    • 1989
  • 1988년 9월부터 1989년 4월 까지 문경병원에서 탄광부 진폐증으로 진단받고 입원 중인 환자 75명과 정상대조군 100명을 대상으로 영남대학병원 임상병리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ACEcolor^{(R)}$ 법에 의한 혈중 ACE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대조군의 혈중 ACE치(평균${\pm}$표준편차)는 남녀 각각 $13.6{\pm}3.3U/L$. $13.2{\pm}4.3U/L$이었으며, 성별 및 연령별 차이는 없었으며, 정상대조군 전체의 결과는 $13.4{\pm}3.9U/L$로 나타나 참고범위는 4.6-21.8U/L로 나타났다. 2. 용수법으로 시행한 $ACEcolor^{(R)}$ 법의 일내변이는 5.6% 이하, 일간변이는 6.5% 이하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된 분석치를 나타냈다. 3. 탄광부 진폐증 환자군의 혈중 ACE치 (평균${\pm}$표준편차)는 $20.3{\pm}5.7U/L$로서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다(P<0.01). 혈중 ACE치의 분석은 탄광부 진폐증 환자의 경과 관찰이나 진단방법의 일환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바, 향후 이 방면의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이동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for Community Mobility in Stroke Patients : Systematic review)

  • 조은주;감경윤;장문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77-89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지역사회이동을 위한 작업치료적 중재를 분석한 논문으로, 임상에서 지역사회이동에 대한 중재를 사용하는데 있어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ISMA checklist와 diagram을 통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고,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ProQuest Dissertations & thesis (PQDT),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과 코리아메드(KoreaMed)를 이용하였다. 검색기간은 2005년부터 2018년 9월까지로 하였다. 연구에 선택된 문헌의 질 평가는 RoBANS (Riks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를 사용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문헌은 총 8개이었다.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들은 종류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 문헌의 연구디자인은 무작위배정 실험연구, 유사실험연구, 전후비교연구, 환자-대조군연구, 횡단적 연구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포함된 문헌의 질적수준은 level I이 1편(12.5%), level II가 6편(75%), level III가 1편(12.5%)으로 나타났다. 문헌의 '편향 위험 낮음' 비율은 62.5%~87.5%로 각 문헌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문헌에 사용된 중재는 가상 현실 및 가상환경을 기반으로 한 중재가 4편(50%)으로 가장 많았고, 프로토콜을 이용한 중재가 3편(37.5%), 휠체어 사용훈련이 1편(12.5%)으로 나타났다. 각 중재의 효과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이동에 대한 작업치료의 중재효과를 체계적으로 보고하여 임상적 적용근거를 제공하였다. 추후 지역사회이동성에 대해 다양한 형태로 중재를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여군 장교의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 활용 정도와 재직의도 영향요인 (Utilization of Work-Family Balance Support Polic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tention Intention among Married Female Officers with Preschool Children)

  • 권조은;김광숙;박정옥;김수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9-34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utilization of the work-family support policy (WFSP) and factors affecting retention intention among Korean female military officer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urvey recruited 103 married female officers from the Korean Army, Navy, and Air force with preschool-aged children through convenience and snowball sampling. Via online surveys from June to November, 2018, the participants self-reported retention intention, work-family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of the WFSP.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Retention intention ($22.29{\pm}5.98$) was reported at the mid-level, lower than scor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r female workers. Work-family conflict ($32.51{\pm}5.29$) and job satisfaction ($63.10{\pm}7.45$) were above the midpoint levels. Use of maternity leave (100.0%) and parental leave (92.2%) was high, especially compared to the rates of child-care day off (20.4%) and parenting time (20.4%). 'Noticeable increases in childcare services within the army' (22.8%) was reported as the supportive measure needed the most by female military officers. Job satisfaction (${\beta}=.43$, $p{\leq}.001$), the use of parenting time (${\beta}=-0.29$, p=.002), living type (${\beta}=-.18$, p=.043), and service type (${\beta}=-.16$, p=.035) significantly influenced retention inten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priority areas of importance within the WFSP and suggest that a family-friendly culture can improve female officers' retention intention. Accordingly, policy changes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mproving the system to enhance a family-friendly culture in the military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retention intention of female officers and contribute to excellence in the military work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