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izontal-moving camera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42초

수평 이동식 스테레오 카메라의 초점을 이용한 주시각 제어 연구 (Vergence control of horizontal moving axis stereo camera using lens focusing)

  • 박순용;최영수;이용범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403-406
    • /
    • 1996
  • In this paper, the geometry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of lens is studied for automatic vergence control of horizontal moving axis stereo camera. When the disparity of stereo remains contant, the horizontal movement of camera lens for image disparity and the vertical movement for image focus have linear geometry. Using this linearity, we can control the vergence of stereo camera only by focusing of stereo camera lens.

  • PDF

수평이동방식 입체카메라의 입체영상의 결상 위치 추정 방법 (The Method for Estimating Stereoscopic Object Position with Horizontal-Moving Camera)

  • 임영태;김남;권기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2-536
    • /
    • 2006
  • 입체영상 획득시 입체영상 결상 위치는 입체감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평행방식과 교차방식 카메라는 주시각 제어가 불가능하고 획득 영상의 왜곡이 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결상 위치 추정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수평이동방식 카메라는 왜곡이 적고 주시각 제어가 가능하여 평행방식과 교차방식보다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구조의 복잡성 때문에 연구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입체영상의 촬영과 디스플레이의 기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수평이동방식 입체카메라의 입체영상 결상 거리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추정방법을 이용한 입체영상 결상거리는 ${\alpha}_2$가 1과 0.75 일 때 587.64mm에서 791.16mmn, 639.53mm에서 809.50mm 사이의 분포를 가지고 있다. 수평이동전과 수평이동후의 결상 위치 차이는 1.08mm에서 0.11mm까지의 범위를 가지고 있고 거리에 따른 수평이동량과 같은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비중심축상 물체 위치에 따른 수평이동방식 입체카메라의 자동제어 방법 (Method of Horizontal-Moving Stereoscopic Camera Auto Control Out of Center Position)

  • 임영태;김남;권기철;전석희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7-248
    • /
    • 2007
  • Control convergence of Horizontal-Moving stereoscopic camera is demonstrated with object distance. To acquire object distance calculated vergence angle is needed. Compare calculated vergence angle with look up table, processing time of auto control is reduce.

  • PDF

시차 보정에 의한 수평이동방식 입체카메라의 자동제어 (Automatic Control of Horizontal-moving Stereoscopic Camera by Disparity Compensation)

  • 권기철;이용범;최영수;허경무;김남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8권5호
    • /
    • pp.77-8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주시각과 초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수평이동방식 입체카메라를 설계/제작하고, 이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차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먼저 수평이동방식 입체카메라의 기하학적 구조를 분석하여 주시각과 초점 제어량 사이의 선형관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주시각과 초점이 동시 제어되는 입체카메라를 설계/제작하였다. 그리고, 1차원 Cepstrum 필터를 이용한 시차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주시각과 초점이 동시에 자동 제어되는 입체카메라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시차 추출시간 및 에러율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입체카메라 시스템은 제어시간 및 에러율을 크게 줄여 자연스럽고 선명한 입체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하였으며, 입체카메라 조작을 단순화시킴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추구하였다.

  • PDF

Measurement of Distance and Velocity of Moving Objects using Single Camera Pseudo-Stereo Images

  • Lee, Jae-Soo;Kim, Soo-In;Choi, In-Ho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2-38
    • /
    • 2007
  • In this study, a new algorithm for measuring the velocity and distance from a camera to a moving object by using pseudo-stereo images obtained from a single camera with a stereo adapter i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is similar to a parallel visual stereo system using a two-camera system, but because this system can obtain pseudo-stereo images form a single camera, it has advantages not only in the aspect of cost but also in stereo conformity by arrangement and the calibration of the left and right stereo cameras upon image processing.

Automatic Control of Horizontal-moving Stereoscopic Camera by Disparity Compensation

  • Kwon, Ki-Chul;Choi, Jae-Kwang;Kim, Nam;Young-So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6권4호
    • /
    • pp.150-155
    • /
    • 2002
  • Horizontally-moving method (HMM) stereoscopic camera has a liner relationship between ver-gence and focus control. We introduced the automatic control method for a stereoscopic camera system that 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vergence and focus of an HMM stereoscopic camera. the Automatic control method uses disparity compensation of the acquired image pair from the stereoscopic camera. For faster extraction of disparity information, the proposed binocular dispar-ity estimation method by the one-dimensional cepstral filter algorithm would be investigated. The suggested system in this study substantially reduced the controlling time and error-ratio so as to make it possible to achieve natural and clear images.

Recognition and tracking system of moving object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PWM control

  • Sugisaka, M.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2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KOEX, Seoul; 19-21 Oct. 1992
    • /
    • pp.573-574
    • /
    • 1992
  • We developed a recognition and tracking system of moving objects. The system consists of one CCD video camera, two DC motors in horizontal and vertical axles with encoders, pluse width modulation(PWM) driving unit, 16 bit NEC 9801 microcomputer, and their interfaces. The recognition and tracking system is able to recognize shape and size of a moving object and is able to track the object within a certain range of errors. This paper presents the brief introduction of the recognition and tracking system developed in our laboratory.

  • PDF

양안 줌렌즈를 이용한 물체의 거리추정 (A Method for Estimating a Distance Using the Stereo Zoom Lens Module)

  • 황은섭;김남;권기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7-543
    • /
    • 2006
  • 단일 줌 카메라를 사용한 거리추정 방법은 시야 범위가 광 축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거리 추정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거리추정을 위한 수평이동 방식의 줌 렌즈를 이용한 입체영상에서의 물체의 거리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거리 추정을 위하여 줌렌즈를 이용한 수평이동방식 카메라를 구현하였다. 제안한 방법으로 또한 편광 입체영상 모니터를 사용하여 카메라의 좌, 우 영상 정보를 획득하였다. 인간이 볼 수 있는 시야 범위를 추정하기 위해 좌, 우로 $0mm{\sim}500mm$ 범위에서 실 거리와 추정 거리를 구하였고 이의 오차는 10mm 미만이었다.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에 줌 기능을 사용하여 제어의 오차를 줄였기 때문에 주시각에 의한 거리 추정에서 보다 더욱 정확한 거리를 추정 할 수 있었다. 또한 교차방식과 수평이동방식의 거리 추정의 오차를 비교하여 수평이동 방식이 교차방식보다 더욱 정확한 거리 정보를 추정을 확인하였다.

양안 줌 렌즈 모듈을 이용한 깊이 추정 방법 (A Method for Estimating the Distance Using the Stereo Zoom Lens Module)

  • 황은섭;이승우;권기철;길상근;김남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5-126
    • /
    • 2007
  • This paper discussed a method for estimating the distance using the stereo zoom lens module. A method for estimating the distance using single zoom lens is limited in convergence angle. So, we composed horizontal moving camera and estimated the distance. In the experiment, we get the wider convergence angle and more precise distance than single camera's.

  • PDF